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1965년체제 ― 정영환의 『제국의 위안부』 비판에 답한다 #2

역사비평 2015 봄호(통권 제112호) 반론 본문 다운로드

1. 오독과 곡해―정영환의 “방법”

재일교포 학자 정영환이 나의 책 『제국의 위안부―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에 대한 비판을 『역사비평』 111호에 실었다. 우선 이 비판의 당위성 여부에 대해 말하기 전에 비판 자체에 유감을 표한다. 왜냐하면, 나는 현재 이 책의 저자로서 고발당한 상태이고, 그런 한 모든 비판은 집필자의 의사 여부 를 떠나 직간접으로 고발에 가담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5년 8월에 제출된 원고 측 문서에는 정영환의 비판논지가 차용되어 있었다. 심지어 이재승의 서평도 통째로 근거자료로 제출되어 있었다. 가처분재판 기간 동안 법원에 제출된 원고 측 문서에는 윤명숙과 한혜인의 논지가 구체적으로 인용되어 있었다. 2014년 6월에 제출된 최초의 고발장에는 내가 10년 전에 낸 책인 『화해를 위해서―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비판논지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었다.

나에 대한 비판에 참여한 학자/지식인들이 이러한 정황을 아는지 모르는 지 나는 알지 못한다. 하지만 비판을 하고 싶다면 소송을 기각하라는 목소리가 먼저 있어야 하는 것 아닐까. 그것이야말로 ‘법정으로 보내진 학술서’에 대해 취해야 했던, ‘학자’로서의 할 일이 아니었을까.

일찍부터 시작되었고, 심지어 『한겨레신문』에 인용되어 나에 대한 여론 의 비판에 기여했음에도(002) 정영환의 비판에 그동안 대답하지 않았던 것은, 그의 비판이 오독과 곡해로 가득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글은 그가 나의 것이라고 말했던 “자의적 인용”으로 점철되어 있었고 결론이 앞서는 적대를 기반에 깔고 있어, 사실 읽는 일 자체가 우울했다. 따라서, 구체적인 반론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나의 입장과 논지를 확인해두도록 하겠다.

1)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국가의 책임에 대한 입장

정영환은 내가 “일본국가의 책임을 부정”(482~483쪽, 이하 ‘쪽’은 생략)한다면서 “식민주의 비판이 없”(492)기에 “식민지배 책임을 묻는 소리를 부정하려고하는 ‘욕망’에 이 책은 잘 호응”한다고 말하고, 심지어 “역사수정주의자들과의 은밀한 관계를 검토해야 한다”(491)고까지 말한다. 그러나 나는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국가의 책임을 부정하지 않았다. 내가 부정한 것은 ‘법적’ 책임일 뿐이고, 당연히 일본국가의 책임을 물었다. 일본어판에는 “국회결의”가필요하다고 쓰기도 했다. 그런데도 정영환은 그런 부분에는 침묵할 뿐 아니라 “역사수정주의자”라는, 한국에서 비판받고 있는 존재를 호명해 그들과 같은 존재로 생각하도록 만드는 식의 ‘왜곡’을 자신의 비판 “방법”으로 사용한 다.(003)

정영환의 말대로라면 이 책에 대한 일본인들의 반응들―“이 문제제기에 일본 측이 어떻게 대답해 나갈 것인지의 물음이 우리를 향하고 있다”(스기타 아츠시, 서평, 『아사히신문』 2014. 12. 7), “어디서나 다 있었던 일이라고 일본이 강변하지 않고 제국주의 팽창을 넘어서는 사상을 새롭게 제기할 수 있다면 세계사적 의의는 크지 않은가? [라는 박유하의 물음에] 나는 반대할 이유를 생각해낼 수 없다”(야마다 다카오, 칼럼, 『마이니치신문』 2014. 12. 21), “나는 이 책을 읽고 위안부 할머니에 대한 아픈 마음이 한층 깊어졌을 뿐이다”(와카미야 요시후미, 칼럼, 『동아일보』 2014. 7. 31)은 다 잘못 읽은 서평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심지어 어떤 우파는 나 의 책이 전쟁책임의 틀에서만 다루어졌던 위안부 문제를 식민지배책임으로 물으려 한다면서 “일본 좌파보다 무서운 책”이라거나 “고루한 지배책임론을 들고 나왔다”며 비난하기까지 했다.

정영환은 같은 방식으로 내가 “한일합방을 긍정”했다고 쓴다. 그러나 나 는 한일합방 무효론에 회의를 표하면서도 “물론 현재의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식민지지배에 대한 책임을 정말로 느낀다면, 그리고 그것을 패전이후국가가정식으로표현한일이없었다는인식이혹일본정부에생 긴다면, ‘법적’으로는 끝난 한일협정이라 할지라도 재고의 여지는 있을 것이 다.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의 국내외적 혼란은 그 재고가 원천적 으로 배제된 결과이기도 하다”(『화해를 위해서』, 235)라고 썼다. 말하자면 나는 한 일합방도 한일협정도 “긍정”하지 않았다.

나는 위안부를 만든 것은 근대국민국가의 남성주의, 가부장주의, 제국주 의의 여성/민족/계급/매춘차별의식이므로 일본은 그런 근대국가의 시스템 문제였음을 인식하고 위안부에 대해 사죄/보상을 하는 것이 옳다고 썼다. 그런데도 정영환은 ‘박유하는 한일합방을 긍정하고 1965년체재를 수호하고 있 으며 위안부 할머니의 개인청구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나는 ‘학자’에 의한 이러한 왜곡을 범죄수준의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영환의 비판 “방법”은 서경식이나 김부자 등 다른 재일교포들의 나에 대한 비판방식과 지극히 닮아 있다. 그들 역시 『화해를 위해서』의 반은 일본 비판이라는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고, 나를 ‘우익에 친화적인 역사수정주의자’라는 식으로 말해왔다.

2) 한일협정에 대한 입장

정영환은 내가 “1965년체제의 수호를 주장”(492)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재협상은무리라는 생각이 곧 ‘수호’가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나는 일본을 향해서 쓴 부분에서 한일협정은 식민지배에 대한 보상은 아니었다고 썼다. 정영환이 말하는 것 같은 “수호”는 커녕 그 체제에 문제가 있었다고 분 명히 지적했다. 한국 정부가 청구권을 없애버린 것을 지적한 것은, 1965체제 를 “수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한 일에 대한 ‘책임’의식은 수반되 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3) 방법에 대해

정영환과 달리, 비판하고 싶을수록 자신도 돌이켜보자는 것이 나의 “방 법”이다. 역사학자나 법학자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방식일 수 있지만, 문제 자체 이상으로 양국 ‘갈등’의 원인과 해소에 관심이 큰 연구자로서 필연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정영환은 이 책의 일본어판과 한국어판이 다른 것이 무언가 음험한 “의도”가 있어서인 것처럼 말하지만, 이 책이 대립하는 양국 국민들을 향해 가능한 한 사실에 근접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어떻게 생각해야 할 것인지’에 중심을 둔 책인 이상, 일본어판이 일본어 독자를 의식하며 ‘다시’ 쓰이는 건 당연한 일이다. 또 시시각각 악화되는 한일관계를 바라보며 가능한 한 빨리 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혔었던 한국어판에는 당연히 거친 곳이 많았다. 따라서 일본어판을 쓰게 되었을 때 그런 곳들이 수정된 것도 당연한 일이다. ‘한국의 문제’, ‘일본의 문제’를 따로 볼 수 있도록 구성을 바꾼 것도 그런 맥락에서의 일일 뿐이다.

2. “방법” 비판에 대해서

1) 빗나간 잣대

정영환은 내 책이 개념을 “정의”하지 않아서 혼란스럽다고 말한다. 하지만 많은 자료를 사용하면서도 이 책을 학술서 형태로 내지 않은 것은 일반독자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고, 일반 독자들은 아무도 그런 문제제기를 하지 않았다. 이 책이 정영환에게 “읽기 쉬운 책이 아니”(474)게 된 것은 개념을 정의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라 이 책의 방법과 내용이 정영환에게 낯선 것이 기 때문일 것이다.

2) 폄하

정영환은 내가 위안부의 차이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문제시하면서 “차이가 있었다는 주장 자체는 특별히 새로운 것이 아니”(474)고 “수많은 연구가 일본군이 점한 각 지역의 위안부 징집이나 성폭력 문제에 나타나는 특징을 논한 바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조선인과 일본인의 포지션의 유사성(물론 그들 간의 차별에 대해서도 이미 오래 전에 지적했다)을 지적하면서 대일 본제국에 포섭된 여성들과 그 이외의 지역 여성들의 “차이”를 지적한 연구를 알지 못한다. 정영환의 “방법”은, 나의 책이 ‘매춘’에 언급한 점을 들어 실은 우익이 일찍이 한 이야기라고 폄훼하는 방식과 비슷하다. 하지만 나의 시도는 그저 ‘위안부는 매춘부’라고 말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말하는 이들을 향해 “매춘”의 의미를 재규정하는 데 있었다

3) “방법” 이해의 미숙

정영환은 조선인 위안부의 “정신적 위안자” 역할에 대한 나의 지적이 “비약”이자 “추측”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부분은 우선 증언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내가 지적하고자 한 것은, 마음 여부 이전에 조선인 위안부가 그런 틀 안에 있었다는 점이다. ‘국방부인회’의 띠를 두르고 환영/환송회에 참가한 이들이 설사 내심 그 역할을 부정하고 싶어했다 하더라도 그런 표면적 상황에 대한 해석이 부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근거 없는 “추측”은 물론 배제되어야 하지만, 모든 학문은 주어진 자료를 통해 ‘상상’한 ‘가설’을 구축하는 작업일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나는 모든 것을 증언과 자료에 기초했다. 책에 사용하지 않았던 자료들도 곧 따로 정리해 발표할 생각이다. “동지”라는 단어를 쓴 것도 우선은 제국일본에 동원되어 ‘일본’인으로 존재해야 했다는 점을 말하기 위해서였다.

정영환은 군인에 관한 위안부의 “추억”을 논한 부분을 들어 “추억”에 대한 ‘해석’을 “먼 거리가 있다”(475)며 비판한다. 그러나 학자의 작업은 ‘개별적인 예’들을 분석하고 총체적인 구조를 보는 일이다. 내가 시도한 작업은 “증언의 고유성이 경시”되기는 커녕 그동안 묻혔던 한 사람 한 사람 증언의 “고유성을 중시”하며 결과를 도출해내는 일이었다. ‘대상의 의미’를 묻는 작업에 자신이 익숙하지 않다고 해서 다른 이의 작업을 폄훼해서는 안 될 것이 다.

같은 문맥에서 정영환은 “일본인 남성”의, 그것도 “소설” 사용은 “방법 자체에 큰 문제가 있다”(475)고도 말한다. 이러한 비판은 일본인 남성의 소설은 그 존재 자체가 일본에 유리한 존재일 것처럼 생각하는 편견이 만드는 것이지만, 나는 일본이 위안부를 어떻게 가혹하게 다루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에서 소설을 사용했다. 위안부들의 참혹한 생활이, 다름 아닌 위안부를 가장 가까이에서 보았던 군인들, 후에 작가가 된 이들의 작품 속에 많이 나타나 있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일본인들을 향해 자신들의 조상이 쓴 이야기 라는 것을 말하기 위해, 위안부의 증언은 거짓말이라고 하는 사람들을 향해 증언에 힘을 실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했을 뿐이다. 정영환은 역사 연구자들에게서 쉽게 볼 수 있는 “소설” 경시 태도를 드러내고 있지만, 소설이, 허구의 형태를 빌려 때로 진실 이상의 진실을 드러내는 장르이기도 하다는 것은 상식이기도 하다.

정영환은 자신의 정황을 “운명”이라 말한 위안부를 내가 평가한 것을 비판하지만, 위안부의 증언에 대한 평가 역시 “고유성을 중시”하는 일이다. “운명”이라는 단어로 자신의 정황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내가 평가한 것은, 세 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에서 긍정적인 어떤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개개인의 가치관이 시키는 그러한 “평가”가 부정되어야 할 이유도 없지만, 그와 반대되는 태도에 대한 비판이 위안부의 “아픔에 귀 기울이는 행위와 정반대”(476) 가 되는 건 아니다. 학자라면 오히려, 증언에 대한 공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수적인 여러 정황을 객관화할 수 있어야 한다.(004) 더구나 거짓증언까지도 묵인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는 더더욱 아닐 것이다.(005) 그런 상황에 대한 묵인은 오히려 해결을 어렵게 만든다.

무엇보다, 내가 “운명”이라 말하는 선택을 평가한 것은 그저, 그렇게 말하는 위안부도 존재한다는 사실, 그러나 그런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전하고 싶었기 때문일 뿐이다. 일본을 용서하고 싶다고 말한 이의 목소리를 전한 것도 같은 이유다.(006) 나는 ‘다른’ 목소리를 절대화하지 않았고, 정영환의 말처럼 그저 “귀 기울였을” 뿐이다. 그런 목소리가 그동안 나오지 못했던 이유는, 다른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는 억압이 이들에게도 의식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정영환이 말하는 바 “증언의 찬탈”은 오히려, 정영환과 같은 태도와 사고방식을 가진 이들에게서 일어난다는 것이 내가 이 책에서 지적한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나의 “방법”이 “윤리와 대상과의 긴장관계를 놓친 방법”이며 “역 사를 쓰는 방식으로는 적절하지 않다”(476)는 비판은 나의 “방법”을 이해하지 못한데서 온 비판일뿐이다.

3. 『화해를 위해서』 비판에 대해서

정영환은 10년전의 나의 책 『화해를 위해서』도 비판하는데, 『제국의 위안부』가 “당시 거론된 문제점을 기본적으로 계승”(477)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그런데 여기서도 앞서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1) 도덕성 공격의 문제

정영환은 김부자를 인용하면서 내가 기존 연구자들의 글을 두고 “정반대의 인용”(477)을 했다고 말한다. 이는 정영환이 나에게 논지뿐 아니라 도덕성에도 문제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도록 만들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다.

그런데 정영환이 모르는 것이 있다. 모든 텍스트는 꼭 그 글을 쓴 저자의 의도에 준해 인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모든 글은 저자의 전체 의도와는 다른 부분도 얼마든지 인용될 수 있다. 정영환 자신이 나의 책 을 나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읽고 있는 것처럼. 중요한 것은 그 과정에서 왜곡이 없어야 한다는 점인데 나는 왜곡하지 않았다.

나는 요시미 요시아키와 같은 학자가 “‘강제성’을 부인하고 있다”고 말하기 위해 인용한 것이 아니다. 일본의 책임을 추궁하는 이른바 ‘양심적인’ 학자조차 ‘물리적 강제성은 부정하니 그 부분은 신뢰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하기 위해 사용했을 뿐이다. 이후 군인이 끌고 갔다는 식의 강제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받아들여지면서 논의가 ‘인신매매’로 옮겨 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제는 ‘구조적 강제성’이 있다고 말하는 이가 적지 않은데 ‘구조적 강제성’이라는 개념은 바로 내가 『화해를 위해서』에서 처음 사용한 개념이었다. 위안부를 매춘부라고 말하는 이들을 향해 “당시의 일본이 군대를 위한 조직을 발상했다는 점에서는 그 구조적인 강제성은 결코 희석되지 않는다” (개정판, 69)라고 나는 말했었다.

그러나 그들은 나의 책을 결코 인용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이 문제를 식민지지배 문제로 봐야 한다는 나의 제기까지 인용 없이 사용하는 이들까지 생기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조만간 다시 쓸 생각이다.

2015년 5월 미국 역사학자들의 성명이 보여주는 것처럼, 이제 ‘군인이 끌고 간 강제연행’은 세계는 물론 지원단체조차 주장하지 않는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강제연행’으로만 믿었던 시점에서 강제연행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기에, 나는 ‘강제성’ 여부로 부정적인 이들이 이 문제에서의 책임을 희석하는 것을 막고자 10년 전에 ‘구조적 강제성’을 말했다. 또 『제국의 위안부』에서 ‘강제성 여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고 썼다.

2) 오독과 왜곡

정영환은 내가 위안부가 “일반여성을 위한 희생양”(『화해를 위해서』, 87)이었다고 쓴 부분을 지목해 마치 내가 “일반여성의 보호를 목적”(김부자)으로 하는 것처럼 비난한다(478). 그러나 ‘일본군을 위한 제도’라는 사실과 ‘위안부가 일반여성을 위한 희생양’이었다는 인식은 대치되지 않는다.

역사 연구자인 정영환이 텍스트 분석에 대해 문학 연구자만큼의 긴장이 없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비판’의 문맥이라면, 더구나 소송을 당하고 있는 상대에 대한 비판이라면 좀 더 섬세하게 접근해야 했다. 심지어 정영환은 일반여성에게도 책임이 없지 않다는 나의 반박마저 비난하면서 ‘적국의 여성’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이냐는(김부자) 오독에 더해 “일본군의 폭력 을 어쩔 수 없는 당연한 것으로 전제”(478)한, “전쟁터의 일반여성이 자기대신 강간당한 위안부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주장이라고까지 말한다.

내가 일반여성의 문제를 말한 것은 ‘계급’의 시점에서다. 즉 “주인댁 배운 여자”(『화해를 위해서』, 88) 대신 위안부로 나갔던 위안부의 존재에 주목했던 것이고, 그녀들을 내보내고 후방에서 편안한 생활을 누릴 수 있었던 한/일 중산층 이상의 여성들, 그리고 그녀들의 후예들에게도 책임의식을 촉구하기 위한 문맥이었다. 물론 그 기반에는 나 자신의 책임의식이 존재한다.

3) 총체적 몰이해

정영환은 서경식의 비판에 의존하면서 아시아여성기금과 일본의 리버럴 지식인을 비판하지만, 서경식의 비판은 어디에도 근거가 없다. 구식민지종 주국들의 “공동방어선”(007)을 일본 리버럴지식인들의 심성으로 등치시키려면 구체적인 준거를 대야 했다.

그리고 나는 한일갈등을 정대협의 책임으로만 돌리지 않았다. 일본 측도 분명히 비판했다. 그럼에도 정영환을 비롯한 비판자들은 내가 ‘가해자를 비판하지 않고 피해자에게 책임을 돌린다’고 규정했고 이후 그 인식은 확산되었다.

정영환은 내가 사용한 “배상”이라는 단어를 문제시하지만 정대협은 “배상”에 국가의 법적책임의 의미를, “보상”에 의무가 아닌 것이라는 의미를 담아 구별해 사용하고 있다. 정영환이 지적하는 “쓰구나이금”이란 책에도 썼듯이 “속죄금”에 가까운 뉘앙스의 단어다. 물론 일본은 이 단어에 “배상”이라는 의미를 담지 않았고, 나 역시 정대협이 사용하는 의미에 준해 “배상”이라는 의미를 피해 “보상”이라고 말했다. 이는 기금을 그저 “위로금”으로 간주한 이들에 대한 비판의 문맥에서였다. “쓰구나이금이 일본의 법적 책임을 전제로 한 보상이 아니”(479)라는데는 나 역시 이견이 없다. 그런데도 정영환 은 잘못된 전제로 접근하면서 내가 사용한 “보상”이라는 단어가 “쟁점을 해소”(480)한다고 비난한다.

참고로 언급해두자면, 일본 정부는 국고금을 직접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처음엔 간접지원하기로 했던 300만엔마저 결국 현금으로 지급했다. 아시아여성기금을 수령한 60명의 한국인 위안부들은 실상은 ‘일본국가의 국고금’도 받은 것이 된다. 여전히 “배상”은 아니지만 기금이 그저 “민간기금”이라는 이해도 수정되어야 한다.

4. 정영환의 ‘한일협정’ 이해의 오류

1) 위안부문제에 관한 책임에 대해

정영환은 내가 위안부 문제의 “그 책임을 일본국가에 물을 수 없다”(480)고 한 것으로 정리한다. 하지만 나는 “법적 책임을 물으려면 먼저 업자에게 물어야 한다”고 말했을 뿐, 일본국가의 책임이 없다고 말하지 않았다. 또 알려지지 않았던 여러 정황을 감안해 판단하면 ‘법적’ 책임을 전제로 한 배상 요구는 무리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내가 ‘업자’등 중간자들의 존재에 주목하는 이유는 일본국가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들이야말로 가혹한 폭력과 강제노동의 주체이고 그로 인한 이득을 취했기 때문이다. 유괴나 사기 등은 당시에도 처벌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위안부의 ‘미 움’이 이들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나는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공식적인 지휘명령계통을 통해 위안소 설치를 지시’하였다는 요시미의 주장을 대체적으로 지지하지만, 여성의 ‘징집을 명령한 것이었다’는 규정이 물리적 강제연행을 상상케 하고 업자의 자율성을 무시하는 것인 이상 좀 더 섬세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병참 부속시설”이라는 나가이의 지적 역시 지지하지만, 기존 유곽을 사용한 경우도 많았다는 점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것을 보는 이유는 일본의 책임을 희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원자들이 말하는 “진실규명”을 위해서다.

정영환의 나에 대한 비판이 순수한 의문을 벗어난 곡해임은, 수요를 만든것자체, 즉 전쟁을한 것 자체를 비판하는 나의 글을 인용하면서 “위의 인용은 어떻게 보면 공급이 따라갈 정도였다면 군위안소제도엔 문제가 없다는 의미로도 읽을 수 있”(481)다고 하는 지적에 나타난다. 심지어 “업자의 일탈만 문제 삼는다면 군위안소라는 제도 자체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당연한 논리적 귀결일 것”(481)이라고 쓰는 정영환의 “비약”에는 그저 놀랄 뿐이다.

나는 “군에 의한 위안소 설치와 여성의 징집, 공권력을 통한 연행”(482)을 같이 놓고 “예외적인 일”로 기술하지 않았다. 내가 예외적인 일로 기술한 것 은 한반도에서의 “공권력을 통한 연행”뿐이다. 그럼에도 정영환은 이런 식으로 요약해 내가 ‘군의 위안소 설치’마저 예외적인 일로 간주한 것처럼 보이도록 시도한다.

2) 헌재판결에 관해

헌재 판결에 대해서, 나는 분명 ‘청구인들의 배상청구권’에 대해 회의적이다. 하지만 이는 그러한 형식―재판에 의거한 청구권 요구라는 방식과 그 효과에 대한 회의였을 뿐 보상 자체를 반대한 적은 없다. 그럼에도 정영환은 “청구권 자체를 부인하는 입장”이라고 오해하도록 만드는 정리를 한다.

또 나는 지원단체가 의거해온 ‘부인 및 아동의 매매금지에 관한 국제조약’을 기반으로 해서는 “위안부제도를 위법으로 할 수 없”고 따라서 손해배상을 물릴 수 없다는 아이타니의 지적에 공감했을 뿐, ‘책임이 없다’고 말하기 위해 인용한 것이 아니다. 아이타니의 의도가 ‘개인의 배상청구권을 부정’한 것은 아니어도, 그러한 방법의 틀로는 ‘성립되지 않음’을 말한 논문임은 분명하고, 나는 그 부분에 주목했을 뿐이다. “개인의 청구권을 부정한 연구인 것처럼 인용”했다는 지적 역시 단순한 오독이거나 의도적인 왜곡일 뿐 이다. 정영환은 늘 형식부정을 내용부정으로 등치시킨다. 심지어 이제 지원 단체 스스로가 “법적 책임” 주장을 변경했다는 것도 정영환은 참고해야 할 것이다.(008)

3) 한일회담에 대해

정영환은 내가 김창록의 논문도 “반대로 인용”했다고 말하지만, 나는 김창록이 인용한 여러 회담문안을 정영환의 지적과는 다른 문맥에서 사용했다. 그러니 이 역시 근거없는 비난이다.

김창록이 말하는 것처럼 당시에 논의된 것은 ‘피징용자의 미수금’이었고, 정영환 자신이 말하는 것처럼 당시의 위안부에 관한 논의는 오로지 ‘미수금’만이 문제시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위안부는 “군속”이었다고 말하는 자료도 나왔으니(009) 나의 논지에 의거한다면 일본이 위안부를 “군속”으로 인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선인 일본군조차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법’이 존 재했지만 위안부들에게는 그런 ‘법’이 존재하지 않았고, 그런 인식은 위안부에 관한 ‘보상’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었다.

정영환은 내가 한일협정에서 일본이 지급한 금액을 ‘전후보상’이라고 말했다고 하지만 나는 샌프란시스코회담에 의거한 회담이니 연합국과의 틀 안에서 정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일본으로서는 ‘제국후처리’가 아닌 ‘전후처리’에 해당한다고 했을 뿐이다.

정영환은 487쪽에서 488쪽의 부분에서 나의 책을 길게 인용하면서도, 미국이 일본인들의 한반도 재산을 접수해 한국에 불하하고, 그것으로 외지에서 일본인을 귀환시켜준 비용을 상쇄시켰다는 부분을 빼고 인용한다. 그러나 이 부분이야말로 내가 일본에 청구권을 청구하는 것이 어렵겠다고 이해 하게 된 부분이다. 국가가 상쇄시켜버린 ‘개인의 청구권’을 다시 허용한다면 일본인들 역시 한반도에 남긴 자산의 청구가 가능해진다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나는 이때의 보상이 ‘전쟁’후처리일 뿐 ‘식민지배’후처리가 아니라고 말해 65년 보상이 불완전하다는 점을 분명히 언급했다. 그럼에도 정영환은 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내가 1965년체제를 “수호”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나는 한일협정금액을 “전쟁에 대한 배상금”이라 하지 않았다. ‘전후처리에 따른 보상’이라 했다. 또한 장박진의 연구를 인용한 것은 냉전체제가 영 향을 끼쳤다는 부분에서다. “맥락과 전혀 다르게 문헌을 인용”하지 않았고, 장박진이 “한국 정부에 추궁할 의사가 없었다고 비판”한 문맥을 무시하지 않았다.

정영환이 아직 모르는 것은 한국 정부가 이때 식민지배에 관한 ‘정치적 청산’마저 해버렸다는 점이다.(010) 아사노 논문은 『제국의 위안부』 출간 이후 에 나왔다. 나는 책에서 일본을 향해서 ‘식민지배보상’이 아니었으니 보상이 남아 있다고 썼는데, 아사노 논문을 읽고 오히려 충격을 받았다. 한일협정을 둘러싼 논의는 앞으로 이제 아사노 논문을 도외시하고는 이야기될 수 없을 것이다.

5. 생산적인 담론을 위해

정영환은 이제 서경식이나 다카하시 데츠야조차 비판한다. 다카하시는 리버럴 지식인 중에도 드러나게 ‘반성적인’ 시각과 태도를 견지해온 인물이고 서경식과 공동작업을 많이 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런 이들까지 비판하는 정영환에게 첫 답변에서 물었던 말을 다시 묻고 싶다.

정영환의 비판은 어디를 지향하는가?

분명한 건 정영환의 “방법”은 일본사회를 변화시키기는 커녕 사죄하는 마음을 가졌던 이들마저 등돌리게 만들어 재일교포사회를 더 힘들게 만들 것 이라는 점이다. 물론 일본사회에 문제가 있기도 하지만 그 이상으로 정영환의 비판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 문제를, 나에 대한 비판방식이 증명하고 있다. 존재하지 않는 의도를 찾아내기 위해 귀중한 시간을 소모 하기보다 생산적인 담론 생산에 힘을 써주기를 바란다.

  1. 001  매수가 충분치 않아 이 글에서는 나의 책 인용을 거의 하지 못했다. 이 글의 논지를 확인하고 싶은 독자들은 『제국의 위안부』 (2015년 6월에 일부삭제판이 간행되었다) 와 『화해를 위해서―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2005 초판, 2015 개정판)를 참조 해주기 바란다. (도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
    이에 앞서는 서론격 글을 2015년 8월 말경에 박유하의 페이스북 <노트>등에 게재할 예정이다 www.facebook.com/parkyuha
  2. 002  이 반론을 집필 중이던 2015년 8월 13일에 『한겨레신문』이 정영환/박노자의 대담을 싣고 다시 한 번 나를 비판했다는 사실을 알았다. 정영환의 나에 대한 비판의 문맥 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판전사(前史)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주1의 글을 참조바란다.
  3. 003  정영환이 블로그에 연재한 나에 대한 비판의 제목은 “『제국의 위안부』의 방법”이다. “방법”을 전면적으로 내세워 내게 내용 이전의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심어 학자로 서의 자격과 도덕성에 흠집을 내려 하는 전략이 뚜렷하다.
  4. 004  朴裕河, 「あいだに立つとはどういうことかー慰安婦問題をめぐる90年代の思想と運動を問い直 す」, 『インパクション』 171호, 2009. 11.
  5. 005  이용수 할머니의 증언은 이 20여 년간 여러 번 변했다. 최근 과거 증언집에 대한 불 만을 토로했는데 이는 증언의 불일치를 지적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http://www. 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66
  6. 006  박유하, 「위안부 문제, 다시 생각해야 하는 이유」, 심포지엄 『위안부 문제, 제3의 목 소리』 자료집, 2014. 4. 29. 『제국의 위안부』 삭제판에 수록.
  7. 007  徐京植, 『植民地主義の暴力』, 高文研, 2010, 70쪽.
  8. 008  『한겨레신문』 2015. 4. 23.
  9. 009  波止場清, 「慰安婦は軍属ー辻政信が明言」, 『허핑톤 포스트』 2015. 8. 3. 일본육군참모였던 츠지 마사노부가 『潜行三千里』라는 책에서 위안부는 “신분도 군속”이라고 쓴사실이 지적된 바 있다.
  10. 010  아사노 도요미, 「‘국민감정’과 ‘국민사’의 충돌. 봉인, 해제의 궤적―보편적 정의의모색과 뒷받침되어야 할 공통의 기억을 둘러싸고」, 근간 수록 예정.
출처: 역사비평 2015 봄호(통권 112호)

비판이 지향하는 곳은 어디인가? 정영환의 <제국의 위안부>비판에 답한다 #1

정영환이 나에 대한 비판을 시작한 것은 오래전 일이다. 다 읽진 않았어도 그가 일본어블로그에 연재한 비판이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었기 때문에 일부 읽기도 했다. 그러나 응답하지 않았던 건 첫째로는 시간적여유가 없었고, 두 번 째로는 그의 비판이 악의적인 예단이 앞서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월에 나의 책에 대한 가처분 판결이 났을 때 한겨레신문이 정영환의 글을 나에 대한 비판에 사용했고 이제 <역사비평>이라는 한국의 주요잡지에 게재되기에 이르렀기에 뒤늦게나마 반론을 쓰기로 한다.

그런데 지면을 30매 밖에 받지 못했다. 불과 30매에 그의 비판에 구체적으로 대답하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또 다른 젊은 학자들이 비슷한 시기에 <역사문제연구>33호에 <집담회>라는 이름으로 비판을 했는데, 이에 대한 반론은 100매가 허용되었으므로 논지에 관한 구체적인 반론은 그 지면을 활용하기로 하겠다.


민족과 젠더

나는 그를, 내가 가장 관심 두었고 또 발제도 했던 일본의 한 연구모임에서 2000년대 초반에 만났다. 그 모임은 일본의 재일교포문제 오키나와 문제등 제국일본이 낳은 여러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곳이었고, 무엇보다 지적수준이 아주 높은 곳이었기 때문에 그 존재를 알게 된 이후로 기회 되면 참석했던 곳이다. 문부식, 정근식, 김동춘등이 그 연구회가 관심을 갖고 초청하기도 했던 인사였다.

서경식도 그 연구모임에서 아주 소중한 존재인 걸 곧 알 수 있었고 나 역시 그에게 호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와 책을 교환하기도 했다. 그런데 내가 재일교포사회의 가부장제문제를 발표하면서 이들의 태도는 달라졌다. 서경식은 <젠더보다 민족문제가 우선>이라고 노골적으로 말하기까지 했다. 당시 연구회 멤버들 중에는 공식적인 석상에서는 그런 서경식에 대해 비판하지 않으면서도 사석에서는 서경식을 비판하는 이도 있었다.

말하자면 서경식, 윤건차, 그리고 이제  정영환으로 대표되는 나에 대한 재일교포들의 비판은 기본적으로 <젠더와 민족>문제를  둘러싼 포지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흥미롭게도, 나에 대해 공식적이고 본격적으로 비판을 행한 건 모두가 남성학자들이다. 여성인 경우는 김부자나 윤명숙 등 위안부문제연구자에 한한다.  이 구도를 어떻게 이해할지가 나와 이들의 대립을 이해하는 첫 번째 힌트가 될 것이다.

한국에서 서경식으로부터 시작된 나에 대한 비판에 가세한 학자들—이재승, 박노자, 윤해동등-도 모두 남성학자였다. (물론, 여성학자,혹은  여성학 전공자들 중에도 소송에 반대하거나 나에게 호의적으로 반응한 이는 극히 드물었다). 후에 다시 쓰겠지만 이들의 비판은 약속이라도 한 듯 나의 논지가 <일본을 면죄>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정영환이 반복하여 강조하는 것도 그 부분이다.


전후/현대일본과 재일교포지식인

정영환도 언급한 것처럼 나에 대한 비판은 10년전에 쓴  <화해를 위해서>발간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비판한 건 정대협에 관여했던 재일교포여성학자 김부자였다. 좀 지나서 윤건차, 서경식이 “자세한 건 김부자에게 맡기고…”라면서 지극히 추상적인 비판을 시작했다. 하지만, 김부자에게도 나는 서경식이 앞에서 언급한  연구모임에서 알게 된 사이라 친밀감을 느끼고 있었고,시간이 지나고 내 책을 더 읽으면 이해해 줄 거라고 생각했다. 그것을 기대하며 같은 시기에 나온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를 보냈다.

훗날 반론을 쓰게 된 계기는, 서경식 선생이 어느날 한겨레신문에 실었던 칼럼이다. 나를 높이 평가해 준 일본의 진보지식인들이 나를 이용해 자신들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 있는 거라고 그는 썼고 (<타협 강요하는 화해의 폭력성>,2008/9/13 한겨레신문), 다음해에 나에 대한 비판을 포함한 윤건차의 책이 한겨레에 크게 소개되었을 때였다.

당시 김부자등의 비판에 동조해 비판한 건 몇 명되지 않는 극소수의 일본인이었고  확산되지는 않았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이들이 한국에서 나에 대한 비판을 시작한 일에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화해를 위해서>는 그가 발간에서  3년이나 지난 시기에 굳이 비판해야 할 만큼 한국에서 영향력이 있었던 책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런 나의 책을 이들이 한국이라는 공간에서 갑자기 비판한 이유를 나는 아직 정확히 알지 못한다. 문제는 서경식이 지향한 것이 현대일본의 <리버럴 지식인>(진보지식인)뿐 아니라 이들이 만들어온 전후일본에 대한 비판이었다는 점이다. 일본 리버럴지식인들은 정말은 식민지지배에 대해 법적책임을 지고 싶어하지는 않는다는 그의 근거없는 추측은 ,이후 한국진보의 일본불신에 적지않은 영향을 끼쳤으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데 나는 이 때 반론을 일본어로 썼고 일본매체에 발표했다. 김부자의 논문이 실린 건 일본매체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2년후인 2009년 여름과 겨울에, 한겨레신문 한승동기자가 윤건차교수의 책소개에 <일본우익의 찬사를 받은 화해를 위해서를 비판한 책>이라고 쓰는 일이 일어났다. 한국에서 <일본우익의 찬사>를 받는다는 것이 어떤 일인지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터이니 나는 이 왜곡보도를 접하고 경악했다. (이에 관한 경위는 제국의 위안부 후기에도 썼다)


지식인의 사고와 폭력

서경석의 생각(전후일본과 현대일본지식인과에 대한 비판)이 그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에 확고하게 자리잡았다는 증거는, 2014년 6월,나에 대한 고발장에  서경식의 생각(내가 말한 “화해”와 용서를 마치 국가야합주의적 사고인 것처럼 치부하는 사고)이 쓰여 있었다는 점이다. 나는 그 때, 언론중재위에 가지 않았던 나의 5년전 선택을 처음으로 후회했다.

말하자면, 나에 대한 고발은, 직접적으로는 나눔의 집이라는 지원단체의 오독과 곡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실은 그들을 그렇게 시킨 건 이면에 있던 나에 대한 경계심이었다. 그런 경계심을 만들고 또 보이지 않게 지원했던 건 지식인들이었다. 나에 대한 첫 고발은 위안부에 대한 기술이 <허위>라는 내용이었지만 내가 반박문을 쓰자 원고측은 중간에 고발취지를 바꾸어 나의 <역사인식>을 문제 삼았다. 일련의 과정에서, 낯설거나 자신들과 다른 생각은 무조건 배척하고 손쉬운 배척수단으로 <일본우익>을 호명했다는 점에서 지식인도, 지원단체도 다를 바가 없었다.

주로 진보계층에서 유통된 서경식과 윤건차등의 책이 나에 대한 인식을 <일본을 면죄하려는 위험한 여성>으로 간주하는 인식을 확산시킨 것으로 나는 생각한다. 물론 위안부문제를 부정하고 <일본의 법적책임을 부정>한다는 이유다.

서경식이나 윤건차는 내 책이 일본우익의 사고를 “구체적으로”비판하기도 한 책이라는 점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그저 <친일파의 책>으로 부각시키고 싶어 했다.

그들 외에도, 내가 아는 한 나의 책 이전엔 위안부문제에 대한 부정파들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비판한 이들은 거의 없었다. 한국이나 일본의 지원자들은 위안부문제에 부정적인 이들에 대해서는 무조건 “우익!”이라는 단어로 손가락질했고 김부자가 나에 대해 “우파에 친화적”이라는 말로 비난한 것은 그 연장선상의 일이다.

그에 비하면 정영환은 그나마 균형을 잡으려 애쓰고 있고 그 부분은 진일보한 재일교포의 모습이기는 하다. 하지만 정영환은 나의 “방법”이 무언가 불순한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이도록 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책의 전체 의도와  결론을 완전히 무시하고 문맥을 무시한 인용과 함께 프레임을  씌워 <위험하고 부도덕한 여성>으로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 그의 <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책이 결론적으로 <일본의 책임>을 묻는 책이라는 것은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는다. 그들은 일본에 책임을 묻는 방식이 자신들과 다르다는 것만으로 나를 비난하고 있는 것이다.

그건 아마, 정영환이 소개한 대로, 그들이 20여년 지켜온 사고의 막강한 영향력이 흔들리는 사태를 맞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는 그러한 정황이 마치 일본이 책임을 무화시키는 쪽으로 가고 있는 처럼 말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최근 몇 년동안 위안부문제에 지극히 무관심했던 일본인들이, 그리고 소녀상이 세워진 2011년 이후 반발하기 시작했던 일본인들이, 나의 책을 본 이후 위안부문제를 다시 반성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고 말해주고 있다.

얼마 전에 나는 우연히, 서승/서경식형제에 대한 구명운동을 20년이상 해 왔다는 일본인 목사의 부인이, 위안부문제 해결운동모임의 전 대표라는 사실을 알았다. 직접적으로는 관계가 없어보였던 서경식도 실상은 위안부문제관계자와 깊은 관계가 있었던 셈이다. 내가 굳이 이 글에서 서경식에 언급하는 이유는 정영환이  <화해를 위해서>를 비판하면서 서경식의 비판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화해를 위해서>에 대한 비판에 나선 이들은 대부분 위안부문제에 관여해 왔던 이들이었는데 서경식 역시 그런 <관계>에서 아주 자유롭지는 않았던 셈이다.  나에 대한 서경식의 비판논지가 고발장에 그대로 원용되어 있었던 것을 지적했던 것은 “지식인의 책임”을 묻기 위한 것이었는데, 어쩌면 그의 논지자체가, “무모한” 지원단체 이상으로, 현실적 포지션과 인적관계의 영향에서 나온 것일 수도 있겠다.

이들의 논지는 적대와 “숙청”을 요구한다. 지원단체가 국가권력을 앞세워 나를 고발했던 건 그 결과이기도 하다. 나에 대한 규탄을 통해 드러난 그런 그들의 방식과 사고의 결함이 어디에 있는지, 이후 나는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나갈 생각이다. 이들의 방식이 20년이상 평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불화를 빚어왔던 이유가 바로 그런  사고의 결함에 있을 뿐 아니라 미래의 평화도 만들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비판과 포지션

이들은 “전후일본”을 전혀 평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인식이 한국에 정착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옳고 그르고를 떠나 2015년현재의 한국의 대일인식은 이들 재일교포가 만든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이들과 연대하며 20년 이상 “일본은 군국주의 국가!”라고 강조하고  “변하지 않는일본/사죄하지 않는 일본/뻔뻔한 일본”관을 심었고, 2015년 현재 한국인의 70퍼센트가 일본을 군국주의국가라고 믿게 만든, 정대협을 비롯한 운동단체들의 “운동”과 그들의 목소리를 그저 받아쓰기만 해온 언론도 작지 않은 역할을 했다.

그들은 박유하는 “일본(가해자)이 잘못했는데 한국(피해자)이 잘못했다고 말한다”라면서 내가 일본을 비판하지 않는 것처럼 생각하도록 만들었는데, 내가 그들의 일본관을 비판하며 말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그런 식의 부정확하고 비윤리적인 “태도”였다.

나는 이들 재일교포가 일본을 비판하려면 자신들을 차별없이 교수로 채용한 일본에 대해서도 언급하는 것이 공정하다고 생각한다. 김석범선생같은 작가가 20년이상 <화산도>를 하나의 문예지에 연재하면서 생활이 가능했던 것도 전후/현대일본이었다.

결코 빠르지도 않고 완벽하지도 않지만 일본사회는 변했고 변하고 있다. 그런데도 결코 보지 않으려 했던 짧지 않은 갈등의 시간 끝에, 현재의 일본의 일부는 우리가 아는 것처럼 회귀중이다. 누가 그렇게 만들었는가? 관계란 대체적으로 상대적인 것이다.

내가 <화해를 위해서>에서 말하려 했던 건 그런 부분이었다. 그 책은 2001년 교과서문제가 있고서야 일본에 이른바 <양심적지식인과 시민>이 존재한다는 걸 알게 될 만큼 전후일본에 대한 지식이 일천했던 10년전, 한국을 향해 우선은 전후일본이 어떤 출발을 했고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를 알리려 했던 책이다. 우리의 일본인식은 실은 전도된 부분이 적지 않다고.

상대를 비판하려면 일단은 총체적인 일본을 알고 나서 하는 것이 맞다. 그래야 정확한 비판을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여러 이유에서 우리에겐  총체적인 일본이 알려지지 않았었다. 나는 정영환이 말하는 것처럼 일본리버럴 지식인들이 말하고 싶어 한 것을 대변한 것이 아니라,총체적인 일본에 대해 우선 알리고자 했을 뿐이다. 부정적인 부분을 포함해서. 그건 그런 일에 태만했던 한국의 일본학연구자의 한사람으로서의 반성을 담은 작업이었다. 서경식의 비판은 나는 물론 일본의 진보지식인에 대한 모욕일 수 밖에 없다.

서경식의 비판은 우리에게 겨우 그 존재가 알려진 일본의 진보지식인을 비판부터 하는 일로 전후/현대일본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었다.

물론 일본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이들의 비판이 결코 정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더구나  일본이 더 바뀌려면 진보지식인과의 연대가 당연히 필요하다. 그런데 그들을 적으로 돌리고 나서 정영환은 누구와 손잡고 일본을 변화시키려 하는가? 서경식이나  정영환의 비판은,지극히 모놀로그적이다. 모놀로그로는, 상대를 변화시킬 수 없다.

나는 정치와 학문, 일반인과 지식인에 대한 비판에서  <차이>를 의식하면서 쓰고 말한다. 정영환등 나를 비판하는 학자들과의 가장 본질적인 차이는 아마도 이 점에 있다. 다시 말해 나는 나츠메소세키를 비판했고 그를 리버럴 지식인으로 떠받든 일본의 전후지식인과 현대지식인을 비판했지만, 그건 그만큼 지식인의 책임이 크기 때문이다. 지식인의 사고는 때로 정치를 움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저 보통생활을 영위할 뿐인 일반인에 대한 비판은 그 결을 달리 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이것이 나의 <방법>이다. 모놀르그보다는 다이얼로그가, 논문에서든 실천에서든 생산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본의 사죄>를 우리는 어디에서 확인할 것인가?

수상이나 천황이 아무리 사죄한 들 국민들이 같은 심정을 가지지 않으면 한일일반인들은 끝내 소통할 수 없을 것이고 불화할 수 밖에 없다.우리는 천황이나 수상과 대화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의 90년대는 분명 애매하긴 해도 일본정부와 국민이 사죄하는 마음이 압도적인 다수였던 시대였다. 내가 아시아여성기금을 평가한 건 그런 정부와 국민의 마음이 담긴 것이었기 때문이다. 비판자들은 그런 일본정부의 사죄와 보상을 <애매>하다고 비난했지만, 선명함 자체가 목적인 추궁은, 정의실현이라는 자기만족을 가져다 주기도 하지만 대개는 숙청으로 이어진다. 당연히 생산적인 담론도 되지 못한다. 실제로 나에 대한 고발이 그것을 증명했다.

<고발에는 반대하지만..,>이라고 전제하면서 나를 비판했던 이들 중, 아무도 실제로 소송을 기각하라고 행동한  이는 없었다. 그들은 한국정부와 지원단체의 생각과 다른 의견을 말한다는 이유로 그들이 나를 억압하는 걸 당연시했고 비판에 나섬으로써 나에 대한 억압에 가담했다. 학문적 견해를 사법부가 도구로 사용하도록 내버려 두거나 나서서 제출했다.

그런데, 역사문제에 대한 판단을 국가와 사법부에 의존하는 것이야말로  학자들의 치욕이 아닐까.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래서 참담한 심경이다.


1)<역사비평>에 처음 이 글을 먼저 보냈으나 구체적인 반론이 아니라는 이유로 게재되지 못했다. 다른 글로 대체했으나 이 글이 더 중요하다고 여전히 생각한다. <역사비평>112호에 게재한 글과 다소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그 글에서 내가 언급한 정영환의  문제는, 다른 남성학자들의 글에서도 대체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동아시아 화해와 평화의 목소리>발족 기념  심포지엄 글(<기억의 정치학을 넘어서>에서도 그 일단을 지적한 바 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앞으로도 다시 쓸 생각이다.

출전 : 박유하 페이스북 노트

批判が向う地点はどこなのか? – 鄭栄桓(チョン・ヨンファン)の『帝国の慰安婦』批判に答える

批判が向う地点はどこなのか? – 鄭栄桓(チョン・ヨンファン)の『帝国の慰安婦』批判に答える[1]

2015年 8月 31日 午後 4:50

鄭栄桓が私に対する批判を始めたのはずいぶん前のことだ。全部読んではいないが、彼が日本語のブログに連載した批判がSNSを通じて広がっていたので、一部読んだこともある。それに答えなかった理由は、まず時間的な余裕がなくて、彼の批判が悪意的な予断を急かすものだったからだ。

しかし、2月に私の本に対する仮処分判決が下されたとき、鄭栄桓の文章はハンギョレ新聞で私に対する批判として使われ、今は『歴史批評』という韓国の有力雑誌に掲載されるに至ったので、遅まきながら反論を書くことにする。

ところで、紙面を30枚(400字15枚)しかもらえなかった。わずか30枚で彼の批判に具体的に答えるのは不可能なことだ。幸か不幸か、また別の若い学者たちがほぼ同じ時期に『歴史問題研究』33号に「集談会」という形で『帝国の慰安婦』を批判したが、これに対する反論は100枚(400字50枚)が許されたので、論旨に関する具体的な反論はその紙面を活用することにする。

 民族とジェンダー

私が彼に初めて会ったのは、2000年代初め、私が最も関心を持っており、提案をしたこともあった日本のある研究会でだった。その研究会は日本の在日僑胞問題、沖縄問題など帝国日本が生み出した様々な問題に対する関心が高い場であったし、何より知的水準がとても高い場であったため、その存在を知ってからは機会があれば参加していた場であった。文富軾(ムン・ブシク)、鄭根埴(チョン・グンシク)、金東椿(キム・ドンチュン)などがその研究会で関心を持って招いたりしていた人々だった。

徐京植(ソ・キョンシク )もその研究会で非常に大切にされている存在であることがまもなく分かったし、私もまた彼に好感を持っていたので、彼と本を交換したりもした。ところが、私が在日僑胞社会の家父長制問題について発表してから、彼らの態度は変わった。徐京植は「ジェンダーより民族問題が先」だと露骨に話したこともあった。当時研究会のメンバーの中には、公的な場ではそう話す徐京植を批判しなくても、私的な場では徐京植を批判する人もいた。

いってみれば、徐京植、尹健次(ユン・コォンチャ)、そして今や鄭栄桓に代表される在日僑胞たちの私に対する批判は、基本的に「ジェンダーと民族」問題をめぐるポジションの違いから始まったのだ。興味深いことに、私に対して公式的かつ本格的に批判を行ったのはみんな男性の学者たちである。女性の場合は金富子(キム・プジャ)や尹明淑(ユン・ミョンスク)など慰安婦問題研究者に限られている。この構図をどのように理解するかが私と彼らの対立を理解する第一のヒントになるだろう。韓国で徐京植から始まった私に対する批判に加勢した学者たち―李在承(イ・ジェスン)、朴露子(パク・ノジャ)、尹海東(ユン・ヘドン)など―もみんな男性の学者であった。(もちろん、女性の学者、または女性学専攻者たちの中にも訴訟に反対したり、私に好意的に反応したりした人は極めて少なかった)。

後でまた書くだろうが、彼らの批判は約束でもしたかのように、私の論旨が「日本を免罪」するという前提から出発している。鄭栄桓が繰り返し強調するのもその部分だ。

 戦後/現代日本と在日僑胞知識人

鄭栄桓も言及したように私に対する批判は、10年前に書いた『和解のために』の刊行後から始まった。初めて批判したのは、挺対協(韓国挺身隊問題対策協議会)に関与した在日僑胞女性学者の金富子であった。少し経って、尹健次、徐京植は「詳しいことは金富子に任せて…」と言いながら極めて抽象的な批判を始めた。それにもかかわらず、金富子にも、徐京植にも、私は先に言及した研究会で知り合いになったために親しみを感じていたし、時間が経って私の本をもっと読んだら、理解してくれるだろうと思った。それを期待しつつ、その頃に出た『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とジェンダー』を送った。

後日、私が反論を書くようになったきっかけは、徐京植がある日ハンギョレ新聞に載せたコラムだった。私を高く評価した日本のリベラル知識人が、私を利用して自分たちがしたい話をしているのだと彼は書き(「妥協を強要する和解の暴力性」、2008/9/13ハンギョレ新聞)、翌年、私に対する批判を含んだ尹健次の本がハンギョレに大きく紹介されたときだった。

当時、金富子などの批判に同調して批判したのはごく少数の日本人だったし、広がることはなかった。もっとも彼らが韓国で私への批判を始めたことに、私は驚かずにはいられなかった。なぜなら『和解のために』は刊行されて3年も経っていたし、彼があえて批判しなければならないほど韓国で影響力があった本ではなかったからだ。

そんな私の本を、彼らが韓国という空間で突然批判した理由を私はいまだ正確には知らない。問題は、徐京植が目指したのが現代日本の「リベラル知識人」(進歩知識人)だけでなく、彼らが築いてきた戦後日本に対する批判だったという点だ。日本のリベラル知識人たちは、実は植民地支配に対して法的責任を負いたがらないという彼の根拠のない推測は、その後韓国リベラルの日本不信に少なからず影響を及ぼしただろうと私は考えている。

ところで、私はこのときに反論を日本語で書いて日本のメディアに発表した。金富子の論文が載せられたのは日本のメディアだったからだ。ところが2年後の2009年の夏と冬に、ハンギョレ新聞の韓承東(ハン・スンドン)記者が尹健次教授の本の紹介に「日本の右翼に絶賛された『和解のために』を批判した本」だと書くという事態が起きた。韓国で「日本の右翼に絶賛」されるということがどんな波乱を起こすのか知らない人はいないはずだ。私はこの歪曲報道に接して驚愕した(これに関する経緯については『帝国の慰安婦』のあとがきにも書いた)。

 知識人の思考と暴力

徐京植の考え方(戦後日本と現代日本の知識人に対する批判)が彼の人気とあいまって韓国で確実に根を下ろしたという証拠は、2014年6月、私に対する告発状に徐京植の考え方(私が語った「和解」と赦しをあたかも日米韓の国家野合主義的思考であるかのように片付けてしまう思考)が書かれていたという点だ。私はそのとき、言論仲裁委員会に行かなかった私の5年前の選択を初めて後悔した。

すなわち、私に対する告発は、直接的にはナヌムの家という支援団体の誤読と曲解から始まったのだが、実は彼らをそうさせたのは裏で働いていた私に対する警戒心だった。そのような警戒心を作り、また見えないように支援していたのは知識人たちだった。私に対する最初の告発は、慰安婦についての記述が「虚偽」だという内容だったが、私が反駁文を書くと、原告側は途中で告発の趣旨を変えて私の「歴史認識」を問題にした。一連の過程において、自分たちと異なる不慣れな考え方は無条件に排斥し、手っ取り早い排斥手段として「日本の右翼」を持ち出したという点で知識人も、支援団体も変わりはなかった。

韓国の革新陣営で流通していた徐京植と尹健次などの本が、私についての認識を「日本を免罪しようとする危険な女性」と見做す認識を拡散させたと私は考える。もちろん慰安婦問題を否定し「日本の法的責任を否定」するというのが理由だ。

徐京植や尹健次は、私の本が日本右翼の思考を「具体的に」批判した本でもあるという点を全く言及せず、ただ「親日派の本」として目立たせたがっていた。

彼らの他にも私が知っている限り、私の本以前には慰安婦問題に対する否定派の考え方を具体的に批判した人は殆どいなかった。韓国や日本の支援者たちは慰安婦問題に否定的な人々に対しては頭ごなしに「右翼!」という言葉で指差しており、金富子が私に対して「右派に親和的」という言葉で非難したことはその延長線上のことだ。

それに比べれば鄭栄桓はそれなりにバランスを取ろうと努めており、その点は一歩進んだ在日僑胞の姿ではある。しかし、鄭栄桓は私の「方法」が何か不純な意図を持ったものに見せかけようとする方法を使っている。本全体の意図と結論を完全に無視し、文脈を無視した引用と共にフレームアップして「危険で不道徳な女性」と見せることが彼の「方法」だ。そのために私の本が結論的に「日本の責任」を問う本であるということは、どこにも言及されない。彼らは日本に責任を問うやり方が自分たちと異なるということだけで、私を非難しているのである。

それは多分、鄭栄桓が紹介した通り、彼らが20年余り守ってきた思考の強大な影響力が揺らぐ事態を迎えたためかもしれない。彼はそうした情況があたかも日本が責任を無化させる方向へ進んでいるかのように言っているが、それは鄭の理解でしかない。この数年間、慰安婦問題に極めて無関心だった日本人たちが、そして少女像が立てられた2011年以後に反発し始めた日本人たちが、私の本を読んだ後、慰安婦問題を反省的に見直すことができたと語ってくれている。

先日私は偶然、徐勝(ソ・スン)/徐京植兄弟に対する救命運動を20年以上してきたという日本人牧師の夫人が、慰安婦問題解決運動会の元代表だという事実を知った。直接的には関係がないように見えた徐京植も実際には慰安婦問題関係者と深い関係があったわけだ。私があえてこの文章で徐京植について言及する理由は、鄭栄桓が『和解のために』を批判した際、徐京植の批判を持ってきたからだ。『和解のために』に対する批判に出た人たちはほとんどが慰安婦問題に関与してきた人たちだったが、徐京植もまたそのような「関係」から完全に自由ではなかったわけである。私に対する徐京植の批判の論旨が告発状にそのまま援用されていたことを指摘したのは、「知識人の責任」を問うためであったが、ひょっとしたら彼の論旨自体、「無謀な」支援団体以上に、現実的なポジションと人的関係の影響から出たものかもしれない。

彼らの論旨は構造的に敵対と「粛清」を要求する。支援団体が国家権力を前面に出し私を告発したのはその結果でもある。私に対する糾弾を通じてあらわになったそうした彼らの方式と思考の欠陥がどこにあるのか、今後私はもう少し具体的に語っていくつもりだ。彼らのやり方が20年以上平和をもたらすこともできず、不和を醸してきた理由がまさにそのような思考の欠陥にあるからであり、それでは未来の平和も作ることができないからだ。

 批判とポジション

彼らは「戦後日本」を全く評価しない。そしてそのような認識が韓国に定着するのに大きく寄与した。

端的にいうと、良し悪しにかかわらず2015年現在の韓国の対日認識は、彼ら在日僑胞が作ったもの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もちろん彼らと連帯して20年以上「日本は軍国主義国家!」と強調し、「変わらない日本/謝罪しない日本/厚かましい日本」観を植え付け、2015年現在韓国人の7割が日本を軍国主義国家だと思い込ませた、挺対協をはじめとする運動団体の「運動」と、彼らの声をただそのまま書き取り続けてきた言論も少なからず役割を果たした。

彼らは、朴裕河は「日本(加害者)が悪かったのに韓国(被害者)が悪かったと言う」と、私が批判したのは「韓国」ではなく少女を守らなかった村共同体や、育てていながら売り飛ばした里親であり、そうしたことを許した思考である。鄭ほか批判者たちは私が日本を批判しないかのように人々に思い込ませたが、私が彼らの日本観を批判しながら指摘したかったのは、まさにそのような不正確でモラルを欠く「態度」であった。

私は彼ら在日僑胞が日本を批判するなら、自分たちを差別しないで教授に採用した日本についても言及した方が公正だと思う。金石範(キム・ソクボム)という作家が20年以上『火山島』を一つの文芸紙に連載して生活が可能になったのも戦後/現代日本でだった。

決してその変化が早いわけでもなく完璧であるわけでもないが、日本社会は変わったし、変わりつつある。それでも決して見ないようにしてきた葛藤の時間の末に、現在の日本はまさに私たちが知っているような姿に回帰中であるようにも見える。誰がそうさせたのか。関係というのはおおむね相対的なものである。

私が『和解のために』で話そうとしたのはそういったところだった。その本は2001年に教科書問題が起きて初めて、日本にいわゆる「良心的な知識人と市民」が存在するということをようやく知ったほど、戦後日本についての知識が浅かった10年前、韓国に向けて先ずは戦後日本がどんな出発をし、どんな努力をしてきたかを知らせようとした本だ。私たちの日本についての認識は、実は転倒した部分が少なくないと。

相手を批判するためにはまず、総体的な日本を知ってから行うのが正しい。それでこそ正確な批判ができ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ところが様々な理由で私たちには総体的な日本が知らされていなかった。私は鄭栄桓の言うように日本のリベラル知識人が話したがっていたのを代弁したわけではなく、総体的な日本についてまず知らせようとしただけだ。否定的な部分を含めて、である。それはそうした作業に怠慢だった韓国の日本学研究者の一人としての反省を込めた作業だった。徐京植の批判は、私にはもちろんのこと、日本の革新・リベラル知識人に対する侮辱でしかない。

徐京植の批判は、私たちにようやくその存在が知らされた日本のリベラル知識人を批判からすることで、戦後/現代日本に対する信頼を失わせた。

もちろん日本に問題がないと言っているわけではない。問題は彼らの批判が決して正確ではないという点だ。しかも、日本がさらに変わるためにはリベラル知識人との連帯は当然必要である。それなのに、彼らを敵に回して鄭栄桓は誰と手を組んで日本を変化させようとしているのだろうか。徐京植や鄭栄桓の批判は、極めてモノローグ的だ。モノローグでは相手を変化させることはできない。

私は政治と学問、一般人と知識人に対する批判において「違い」を意識しながら書き、話す。鄭栄桓ら私を批判する学者との最も本質的な違いは、おそらくこの点にある。つまり、私は夏目漱石を批判し、彼をリベラル知識人として祭り上げた日本の戦後知識人と現代知識人を批判したが、それはそれくらい知識人の責任が大きいからだ。知識人の思考はときに政治を動かすこともある。しかし、ただ普通の生活を営むだけの一般人に対する批判は、その構えを異にするべきだというのが私の考え方だ。これが私の「方法」だ。モノローグよりダイアログの方が、論文においても実践においても生産的な「方法」になり得る。

 「日本の謝罪」を私たちはどこで確認するだろうか。

首相や天皇がいくら謝罪したところで、国民同士が同じ心情を持たなければ、日韓の一般人たちは最後まで疎通できず、不和にならざるを得ない。私たちは天皇や首相と対話するわけではないからだ。

日本の90年代は確かに曖昧だったが、日本政府と圧倒的多数の国民が謝罪する心を持っていた時代だった。私がアジア女性基金を評価したのはそのような政府と国民の心が込められたものだったからだ。批判者たちはそのような日本政府の謝罪と補償を「曖昧」だと非難したが、鮮明さ自体が目的である追及は、正義の実現という自己満足をもたらしてくれることもあるが、大慨は粛清につながる。当然、生産的な言説にもならない。実際に私に対する告発がそれを証明した。

「告発には反対するが…」と前置きしながら私を批判した人たちの中で、誰も実際に訴訟を棄却させようと行動に出た人はいなかった。批判者たちは韓国政府と支援団体の考え方と違った意見を述べるという理由で、彼らが私を抑圧することを当然視し、批判に乗り出すことで私への抑圧に加担した。学問的な見解を司法府が道具と使うように放っておいたり、自ら提出したりした。ところが、歴史問題に対する判断を国家と司法府に依存する行為こそ、学者にとっての恥辱ではないだろうか。私はそう思う。だから惨憺たる心境だ。(『歴史批評』112号、2015・8)


[1] 『歴史批評』に最初この文章を先に送ったが、具体的な反論ではないという理由で掲載されなかった。他の文書に差し替えたが、この文書の方がより重要だと今も考えている。『歴史批評』112号に掲載した文章とは多少重なる部分がある。その文書で私が言及した鄭栄桓の問題は、他の男性学者の書評や論文にもおおむね見受けられる。これについては「東アジアの和解と平和の声」発足記念シンポジウム文(「記憶の政治学を越えて」、2015・6)でも、その一端を指摘したことがある。そしてこの問題については今後もまた書くつもりだ。

出典 : 朴裕河 フェイスブックノート

[反論]日本軍慰安婦問題と1965年体制 – 鄭栄桓の『帝国の慰安婦』批判に答える

日本軍慰安婦問題と1965年体制 – 鄭栄桓の『帝国の慰安婦』批判に答える[1]

朴裕河(世宗大学教授)

1. 誤読と曲解― 鄭栄桓の「方法」

在日同胞学者、鄭栄桓が拙著『帝国の慰安婦―植民地支配と記憶の闘い』に対する批判を『歴史批評』111号に載せた。まずこの批判の当為性の有無について語る前に、批判そのものについて遺憾の意を表する。なぜなら私は現在、本書の著者として告発されている状態であり、その限りにおりてあらゆる批判はその執筆者の意思とは関係なく、直・間接的に告発に加担することになるからである。

実際に2015年8月に提出された原告側の文書には、鄭栄桓の批判の論旨が借用されていた。しかも李在承の書評も丸ごと根拠資料として提出されていた。仮処分の裁判期間中に裁判所へ提出された原告側の文書には、尹明淑や韓惠仁の論旨が具体的に引用されていた。2014年6月に提出された最初の告発状には、私が10年前に出した本『和解のために―教科書・慰安婦・靖国・独島』への批判の論旨がそのまま使われていた。

私に対する批判に参加した学者・知識人がこのような状況を知っているかどうか、私には分からない。しかし、批判がしたいのであれば、訴訟を棄却せよという声を先にあげるべきではないだろうか。まさにそれこそ「裁判所に送られた学術書」に対して取ら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学者」としての行動ではなかっただろうか。

早くから始まった上に『ハンギョレ新聞』に引用されることで、私に対する世論の批判に寄与したにもかかわらず[2]、鄭栄桓の批判にこれまで答えなかった理由は、彼の批判が誤読と曲解に満ちていたからである。彼の文章は、彼が私のものだと述べた「恣意的な引用」で鏤められていたし、結論に先立つ敵対感情がベースになっていたので、実は読むこと自体が憂うつだった。よって、具体的な反論に入る前に、まずは私の立場と論旨を確認しておくことにする。

1) 慰安婦問題に関する日本の国家責任についての私の立場

鄭栄桓は私が「日本国家の責任を否定」(482~483頁、以下「頁」は省略)しているとし、「植民地主義批判がな」(492)いため、「植民地支配の責任を問う声を否定しようとする「欲望」に、この本はうまく呼応する」と述べ、しかも「歴史修正主義者たちとの密かな関係性を検討しなければならない」(491)とまで述べている。しかし、私は慰安婦問題で日本国家の責任を否定したことはない。私が否定したのは「法的」責任のみであって、当然日本国家の責任を問うた。日本語版には「国会決議」が必要だとも書いた。にもかかわらず、鄭栄桓はそのようなことには沈黙するだけでなく、「歴史修正主義者」と韓国で批判されている人々の名前を呼びあげて、彼らと同じような存在だと思わせるような「歪曲」を自分の批判の「方法」として用いている[3]

鄭栄桓のいうとおりならば、この本についての日本人の反応―「この問題提起に、日本側がどう応えていくかが問われている」(杉田敦、書評、『朝日新聞』2014.12.7)、「「どこも同じ」と言い募らず、帝国主義的膨張を超える思想を新たに打ち出せるなら、世界史的な意義は大きいのではないか?[という朴裕河の問いに]反対する理由を、私は思いつかない」(山田孝男、コラム、『毎日新聞』2014.12.21)、「私はこれを読んで元慰安婦たちへの心の痛みをいっそう深めただけ」(若宮啓文、コラム、『東亜日報』2014.7.31)等はすべて誤読した書評だということになってしまう。しかもある右派の人は私の本について、従来の戦争責任の枠組みでのみ捉えられてきた慰安婦問題を植民地支配責任の枠組みの中で問おうとしているといい、「日本の左派より怖い本」だといったり、「固陋な支配責任論を持ち出してきた」と非難したりまでした。

鄭栄桓は同じようなやり方で私が「韓日併合を肯定」したと書いている。しかし、私は韓日併合無効論に懐疑を示しながらも、「もとより現在の日本政府が慰安婦問題をはじめとする植民地支配に対する責任を本当に感じているなら、そしてそれを敗戦以降、日本が国家として正式に表現したことがなかったという認識が仮に日本政府に生まれるとしたら、韓日協定が「法的には終わっている」としても、再考の余地はあるだろう。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の国内外における混乱は、そうした再考が元から排除された結果でもある」(『和解のために』235)と書いた。つまり、私は韓日併合も韓日協定も「肯定」していない。

私は慰安婦を作ったのは、近代国民国家の男性主義、家父長主義、帝国主義の女性・民族・階級・売春差別意識であるから、日本はそうした近代国家システムの問題であったことを認識し、慰安婦に対し謝罪・補償をすべきたと書いた。それなのに、鄭栄桓は「朴裕河は韓日併合を肯定し、1965年体制を守っており、慰安婦のハルモニの個人請求権を認めない」と言っているのである。私は「学者」によるこうした歪曲は、犯罪レベルのものだと考えている。

鄭栄桓の批判の「方法」は、徐京植や金富子、その他の在日同胞の私に対する批判の仕方と酷似している。彼らもやはり、『和解のために』の半分は日本批判であるという事実に言及しなかったし、私を「右翼に親和的な歴史修正主義者」だというふうにいってきた。

2) 韓日協定についての私の立場

鄭栄桓は私が「1965年体制の守護を主張」(492)しているという。しかし再協議は無理という考えが直ちに「守護」になるわけではない。実際に、私は日本に向かって書いたところで、韓日協定は植民地支配に対する補償ではなかったと書いた。鄭栄桓のいうような「守護」どころか、その体制に問題があったと明確に指摘した。韓国政府が請求権を潰したことを指摘したのは、1965体制を「守護」するためではなく、自分たちが行ったことに対する「責任」意識は伴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考えたからだ。

3) 方法について

鄭栄桓と異なり、批判したいと思うほどに自らも顧みようというのが私の「方法」だ。歴史学者や法学者にはなじまないやり方であるかもしれないが、問題そのもの以上に、両国の「葛藤」の原因と解消に大きな関心を持っている研究者として必然的な「方法」でもある。

鄭栄桓は本書の日本語版と韓国語版が異なる理由として何か陰険な「意図」があるかのように話しているが、この本が、対立する両国の国民に向かって、できるだけ事実に近い情報を提供しつつ、「どう考えるべきか」に中心を置いた本である以上、日本語版が日本語の読者を意識しながら書き「直される」のは当然のことだ。また、刻一刻と悪化する韓日関係を見つめながら、できるだけ早く出さ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思いに捕われていた韓国語版には、当然粗いところが多かった。したがって日本語版を書くようになったとき、そうしたところが修正されたのも当然のことである。「韓国の問題」、「日本の問題」を別々に見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構成を変えたのも、そうした脈絡からのことに過ぎない。

2. 「方法」批判について

1) 的外れな物差し

鄭栄桓は私の本が概念を「定義」しなかったので、紛らわしいと述べている。しかし、多くの資料を使いながらもこの本を学術書の形で出さなかったのは、一般読者を念頭に置いたためであり、一般読者は誰もそのような問題提起をしていない。この本が鄭栄桓に「読みやすい本ではな」(474)くなったのは、概念を定義しなかったためでなく、この本の方法と内容が鄭栄桓に不慣れなものであるためであろう。

2) 貶め

鄭栄桓は、私が慰安婦の差異について言及したところを問題視して、「差異があったという主張自体は取り立てて珍しいものではな」(474)く、「数多くの研究が日本軍の占領した諸地域における「慰安婦」徴集や性暴力の現れ方の特徴について論じている」と述べている。だが、私は朝鮮人と日本人のポジションの類似性(もちろん彼らの間の差別についても既に指摘した)を指摘しながら、大日本帝国に包摂された女性たちと、それ以外の地域の女性たちとの「差異」を指摘した研究を知らない。鄭栄桓の「方法」は、私の本が「売春」に言及したことを挙げて、実はかつて右翼がした話だと貶めるやり方と似ている。しかし、私の試みはただ「慰安婦は売春婦」ということにあるのではなく、そのようにいう人々に向かって「売春」の意味を再規定することにあった。

3) 「方法」に対する理解の未熟

鄭栄桓は朝鮮人慰安婦の「精神的慰安者」としての役割についての私の指摘が「飛躍」であり、「推測」であるという。しかしこのような部分は、まず証言から簡単に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そして私が指摘しようとしたことは、心の有無以前に朝鮮人慰安婦がそうした枠組みの中にいたということだ。「国防婦人会」のたすきをかけて、歓迎・歓送会に参加した人々がたとえ内心その役割を否定したがっていたとしても、そうした表面的な状況についての解釈が否定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わけではない。根拠のない「推測」はもちろん排除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が、すべての学問は与えられた資料から「想像」した「仮説」を構築する作業にならざるを得ない。何より私は全ての作業を証言と資料に基づいて行った。本に使わなかった資料も、追って別途整理して発表するつもりだ。「同志」という単語を使ったのも、まずは帝国日本に動員されて、「日本」人として存在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ということを指摘するためであった。

鄭栄桓は、軍人に関する慰安婦の「思い出」を論じた部分を挙げて「思い出」についての「解釈」を「遠い距離がある」(475)と批判している。しかし学者の作業は、複数の「個別の例」を分析して総体的な構造を見ることだ。私が試みた作業は、「証言の固有性が軽視」されるどころか、それまで埋もれていた一人一人の証言の「固有性を重視」し、結果を導き出すことだった。「対象の意味」を問う作業に自分が慣れていないからからといって他人の作業を貶めてはならないだろう。

同じ文脈で鄭栄桓は、「日本人男性」の、それも「小説」の使用は「方法自体に大きな問題がある」(475)と述べている。このような批判は、日本人男性の小説はその存在自体が日本に有利な存在であるかのように考える偏見がそうさせているものだが、私は日本が慰安婦をどのように残酷に扱ったかを説明するための部分で小説を使った。慰安婦の苛酷な生活が、他でもない慰安婦を最も近くで見た軍人、後に作家になった彼らの作品の中に多く現れていたからだ。強いていうなら、日本人に向けて、自分たちの祖先が書いた物語だということを述べるために、また、慰安婦の証言は嘘だという人々に向け、証言に力を加えるための「方法」として使ったにすぎない。鄭栄桓は、歴史研究者によく見られる「小説」軽視の態度を表わしているが、小説が、虚構の形態を借りて、ときには真実以上の真実を表わすジャンルでもあるということは常識でもある。

鄭栄桓は、自分の情況を「運命」と語った慰安婦について私が評価したことを批判しているが、慰安婦の証言に対する評価もやはり「固有性を重視」する作業である。「運命」という単語で自分の情況を受け入れる態度を私が評価したのは、世界に対する価値観と態度に肯定的な何かを見たためだ。個人の価値観がさせるそのような「評価」が否定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もないが、それと相反する態度に対する批判が慰安婦の「痛みに耳を傾ける行為と正反対」(476)になるわけではない。学者ならばむしろ、証言に対する共感に終わるのではなく、付随する色々な状況を客観化できなければならない[4]。しかも、偽りの証言までも黙認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話は、尚更違うだろう[5]。そのような状況の黙認は、かえって解決を難しくする。

何よりも、私が「運命」と語る選択を評価したのは、ただ、そのように語る慰安婦も存在するという事実、しかしそのような声は聞こえてこなかったという事実を伝えたかっただけだ。日本を許したいと話した人の声を伝えたのも同じ所以だ[6]。私は「異なる」声を絶対化してはいないし、鄭栄桓の言葉のように、ただ「耳を傾けた」だけだ。そのような声がこれまで出てこられなかった理由は、異なる声を許容しない抑圧が彼らにも意識されていたためだ。言い換えれば、鄭栄桓のいうところの「証言の簒奪」はかえって、鄭栄桓のような態度と考え方を持った人々の側から起こるということが、私がこの本で指摘したことでもある。

したがって、私の「方法」が「倫理と対象との緊張関係を見逃した方法」であり、「歴史を書く方法としては適切でない」(476)との批判は、私の「方法」を理解できなかったことに起因する批判に他ならない。

3. 『和解のために』批判について

鄭栄桓は10年前に私が上梓した『和解のために』も批判しているが、『帝国の慰安婦』が「当時論じられた問題点を基本的に継承」(477)しているというのがその理由だ。だが、ここでも先の問題点をそのままさらけ出している。

1) 道徳性攻撃の問題

鄭栄桓は金富子を引用しながら、私が既存の研究者の文章について「正反対の引用」(477)をしたと述べている。これは鄭栄桓が私に論旨のみならず、道徳性にも問題があるかのように思わせるため選択した「方法」だ。

だが、鄭栄桓が分かっていない点がある。あらゆるテクストは必ずしも、その文章を書いた著者の意図に準じて引用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わけではない。言い換えれば、あらゆる文章は著者の全体的な意図とは別の部分も、いくらでも引用される可能性があるということだ。鄭栄桓自身が私の本を私の意図とは正反対に読んでいるように。重要なことはその過程に歪曲があってはならないという点だが、私は歪曲していない。

吉見義明のような学者が「「強制性」を否認している」というために引用したわけではない。日本の責任を追及するいわゆる「良心的な」学者ですら「物理的な強制性は否認しているのだから、その部分は信頼すべきではないのか」と述べるために使っただけだ。その後、軍人が引っ張って行ったというような強制性に対する問題提起が受け入れられるにつれ、論議が「人身売買」へと移っていったことは周知の事実だ。今では「構造的な強制性」があるという者は少なくないが、「構造的な強制性」という概念はまさに私が『和解のために』で初めて使ったものだった。慰安婦を売春婦だという者に向けて「当時の日本が軍隊のための組織を発案したという点からみれば、その構造的な強制性は決して弱まりはしない」(改訂版、69)と私は述べた。

だが、彼らは私の本を決して引用しない。最近ではこの問題を植民地支配の問題として見るべきだという私の提起まで、引用なしに使う者が現れている。これについては近いうちに改めて書くつもりだ。

2015年5月、米国の歴史学者らの声明が示したように、もはや「軍人が引っ張って行った強制連行」だとは世界はもちろん、支援団体すら主張していない。だが、多くの者が「強制連行」とばかり信じていた時点から私は強制連行でないと分かっていたので、「強制性」について否定的な者たちによるこの問題への責任の希釈を防ごうと、10年前に「構造的な強制性」について述べた。また『帝国の慰安婦』で「強制性の有無はこれ以上重要ではない」と書いた。

2) 誤読と歪曲

鄭栄桓は私が慰安婦は「一般女性のための生贄の羊」(『和解のために』、87)でもあったと書いた部分を指して、まるで私が「一般女性の保護を目的」(金富子)としたかのように非難している(478)。だが「日本軍のための制度」だという事実と「慰安婦が一般女性のための生贄の羊」だったという認識は対峙しない。

歴史研究家である鄭栄桓がテクスト分析において、文学研究者ほどの緊張がないのは仕方ないことだが、「批判」の文脈ならば、ましてや訴訟を起こされている相手に対する批判ならば、もう少し繊細に接近すべきであった。加えて鄭栄桓は一般女性にも責任がないわけではないという私の反駁まで非難しながら、「敵国の女性」に責任があるということなのかという(金富子)の誤読に加え「日本軍の暴力をどうしようもない当然のものだと前提」(478)し、「戦場の一般女性が自らの代わりに強姦された慰安婦に責任がある」という主張であるとすら述べている。

私が一般女性の問題を述べたのは「階級」の視点からだ。つまり「旦那さんとこのお嬢さま」(『和解のために』、88)の代わりに自分が慰安婦になったという存在に注目したものであり、彼女たちを送り出して後方で平穏な生活を享受することができた韓・日の中産階級以上の女性たち、そして彼女たちの子孫にも責任意識を促すための文脈だった。もちろんその基盤には、私自身の責任意識も存在する。

3) 総体的な没理解

鄭栄桓は徐京植の批判に依存しながら、アジア女性基金と日本のリベラルな有識者を批判しているが、徐京植の批判はどこにも根拠がない。旧宗主国の「共同防御線」[7]を日本のリベラルな有識者たちの心性と等しくさせようとするなら、具体的な準拠を示すべきだった。

そして、私は韓日の対立の責任を挺対協だけに転嫁しているのではない。日本側も明らかに批判した。にもかかわらず鄭栄桓をはじめとする批判者たちは、私が「加害者を批判せずに、被害者に責任を転嫁している」と規定し、以後その認識は拡散した。

鄭栄桓は私が使用した「賠償」という単語を問題視しているが、挺対協は「賠償」に国家の法的責任の意味を、「補償」に義務ではないという意味を込め、区別して使っている。鄭栄桓が指摘する「償い金」とは本にも書いたように、「贖罪金」に近いニュアンスの言葉だ。もちろん日本はこの単語に「賠償」という意味は込めてこなかったし、私もやはり挺対協が使っている意味に準じて「賠償」という意味を避け、「補償」と述べてきた。これは基金をただの「慰労金」とみなした者たちへの批判の文脈からだった。「償い金が日本の法的な責任を前提とした補償ではない」(479)という点には、私もやはり異論はない。にもかかわらず鄭栄桓は誤った前提で接近しながら、私が使った「補償」という単語が「争点を解消」(480)させたと非難している。

参考までに言及しておくが、日本政府の国庫金を直接使えないという理由で最初は間接的に支援することになっていた300万円ですら、結局は現金で支給した。アジア女性基金を受領した60人の韓国人慰安婦は実際に「日本国家の国庫金」ももらったことになる。依然として「賠償」ではないが、基金がただの「民間基金」だという理解も修正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4. 鄭栄桓の「日韓基本条約」理解の誤り

1) 慰安婦問題に関する責任について

鄭栄桓は私が慰安婦問題の「その責任を日本国に問うことはできない」(480)としたかのように整理している。しかし、私は「法的責任を問うにはまず業者の責任を問わねばならない」と述べただけで、日本国に責任がないとはいっていない。なお、知られていない様々な情況に鑑みて判断すれば、「法的」責任を前提とした賠償の要求は無理、というのが私の考えである。私が「業者」といった中間者の存在に注目するのは、日本国の責任を否定するためではなく、彼らこそ過酷な暴力と強制労働の主体であり、そのような暴力や強制労働から利得をあげた存在であるからだ。誘拐や詐欺などは当時も処罰の対象であったのである。何よりも、慰安婦の中の「恨み」が彼らに向けられている点とも関わっている。

私は、慰安婦問題の「本質は公式な指揮命令系統を通じて慰安所設置を指示」したという吉見の主張を大体は支持するが、女性の「徴集を命令した」という彼の言葉については、物理的な強制連行を想像させ、業者の自律性を無視する表現である以上、より繊細な規定が必要ではないかと考えている。また「兵站付属施設」という永井の指摘も支持はするが、既存の遊郭を使用した場合も多数存在していたという事実の補完も必要であろうと思う。無論、そのようなところに目を向ける理由は、日本の責任を希釈するためではなく、支援者たちが訴え続けている「真実究明」のためである。

私に対する鄭栄桓の批判が、純粋な疑問から逸れた曲解であるということは、需要を創出したこと自体、すなわち戦争を行ったこと自体を批判する私の文章を引用しながら、「上記の引用は、見方によっては、供給が満たされるくらいのものであるなら軍慰安所制度には問題がないというふうにも読まれ得る」(481)という指摘にもあらわれている。しかも、「業者の逸脱のみ問題視するならば軍慰安所制度そのものの責任が免除されるのは、当たり前の論理的な帰結であろう」(481)と書いている鄭栄桓の「飛躍」には驚きを禁じ得ない。

私は「軍による慰安所設置と女性の徴集、公権力を通じての連行」(482)を同列に置きながら「例外的なこと」として述べてはいない。私が例外的なこととして述べたのは朝鮮半島における「公権力を通じての連行」のみだ。にもかかわらず鄭栄桓は、上記のようなかたちで要約しており、あたかも私が「軍による慰安所設置」までも例外的なことだと見なしているかのように見せようとしている。

2) 憲法裁判所の判決について

憲法裁判所の判決について、私は間違いなく「請求人たちの賠償請求権」に対して懐疑的である。だがそれは、そのような形式―裁判に依拠した請求権要求という方式とその効果についての懐疑であっただけで、補償自体に反対したことはない。しかし、鄭栄桓は「請求権自体を否認する立場」と誤解されるように整理している。

また私は、支援団体が依拠してきた「婦人及び児童の売買禁止に関する国際条約」に基づいては「慰安婦制度を違法とすることはできな」いので、損害賠償を請求することはできないという相谷の指摘に共感しただけで、「責任がない」と主張するために引用したのではない。相谷の意図は「個人の賠償請求権を否定」するようなものではないが、そのような方法論では「成立しない」ということを述べている論文であることは確かで、私はその部分に注目しただけである。「個人の請求権を否定した研究であるかのように引用」したという鄭栄桓の指摘は単純な誤読か、意図的な曲解に過ぎない。鄭栄桓は常に、形式の否定を内容の否定と等価のものとして置き換える。現に支援団体が自ら「法的責任」に関する主張を変更したという事実も、鄭栄桓は参考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8]

3) 日韓協定について

鄭栄桓は私が金昌緑の論文も「反対に引用」したと言っているが、私は金昌緑の引用した様々な会談の文案を、鄭栄桓の指摘とは異なる文脈で用いた。故に、この指摘も根拠のない非難である。

金昌緑が言っているように、当時議論されたのは「被徴用者の未収金」についてであり、鄭栄桓本人が言っている通り、当時の慰安婦に関する議論は専ら「未収金」だけが問題視されていたのだろう。しかし、慰安婦は「軍属」であったという史料もすでに提出されており[9]、私の論旨に基づいて言えば日本が慰安婦を「軍属」として認めることもできるだろう。朝鮮人日本軍ですら補償が受けられる「法」が存在していたが、慰安婦にはそのような「法」は存在しておらず、このような認識は、慰安婦に関する「補償」を導き出すこともできるというのが私の主張であった。

鄭栄桓は、私が日韓協定の際に日本が支給した金額について「戦後補償」だと述べたというが、私は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に基づいてのものである以上、連合国との関わりの枠組みの中で決めることしかできなかったために、日本としては「帝国の後処理」ではなく「戦後処理」に該当する、と述べただけだ。

鄭栄桓は487項から488項にかけて私の本を長く引用しながらも、米国が朝鮮半島における日本人の資産を接受し、韓国へ払い下げ、これをもって外地から日本人を引き揚げさせた費用を相殺したと書いた部分を除いて引用している。しかし、この部分こそ、日本に対して請求権を請求するのは難しいと私が理解するようになったところである。国家が相殺してしまった「個人の請求権」を再び許容すると、日本人にとっても朝鮮半島へ残したままの資産に対する請求が可能になるという問題が生じるからである。

何よりも、私はこのときの補償が「戦争」の後処理でしかなく、「植民地支配」の後処理ではなかったと述べ、65年の補償が不完全なものであったという点について明白に言及した。にもかかわらず、鄭栄桓はこれについては一切触れず、私が1965年体制を「守護」していると述べているのである。

私は日韓協定の金額を「戦争に対する賠償金」と書いていない。「戦後処理による補償」と書いた。また、張博珍の研究を引用したのは、冷戦体制が影響を与えたという部分においてである。「脈略とまったく関係ないところで文献を引用」していないし、張博珍が「韓国政府に追究する意思がなかったと批判」した文脈を無視してもいない。

鄭栄桓がまだ理解していないのは、このときの韓国政府が植民地支配に関する「政治的清算」までしてしまったということである[10]。浅野の論文は『帝国の慰安婦』刊行以後のものである。私は本の中で、日本に向けて「植民地支配に対する補償」ではなかったからまだ補償は残っていると書いたが、浅野の論文を読んでかえって衝撃を受けた。これから日韓協定をめぐる議論は、もう浅野の論文を度外視しては語れなくなるだろう。

5. 生産的な議論のために

鄭栄桓はもはや徐京植や高橋哲哉さえも批判する。高橋はリベラル知識人の中でも際立って「反省的な」視点や態度を堅持してきた人物であり、徐京植と多くの共同作業をしてきた人物でもある。そのような人物まで批判する鄭栄桓に、私の最初の答弁で問うた言葉を改めて問うてみたい。鄭栄桓の批判はどこを目指しているのか。

明らかなことは、鄭栄桓の「方法」は、日本社会を変化させるどころか、謝罪の気持ちを持っていた人々さえも背を向けさせ、在日同胞の社会をさらに厳しい状況に追い込むだろうということだ。むろん日本社会にも問題があるが、それ以上に鄭栄桓の批判には「致命的な問題」があるからだ。その問題は、私に対する批判の仕方が証明している。存在しない意図を見つけ出すために貴重な時間を費やすより、生産的な議論に努めていただきたい。


[1] ページ数に限りがあるため、本稿では拙著の引用は殆ど出来ていない。本稿の論旨を確認したい読者は『帝国の慰安婦』(2015年6月に一部削除版が刊行)と『和解のために―教科書/慰安婦/靖国/独島』(2005初版、2015改訂版)を参考にしていただきたい。これに先立つ序論にあたる文を2015年朴裕河のFacebookの「ノート」に掲載する予定だ。www.facebook.com/parkyuha, parkyuha.org

[2] この反論を執筆していた2015年8月13日に、『ハンギョレ新聞』が鄭栄桓と朴露子の対談を掲載して再び私を批判したという事実を知った。鄭栄桓の私に対する批判の文脈を全体的に理解するためには、批判の前史を理解する必要がある。注1の文章を参考にしていただきたい。

[3] 鄭栄桓がブログに連載した私への批判文の題名は「『帝国の慰安婦』の方法」である。「方法」を全面的に押し出し、私に内容以前の問題があるという認識を与えることで、学者としての資格と道徳性に傷をつけようとする戦略は明らかだ。

[4] 朴裕河、「あいだに立つとはどういうことか―慰安婦問題をめぐる90年代の思想と運動を問い直す」、『インパクション』171号、2009.11。

[5] 元従軍慰安婦の李容洙(イ・ヨンス)さんの証言はこの20年間で何度も変わっている。最近、過去の証言集に対して不満を吐露したが、これは証言の不一致を指摘されたからと見られる。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66

[6] 朴裕河、「慰安部問題、考え直さ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シンポジウム『慰安婦問題、第3の声』資料集、2014.4.29。『帝国の慰安婦』削除版に掲載。

[7] 徐京植、『植民地主義の暴力』、高文研、2010.70頁。

[8] 『ハンギョレ新聞』2015.4.23。

[9] 波止場清、「慰安婦は軍属―辻政信が明言」、『ハフィントン・ポスト』2015.8.3、旧日本陸軍参謀だった辻政信が『潜行三千里』という著書で慰安婦について「身分は軍属」と書いていた事実が確認されている。

[10] 浅野豊美、「『国民感情』と『国民史』の衝突、封印・解除の軌跡-普遍的正義の模索と裏付けられるべき共通の記憶をめぐって」、近刊掲載予定。

出典 : 『歴史批評』 112号

記憶の政治学を超えて – 『帝国の慰安婦』 提訴されてから1年

1. 慰安婦問題をめぐる認識の変化

慰安婦問題に関する認識をめぐり、この1年の間に顕著な変化がありま した。昨年8月、朝日新聞と北海道新聞が「強制連行」に関して掲載した 過去の記事を取り消す事態は、その始まりでした。そして、5月には、ア メリカの著名な歴史学者がこの問題に関する意見と提言を発表しました。 何より注目すべきは、韓国と日本の支援団体がこれまでの立場を変えたこ とです。

余り知られてはいませんが、慰安婦問題をめぐる攻防は、「法的責 任」、「国家賠償」というこの二つに集中しています。支援団体は、日本 が責任を負おうとしない、謝罪も補償もしていないと、この20年間主張し てきましたが、その話の意味は、「法的」責任を負っていないということ です。日本が行った補償は、いわゆる「道義的な補償」であって、「法 的」補償をすべきというのがこれまでの主張でした( 『帝国の慰安婦』参 照)。国会における「立法」を主張してきた支援団体が、その主張から一 歩退いて、立法しない方法でもよいと、その立場を変えたのです(201 5.4.23 ハンギョレ 映像参照)。

これらすべてのことが、この20年間の動きや、2007年にアメリカの 下院が議会での決議を通じて日本に謝罪を求めて以来、世界がそれに同調 してきた過去8年の動向から考えると、括目すべき変化であると言えます。 これまで支援団体や関連する研究者らが、「法的責任」を主張してきたその根拠は、慰安婦問題が発生した初期に、様々な理由により「軍人が強制 的に連れて行った」と理解されたことで、「国家賠償」をすべきだとする 考え方にありました。しかし、その後、徐々に、最初の理解とは異なる研 究も出始めました。

しかしながら、このような認識の変化は、「公には」明らかになりませ んでした。日本人慰安婦の存在、業者の存在、人身売買などについて、公 式的に公表されたり、議論されたりした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

そして、初期に認識された「強制連行」の意味するところと異なる状況 であることが知られた後には、そのような認識の変化に対する説明は行わ れず、日本軍が人身売買であると知りながら受け入れたとか、認識してい たが人身売買の業者を処罰しなかったという意味で、「強制連行」という 単語が使われるようになりました。そして、そのことに関する日本の「国 家責任」を追及したのが、慰安婦問題をめぐる現在の状況です。

慰安婦関連の支援団体は、もはやこれ以上は朝鮮半島における強制連行 を強調しません。「植民地統治」下であったが故に、むしろそのような形 の強制は行われなかったと話しています。(『帝国の慰安婦』に対する告 発状)。

実は、この点はまさに『帝国の慰安婦』で私が話している内容です。い くら植民地であっても「法」に違反することを勝手にすることはできませ ん。法的に認められた思想犯の取り締まりの他には、植民地であるがゆえ にかえって慎重に統治しなくてはならない部分もあったのです。問題はこ のような認識の変化が「公に」公表されることがなかったという点です。

歴史学者などの関係者は、「軍が認識しながら受けいれた」としていま すが、次の資料はそのような認識が必ずしも正しいわけではないというこ とを示しています。

9月に入り、業者が慰安婦の数が減っていることを理由に挙げ、充員し てほしいと申請したため、支部が許可した。10月、京漢線を経由して、 二人の朝鮮人の引率の下、30人余りの女たちが朝鮮から到着した。誰が、 どのような手段で募集したかはわからないが、その中の一人の女が陸軍将 校の集会所である偕行社に就職すると約束してきたのだが、慰安婦だとは 知らなかったと泣きながら、就業を拒否した。支部長は、業者が女に仕事 をさせないようにして、他の適切なところに就職させるよう命令した。お そらく斡旋業者のような人が、騙して募集したのだろう。(『漢口慰安所』 221頁)

何よりその中には日本人もいたことを考えると、軍人が、暴力的ではあっても、不法な行為を行うのは容易ではないことは簡単に推し量ること できます。もちろん、例外があった可能性はありますが、「国家の方針」 でそういうことがあったのか否かが「不法」の可否を判断する重要な要素 となります。

慰安婦問題をめぐる数多くの誤解は、「日本軍と朝鮮など他国の女性」 という関係の構図から理解されたことに端を発します。もちろん、支援団 体の関係者は、日本人慰安婦の存在についても知っていましたが、長きに わたり、日本人慰安婦を朝鮮人女性とは異なる存在として扱ってきまし た。そして、その背景には「日本人は売春婦、朝鮮人は少女」という認識 があったのです。

最近になって、日本人慰安婦に関する本格的な研究書が日本で出版され たのですが、慰安婦問題について、“公娼業者だけではなく、民間人も多く の女性の売買と詐欺のような斡旋に関係し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戦争 前から女性を人身売買や騙して売春に送り込む業者が実に多く存在し”た (西野瑠美子『日本人慰安婦 愛国心と人身売買と』260頁、 2015)と話 しています。また、この本の帯には、 “売春婦は被害者ではないのか?”、 “見過ごされてきた日本人慰安婦の被害を問う”と書いてあります。

言うならば、慰安婦を調達する基本的構造が「強制連行」ではなく、 「人身売買」を通じたものであり、いわゆる「売春婦」も慰安婦のシステ ムの中にあったということを、今では支援団体も語る段階に来たのです。

実は、日帝強占期(日本植民地時期)に、朝鮮半島には、日本人が数十 万人暮らしていました。当然、彼らの中にも慰安婦になった人もいまし た。川田文子が書いた『赤瓦の家―朝鮮から来た従軍慰安婦』には、釜山 の地で募集された女性の中には、‘日本の女も2人混ざっていた’という記 述が見られます。さらに、朝鮮のソウルや北朝鮮にある慰安所の前で、軍 人たちが列を作って並んでいる風景を描いた文章は少なくありません(梶 山俊之、後藤明正など)。したがって、これ以上、慰安所に関するこれま での認識だけでは慰安所を語ったとは言えなくなりました。

慰安婦制度を支えたシステムが「人身売買」であったという事実は、こ れまでの認識―‘強制的に連れて行かれた幼い少女’という認識に込められ ていた連行の主体と状況についての理解を見直すことを求めます。

しかし、韓国では、いまだに1990年代初期に定着した‘強制的に連れ て行かれた慰安婦’というイメージが支配的です。そして、在韓日本大使館 の前に設置された少女像は、「強制連行」の認識がまだ(公式的には)支 配的であった時期の像です。2011年の冬、初めて少女像が建てられてから、ソウル以外の多くの場所、そして、アメリカにまで建てられること になり、解放70年を迎え、今年には全国的な勢いで、少女像の建立が進 められていますが、そのような意味ではこの少女像の意味も리고 미국에까 지 세워지게 되었고 해방 70년을 맞아 금년에는意味では、この少女像の意味 も再考されるべきですこの少女像が依然として既存の認識である「強制連 行」を象徴しているからです。ソウル市までもがグァンファムン(光化 門)や市庁に少女像を建てると発表しており、本当に建立するのであれ ば、慰安婦問題の根源的な本質、-家父長制の下で、国家の勢力拡張に、 個人の性を動員された女性たちという普遍的な意味合いを込めるべきだと 思います。

2.<世界の考え>と理解の偏向

ところで、5月末に、アメリカの歴史学者たちが日本政府の送った公開 書簡は、彼らの認識が韓国や支援団体の表面化した認識とは多少異なって いることを示しました。

詳細は、今日の資料集に収録された内容を参照していただきたいと思い ますが、歴史学者たちの書簡は、日本政府と国民が大体において納得でき ると思われる内容でした。そして、批判・非難ではなく、説得・勧告する 論調でした。議論が十分に行われ、苦心した痕跡が明らかであり、結果的 に繊細で合理的な内容でした。

注目すべきは、この声明には「人身売買」、「性売買」という単語が使 われていたという事実です。

アメリカの学者たちも、これ以上、韓国や支援団体が主張する「強制連 行」は話しません。安倍首相が人身売買という単語を使ったということ で、韓国は非難しましたが、その認識はすでに安倍首相だけのものではあ りません。そして、重要なことは、これらの歴史学者たちの声明や、日本 の支援団体が出した本がそうであるように、彼らの「人身売買」という理 解は、慰安婦問題を否定するために使われたものではないという点です。

しかし、韓国のメディアは、その声明が韓国・中国を批判した事実は報 道しませんでした。まるで、これまでの韓国の主張を指示した書簡である かのように報道したのです。これは、長い間続いてきた韓国メディアの偏 見と怠慢に―直接取材せず、自ら翻訳しない―起因するものだと言えるで しょう。このような偏向的な態度は、慰安婦問題が長引く中、支援団体を中心にした認識だけが余りにも深く広がり、定着してしまった結果です。 反対に、日本のメディアが大きく報道したベトナムでの韓国軍慰安所に 関するニュースは、韓国ではほとんど報道されなかったか、だいぶ遅れて 報道される現象が起こりました。程度の差はあるものの、このように、慰 安婦問題をめぐる情報の遮断と歪曲が、韓国ではこれまで20年間続いて

きました。 アメリカの学者に続いて、5月末には、日本の歴史学者たちによる声明も発表されました。しかし、この声明には、アメリカの学者たちが誠意を 尽くした声明についての言及は全くありませんでした。そして、結論から 言いますと、彼らの声明の内容は、日本政府とこの問題に懐疑的な日本国 民を説得するには力不足な内容でした。内容が間違っているというより は、話すべき内容の半分もしていない声明だったからです。実際に、日本 の新聞の中で、この声明を報道したのは、朝日新聞と東京新聞だけという 事実がそのような状況をよく表しています。

この声明について沈黙した日本のメディアの中には、慰安婦問題そのも のを否定したがる言論もありますが、全てがそういうわけではありませ ん。そして、日本の歴史学者による声明が発表された直後、日本のイン ターネットには、彼らに対する批判や揶揄が多く書き込まれました。学者 たちが彼らなりに得た認識をこの声明は盛り込んでいなかったためです。 正しいかどうかということとは別に、そのようなメディアと国民に対する 理解がない限り、慰安婦問題の解決は困難です。

ところが、韓国のメディアは、この声明が日本を代表しているかのよう に大々的に扱い、賛同した人数がいかに多いかということだけを強調しよ うとしています。しかし、ある日本人の学者は、自分も学会のメンバーだ が、学会が、自分には意見を問うこともなかったとしながら、今後も賛同 する考えはないということを、フェースブックに書いており、このような アプローチの問題点を示しています。

日本人学者たちによる声明は、「本人の意思に反する」「連行」も「強 制」であるとしています。しかし、かつて「軍人による直接的な連行」を 「強制連行」としてきたこれまでの認識との違いについての説明は依然と してありませんでした。公式的に見解を発表していなかったため、主要な 論点の内容を何ら説明せずに変えるのかといった揶揄を受けたのです。

また、「本人の意思に反した連行」の主体を明らかにしませんでした。 軍人であったとしても、そのようなケースはむしろ少数であり、そのよう に連れて行かれた場合でも軍が送り返したか、あるいは他のところに就職させた場合もあったという事実、すなわち「本人の意思に反して」行った 場合までも、国家や軍の公式的政策や方針ではなかったということ、つま り、どちらが例外的な場合だったかについて言及してこそ公正と言えるで しょう。業者が人身売買した場合、軍がどこまで関与できたかについて も、批判であれ擁護であれ、明確のその構造について言及しないと誤解を 避けられないと思います。そうしなかったために、人身売買の主体が日本 人であるかのように誤解され、結局いつまでも正確ではない批判が続き、 日本政府が頑なになる場合が続いているのです。

さらに、声明では、慰安婦を「性奴隷」と規定しました。無論、慰安婦 に「性奴隷」的な側面があったことは否定できません。性売買と言える側 面があったとしても、不公正な差別の構造があったことも事実です。

しがしながら、「性奴隷」的な構造を指摘することと、「性奴隷」であ ると言うことは同じではありません。それを聞く人が思い浮かべる内容が 異なるために、結局、一般の人の理解は依然近づきません。性奴隷であっ たとするならば、彼女たちの直属の「主人」が業者であり、強制労働をさ せたのも、利潤を得ていたのも業者であったという事実も話さなければ、 総体的な姿とは言えないと思います。

請負業者ではなく、仕事を与えた側を批判するのは問題がありません。 しかし、「日本」という名前だけで批判する場合には、後にも触れる様々 な矛盾が生じます。そのような矛盾を無視したことが、支援団体と支援者 らが反発を買った所以です。

声明は、慰安婦問題が、“当時の国内法および国際法に反する重大な人 権侵害だった”としていますが、これは「強制連行」に関することではあり ません。ただ、人身売買と移送に関することだけです。しかし、その部分 を明確に表してはいません。

「人身売買」であることを公的に論じると、支援団体と研究者がこれま で主張してきた内容は、

1.“人身売買を知りながら受け入れたのであるなら不法”

2.“日本では売春業に従事する女性であっても、21歳以下は渡 航できないことになっていたが、朝鮮では21歳以下も渡航できるよ うにして、幼い少女を慰安婦として動員できるようにした”

3.“日本では、就職詐欺や人身売買が発生しないようにする法的規 制が存在したが、植民地ではそうではなかったため、詐欺や人身売買 を簡単に行えるようにした”

というものでありました。しかし、前記で示したように、これらの主張に は問題があります。また、「朝鮮半島の日本人女性」に対する認識がな かったため、日本―内地と、朝鮮においての募集方法に違いがあったこと 前提にした結論だと判断されます。

重要なことは、日本であれ、韓国であれ、支援団体や歴史学者は、朝鮮 人慰安婦については、もうこれ以上は“強制連行”ではなく、“人身売買”で あることを基にして、様々な主張を展開しているといった点です。

そして、支援団体は、そのような事実を長い間公式的に言わずにいたた め、国民の多数が未だに軍人が強制連行したと考え、少数のみが詐欺や人 身売買だったと考える、このような認識の偏差とそれに伴う混乱を生み出 してしまったのです。しかも、外国に対しては、その意味するところが異 なる「強制連行」説を主張し、それにより、韓国と日本の国民の葛藤は深 まってしまいました。そして、たとえ慰安婦問題が解決されたとしても、 日韓のわだかまりは容易には解消しがたい状況にまで来てしまいました。 今からでもそのようになってしまった原因を、日韓がどもに考えなくては ならず、そのような状況を前提にして問題をひも解いて行かなくてはなり ません。日本の支援団体の用語の使い方の変化にも注目しなくてはなら ず、何故に日本で支持を得られなかったのかについても、総合的に考え、 違う枠組みからアプローチしないと、慰安婦問題の解決は遥遠いことで しょう。

3. 歴史と向き合う方法

1) 知的怠慢からの脱却

しかしそのような問題意識を内容とする私の本は告発を受け、結局、部 分的に削除して出版する事態になってしまいました。そして、『帝国の慰 安婦』および私の他の本は、「親日」という疑念の中で、1年を過ごして きたのです。

しかし、“親日”というレッテルは、よく知らない考えについてはそれ以 上考えようとしない知的怠慢を露呈する思考に対する表現です。複雑で繊 細な問題を単純で粗雑に解き、結果的に暴力を生み出す思考へと繋がりま す。何よりも、そのようなレッテルを恐れ、沈黙したり、レッテルを付け る側に転じてしまったり、全体主義に加担することでもあります。そのようなことに抵抗しない限り、誰もが大勢と異なる話はできない自閉的空間 が広がり、思考が自由であるべき若い学生すらも自主検閲に汲々となる状 況は、これまでにも見慣れた光景です。

そのような知的怠慢は、支援団体などが中心的主体となる日本に対する 根拠なき非難を容認し、結果的に、韓国社会において日本に対する否定的 な認識を作り出すのに一助となりました。特に、挺隊協(韓国挺身隊問題 対策協議会)をはじめとする被害者関連の団体、または領土問題に関連す る団体は、慰安婦問題について触れる度に、日本を軍国主義国家と非難し てきました。その結果、2015年現在、韓国人の70%以上が日本は軍 国主義国家と考えています。戦争が終わって70年が経過しても、謝罪や 反省もしないだけではなく、今なお他国の領土を虎視眈々狙っている国と いうイメージをもたらせるに至ったのです。このような認識が払しょくさ れない限り、日韓の和解は難しいでしょう。

さらに深刻な問題は、 このような経緯により、2015年現在のメディ アと外交と支援運動が、自閉的な状況に陥ってしまったという点です。今 の日本では、慰安婦のために「アジア女性基金」の募金に参加した人々の 存在を想像し難いほど、国民感情が悪化したという点です。しかしなが ら、韓国のメディアや外交、運動団体は、今なお日本の嫌韓派を増やさざ るを得ない考え方と主張のみを繰り返しているだけです。慰安婦問題を考 えるということは、遅ればせながら、このような現在の状況を把握し、日 本を総体的に知ることから、新たに始めなくてはならないと思います。

2) <暴力の思考>を止揚する

重要なことは、そのような知的怠慢がどこから来たのかを知ることで す。実際、今の韓国の日本観は、純粋な日本観というよりは、慰安婦問題 がそうであるように、日本のリベラル派・いわゆる良心的市民・知識人・ 市民運動家による戦後・現代の日本観であると言えます。とりわけ、戦後 の日本の反省と協力を全く認めようとしない不信に満ちた態度が、彼らの 自分の国に対する反省から来たという点に注意する必要があります。彼ら の自国批判は、政権獲得、すなわち政治と繋がっており、正しいか否かは さて置き、日本を代表するものと見做すのは困難です。しかし、「国家」 を相手にしなくてはならない日韓の問題において、90年代以降、リベラ ルや保守の半分だけの自国観に基づき、日本を理解してきたということ は、その認識の是非は別にして、韓国の日本認識を不完全なものにせざる を得なかった要因になったと言えます。

80年代後半まで韓国は反共国家であり、それまで徹底的に弾圧されて きた革新左派が、日韓の市民交流の主役になったことが、このような日本 認識の背景にあります。彼らの中でも、とりわけ現代日本の政治に批判的 であった者が、与野党の合作としての謝罪補償方式であった「アジア女性 基金」に不信感を抱いて排斥し、韓国の支援団体がこれに同調したこと で、結局90年代の日本の謝罪と補償は全うされませんでした。そして、 15年後、我々は、現在、日本のメディアが慰安婦問題について報道すら しない局面に直面しているのです。

したがって、徹底した「正義」を語り、日本を糾弾する先頭に立った一 部の在日韓国人を含む日本のリベラル派の考え方にどのような問題があっ たのかについて、一度考えてみる必要があります。

在日の一部と一部のリベラル派勢力の日本に対する視線は非常に否定的 です。彼らは、戦後日本が、実は継続した植民地主義を継承した空間だっ たと話しています。そのように否定する根拠は、天皇制の維持、在日に対 する差別、拉致問題を起こした北朝鮮批判、などです。彼らが言うとお り、戦後日本は戦争を引き起こし、植民地を作った天皇制を清算しません でした。そして、現代日本では、在日に対する差別が清算されるどころ か、在日をも対象にした韓国に対するヘイトスピーチが問題となっている のも事実です。このことだけ見れば、彼らの戦後日本観が正しいと言える かもしれません。

しかし、そのような論理だと、天皇制が廃止されない限り、日韓の和解 は不可能だという結論になります。両国民の和解―感情的な信頼回復の問 題を、天皇というシステムの問題に置き換えていると思います。何より、 国民同士の和解が、天皇制の存在如何によって決定されるという考えは、 ロミオとジュリエットを連想させる、極めて家父長的な考え方です。たと え、現在の天皇が過去を反省しないとしても、国民がそれにより不信感を 持つべきとの論理が成立すれば、少数政治家の考えに国民全員が振り回さ れなくてはならないという話になります。そして、実際に、これまでの日 韓の葛藤は、まさにこのような考えに基づいたものでした。そのために、 一人や二人が植民地支配に対する謝罪について否定的な見解を述べれば、 皆の視線が集中し、国全体が対立する消耗的な状況が繰り返されてきたの です。何より、天皇制の維持は、実は、日本の戦争禁止法である憲法第九 条と引き換えにされたのです。(小関)

しかし、戦後日本に対する不信感を込めて、ある在日の学者は、 日本の 社会に最も批判的な日本のリベラル派知識人をも批判し、日本を全否定しています。その一部の在日の認識が、ハンギョレ新聞の読者に共有され、 拡散されたことで、日本に対する不信感を植え付け、戦後日本の知らざれ る部分を伝えようとした『和解のために』に対する批判的見方が拡散した のは、そのような日本への不信感の拡散と軌を同じくするものです。結果 的に、現在の韓国の日本観は、日本にいる在日韓国人によって作られたと ころが大きいのです。そしてこのような現象は今も進行中です。

① 支配-家父長的考え方

詳細は省略しますが、『和解のために』が批判を受けたのは、私が在日 同胞の家父長制を批判した後からです。そして、その後、韓国でも『帝国 の慰安婦』批判に本格的に乗り出したのは、慰安婦問題の研究者を除け ば、大部分が男性研究者であった理由もまさにここにあります。日韓の政 治の主役は、体制の中心に位置してきた彼ら―男性たちがすべきことだっ たからです。彼らにとって、『帝国の慰安婦』や『和解のために』は、父 や兄の許しを得ずに、日本と恋愛をする妹や姉、そして娘のような存在な のです。彼らの怒りは自分の指揮権から脱した女性に対する怒りです。

もちろん、慰安婦の恋愛に対して、面白くない心情を表すのもそのため です。『和解のために』を、『和解という名の暴力』と規定し、あたか も、国家野合主義や危険なスパイの試みであるかのように思わせる視線 は、他でもない家父長的視線です。これらの本が、「民族」のものとして 護るべき少女のイメージを、あるいは、母親のイメージを壊してしまった からです。「告発には反対する」としながらも、沈黙することで告発に同 調した学者もまた同じです。「売春」、「同志」という単語について、彼 らがとりわけ気分を害した理由もそこにあります。反体制を標榜するリベ ラル派勢力が、「国家の力」を借りて処罰しようとする矛盾が生じた理由 も、そのような心理メカニズムの結果です。ある地方自治体の首長が、私 に「親日派」というレッテルを付けて、数千人の聴衆に餌食として投げ、 満身創痍にするという出来事が発生したのも同じような構図だと言えま す。

少女に対する執着は、家父長制的な韓国社会の純潔性に対する欲望を物 語ります。また売春に対する差別意識を示しています。

重要なことは、少女像を通じて護られるのは、慰安婦ではなく、「韓国 人」の純潔性であるという点です。言い換えますと、「韓国人」のプライ ド(矜持)のためなのです。支配された自分―蹂躙された自分を消去した い欲望の発露です。つまり、一回たりとて強姦されていない自分に対する想像が少女像を望ませたのです。 家父長的な意識は、自分の純潔性と純血性を想定した上で、「韓国」と

いう固有の名を揺るぎ無きアイデンティティーとしています。それは、 「日本」に対抗するアイデンティティーが必要だからです。しかし、その ような考え方が主導的な状況では、国際結婚した人々は声を上げることが できません。国際結婚から生まれた子供たちは声を上げることができませ ん。そして、近代国家は、そのような純血主義に基づいて、家父長制を維 持し、少数の者を疎外させてきました。純粋な「日本人」、純粋な「韓国 人」の範疇から外れる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雑種として扱い、辺境へと追 いやりました。このようにして、中央中心主義を支え、ナショナル・アイ デンティティーを再生産してきたのです。

問題は、そのような意識は、天皇制を信奉する日本の右派と同じ意識で あるという点です。批判する側が、往々にして「いやなら立ち去れ!」と 叫ぶ意識は、そのような意識の現れです。彼らにとって、共同体は均質な 共同体であるべきなのです。しかし、そのような考え方は、日本で在日韓 国人・朝鮮人を疎外させる考え方と同一の「嫌韓ヘイトスピーチ」と何ら 変わらない暴力的な考え方です。そして、これらの考え方は、全て家父長 制的な支配意識が作り出します。

② 恐怖-免罪・疑心

違う姿を見ようとする試みが、単に、日本の責任を希釈させる「薄める 行為」として糾弾される理由もそこにあります。慰安婦問題が、「性」の 問題である限り、その第一の責任は「男性」にあります。しかし、「日 本」という固有の名にのみ責任を集中させるやり方は、階級やジェンダー の責任を看過させてしまいます。家父長制的考えを持つ人々が、民衆と国 家の力を借りて弾圧に乗り出したのは、そのような構造を示しています。 そして、そのような行為は、民間人と国家によって自分の人生を奪われ、 ただ日本人男性の庇護でもあれば、生きながら得ることができた慰安婦に 対する男性・国家の拒否感と軌を同じくします。

業者や男性の責任を否定し、「構造的な悪と同じ次元で比較できるもの ではない」(徐京植、104)と見做す発言は、日本―巨大悪、朝鮮―小 悪と見做すもので、「小悪」を免罪しています。他の責任を考察すること が、「日本を免罪する」という考えは、他の責任―小悪の責任を隠蔽しま す。このように、責任の主体を固定し、「被害者」という名の「無責任体 系」を作るのです。

『帝国の慰安婦』を批判する男性研究者が、一様に「危険」という表現 を使っているのは、そのような意識の現れです。そのために、この本が純 粋なものではなく、何らかの意図を持っており、そのための緻密な戦略に 基づいて執筆されたといった主張をしているのです。彼らが繰り返し、 『帝国の慰安婦』や『和解のために』の記述が、「レトリック」や「戦 略」が盛り込められた表現であると強調する理由も、共同体の規範を犯し た者だと示すための排除の戦略です。

③ 抵抗という名の暴力

問題は、このような考え方が暴力を支える構造につながるという点で す。ある在日同胞は、日本の「反省」を促すあまり、9.11同時多発テ ロを肯定的に捉える態度すら取っています(徐京植、『言葉の監獄で 』)。言うならば、彼自身が不当だと考える対象に対して、抵抗という名 目で暴力を容認するものです。

しかし、抵抗という名で暴力が容認される限り、この世から暴力はなく なりません。日本の戦後に対する「(今日まで)継続する植民地主義」と いう名の不信感は、結局「抵抗」という名の「継続する暴力主義」を生産 します。『帝国の慰安婦』に対する抵抗のように見える批判と告発が、国 家を動員する暴力に留まらず、群衆の敵愾心という暴力を呼び起こそうと したのもその延長線上のことです。

そのような意味においては、「抵抗」というメカニズムを容認させた 「サバルタン」の意味も再考されなくてはなりません。被害者意識は、下 層階級が固定されていないにもかかわらず、固定されているかのように認 識させ、「抵抗」という名の暴力を認めます。日本に対する無差別で暴力 的な発言が許されるのも、そのような構造の下でのことです。被害者も強 者になりえるという点、サバルタンの位置づけも転倒しうるという点も認 識すべきでしょう。

一つの固有名により、民族・国家の対立を強調することで、女性に対す る搾取を覆い、「民族」の娘になることを要求する家父長的な言説―支配 と抵抗と恐怖の言説は、暴力を防ぐことができません。混血と辺境の考え 方を抑圧し、皆が同じような「日本人」、または「韓国人」になり、対立 することを要求しているためです。そのような枠組みから脱する試みにつ いては、魔女狩りのような排除を求めるからです。

したがって歴史にしっかり向き合うためには、過去を総体的に記憶しな くてはなりません。

「例外・断片・破片」などの単語で存在する記憶を少数として認め(小 数化)、抑圧してはなりません。差別と抑圧が中心となっている空間にお いての「異なる」記憶は、大勢に抵抗したという意味で、むしろ記憶すべ きであり、継承されるべき一つの「精神」です。

同時に、中心的な多数の体験も記憶されなくてはなりません。「アジア 女性基金の忘却」は記憶の消去です。韓国人に謝罪した人々を、彼らが 「国家」を代弁していないというだけで、彼らの心を歴史から排除した暴 力です。その結果として、日本人の多くの善なる気持ちは、韓国人の記憶 から無視され、消去されました。彼らは、「依然として戦争を記憶する 人々が多かった時代の中心的記憶」でもありました。彼らこそ、「戦後の 日本」を代表する人々であり、まさに、彼らが記憶されなくてはならない 理由です。最近の十年余りの嫌韓は、より若い層が中心となっています。 戦争を記憶できない人々の記憶より、戦争と支配を記憶する人々の記憶 が、われわれにとって、より大切であることは言うまでもありません。

選擇的な記憶を強要し、あるいは隠蔽する「記憶の政治学」を超えて、 あるがままの過去と直面する必要があります。加害であれ、協力であれ、 封印された記憶を直視することを恐れる必要はありません。なぜなら、そ のような試みこそ、過去に対する責任が誰にあるのかをより明確にするか らです。アイデンティティーは一つではなく、同時に、赦しと批判の対象 をより具体化できます。恐れと拒否は、我々に、いつまでもトラウマを抱 えた虚弱な自我として生きていくようにするでしょう。

日韓協定締結50周年、解放70周年を迎えた今年、これ以上時間が経 たないうちに、日韓がともにする、そのような新たなスタートが必要で す。

(翻訳 | イ・ヒキョン)

2015.06.20
出典 : 東アジア和解と平和の声 発足記念シンポジウム 「歴史への向き合い方」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서 – 『제국의 위안부』 피소 1년

1.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인식의 변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인식을 둘러싸고 이 1년 동안 현저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작년 8월에 나온 <아사히신문>과 <홋카이도신문>의 ‘강제연행’에 관한 과거의 기사를 취소한 사태는 그 첫걸음이었습니다. 그에 이어 지난 5월에는 미국의 저명역사학자들이 이 문제에 관한 의견과 제언을 발표했습니다. 무엇보다 주목 해야 할 것은 한·일 지원 단체들이 기존의 입장을 바꾼 일입니다.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공방은 ‘법적책임’, ‘국가배 상’이라는 두 단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즉 지원 단체는 일본이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 사죄도 보상도 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이 20여 년 동안 말해 왔는데, 그 말의 의미는 ‘법적’책임을 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일본은 보상을 했지만 이른바 ‘도의적 보상’이었고, 그런 것이 아닌‘법적’ 보상을 하라는 것이 그간의 주장이었던 것입니다 (『제국의 위안부』 참조). 따라서 국회에서 ‘입법’ 을 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지원 단체가, 그런 주장에서 한 걸음 물러나 그런 입법을 하지 않는 방식이라도 좋다고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 (2015/4/23 <한겨레> 당일 동영상 참조).

이 모두가, 이 20여년의 동향, 그리고2007년에 미국하원이 국회결의를 통해 일본에 사죄를 요구한 이후 세계가 그에 동조했던 이 8년간의 동향에 비추어 괄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그동안 지원 단체와 관련연구자들이 ‘법적 책임’을 주장해 온 근거는 위안부 문제 발생 초기에 여러 가지 이유로 ‘군인이 강제로 끌어간 것’으로 이해되면서, ‘국가배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사고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조금씩 처음의 이해와는 다른 연구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인식의 변화는 ‘공적으로’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일본인 위안부 의 존재, 업자의 존재, 인신매매 등이 공식적으로 공표되고 논의된 적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처음에 그 단어가 의미하던 ‘강제연행’과는 다른 상황이라는 것이 알려진 이후에는 그런 인식의 변화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고 이번에는 일본군이 인신매매를 알고도 받아들였다거나, 알고도 인신매매업자들을 처벌하지 않았다 는 뜻으로 ‘강제연행’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게 됩니다. 그리고 그에 관한 일본의 ‘국가책임’을 묻고 있는 것이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현재의 상황입니다.

위안부 관련 지원 단체들은 더 이상 한반도에서의 강제연행을 강조하지 않습니다. ‘식민지통치’하이기 때문에 오히려 그런 식의 강제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고 말합니다.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고발장)

실은 이점이 바로 제가 『제국의 위안부에서 말한 내용입니다. 아무리 식민지 라도 ‘법’에 위반하는 일을 마음대로 할 수는 없습니다. 법적으로 용인된 사상범 단속 외에는 식민지이기에 오히려 조심스럽게 통치해야 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공적으로’ 공표되는 일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역사학자등 관계자들은 ‘군대가 알고도 받아들였다’고 하지만 이하의 자료는 그런 인식이 꼭 옳지만은 않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9월 들어, 업자들이 위안부의 숫자감소를 이유로 충원을 신청했기 때문에, 지부는 허가했다. 10월, 경한선을 경유해 두 조선인의 인솔 하에 30여명의 여자들이 조선에서 도착했다. 어떤 사람이 어떤 수단으로 모집했는지 지부가 알 수는 없었으나 그 중 한 여자가 육군 장교의 집회소인 가이코샤에 취직한다는 약속을 하고 왔는데 위안부일 줄은 몰랐다고 울면서 취업을 거부했다. 지부장은 업자가 그 여자한테 일을 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적절한 다른 곳에 취직시키라고 명령했다. 아마도 소개업자 같은 사람들이 속임수를 써서 모집한 것일 터였다. (『漢口慰安所』, 221쪽)

무엇보다 이들 중에 일본인도 있다고 생각하면 군인들이 폭력적일 수 있어도 불법적인 행위를 쉽게 할 수는 없다는 것은 쉽게 유추할 수 있는 일입니다. 물론 예외가 있었을 수 있지만 그것이 ‘국가방침’이었는지 여부가 ‘불법’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수많은 오해는, ‘일본군과 조선 등 타국여성’의 관계구도 로 이해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물론 지원자들은 일본인 위안부존재에 대해서 도 알고 있었지만, 오래도록 일본인위안부를 조선인여성과는 다른 존재로 취급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일본인은 매춘부, 조선인은 소녀’라는 이해가 존재했습니다.

최근에야 일본에서 일본인위안부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서가 나왔는데, 이들은 이제 위안부 문제에 대해, “공창업자뿐 아니라 민간인도 다수 여성의 매매와 사기적 알선에 관계했다는 걸 알았다”, “전쟁이 나기 이전부터 여성을 인신매매 나 사기로 매춘으로 몰아넣는 업자가 실로 많이 존재했”다(西野瑠美子, 『日本 人慰安婦ー愛国心と人身売買と』, 260쪽, 2015)고 말합니다. 또 이 책의 띠지 에는“매춘부면 피해자가 아닌가?”, “간과되어온 일본인위안부의 피해를 묻는 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말하자면, 위안부조달의 기본구조가 ‘강제연행’이 아니라 ‘인신매매’를 통한 것이었고 이른바 ‘매춘부’도 위안부 시스템 속에 있었다는 것을 이제 지원 단체도 말하는 단계에 온 것입니다.

실은 일제 강점기의 한반도에는 일본인이 수십만 명 살고 있었습니다. 당연히 그들 중에 위안부로 나간 이도 있었습니다. 가와다 후미코가 쓴 ‘빨간 기와집’에는 부산으로 모집된 여성들 중에 ‘일본 여자도 두 명 섞여 있었다’고 하는 기술이 보입니다. 더구나 조선의 서울이나 북한위안소 앞에 군인들이 늘어서 있는 풍경을 묘사한 글은 적지 않습니다.(가지야마 도시유키, 고토 메이세이 등). 따라서 더 이상, 위안소에 관한 기존인식만으로는 더 이상 위안소를 말한 것이 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위안부 제도를 지탱하는 시스템이 ‘인신매매’였다는 사실은, 기존의 인식-‘강 제로 끌려간 어린 소녀’라는 인식에 담긴 연행주체와 정황에 대한 재이해를 요구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1990년대 초기에 정착된 ‘강제로 끌려간 위안부’의 이미지가 지배적입니다. 그리고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은 ‘강제연행’인식이 아직 (공적으로는)지배적이던 시기의 상입니다. 2011년 겨울 처음으로 소녀상이 세워진 이후로 서울 이외의 여러 곳, 그리고 미국에까지 세워지게 되었고 해방 70년을 맞아 금년에는 전국적인 추세로 소녀상 건립이 추진되고 있지만, 그런 의미에서는 이 소녀상의 의미도 재고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 소녀상이 여전히 기존의 인식인 ‘강제연행’을 상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마저 광화문이나 시청에 소녀상을 세우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정말 세운다면 위안부의 보다 근원적인 본질—가부장제치하에서 국가의 세력 확장에, 개인의 성을 동원당한 여성들이라는 보편적 의미를 담아야 할 것입니다.

2.‘세계의 생각’과 이해의 편향

그런데 지난 5월초에 미국의 역자학자들이 일본정부에 보낸 공개서한은 이들의 인식이 한국이나 지원 단체의 표면화된 인식과는 다소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자세히는 오늘 자료집에 수록된 내용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만, 이들의 서한은 일본정부와 국민이 대체적으로 납득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비판/비난이 아니라, 설득/권고 논조입니다. 충분히 논의되고 고심한 흔적이 뚜렷한, 결과적으로 섬세하고 합리적인 내용이었습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 성명에서 ‘인신매매’, ‘성매매’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즉 미국학자들도 더 이상 한국이나 지원 단체가 주장하는‘강제연행’을 말하지 않습니다. 아베수상이 인신매매라는 단어를 사용했다면서 한국은 비난했지만, 그 인식은 이미 아베 수상만의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이 역사학자들 의 성명이나 일본 지원 단체의 책이 그렇듯, 이들의 ‘인신매매’라는 이해는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기 위해 쓰인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언론들은 이 성명이 한국/중국을 비판했다는 사실을 전하지 않았고, 마치 그간의 한국의 주장을 지지한 서한인 것처럼 보도했습니다. 이는 오랫동안 이어져온 한국 언론의 편견과 태만에—직접 취재하지 않거나 번역하지 않는—기인한 일이라 하겠습니다. 그런 식의 편향적 태도는 위안부 문제가 오래 이어지면서 지원 단체를 중심으로 한 인식만이 너무나 깊이 확산되고 정착된 결과입니다.

반대로, 일본 언론에는 커다랗게 보도된 베트남 한국군위안소 보도는 한국에 는 거의 보도되지 않거나 뒤늦게야 알려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런 식의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정보의 차단과 왜곡이, 한국에서는 이 20년 동안 이어져 왔습니다.

미국학자에 이어 5월말에는 일본역사학자들의 성명도 발표되었습니다, 하지 만 여기엔 미국학자들의 성의를 다한 성명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습니다. 그리고 결론부터 말한다면 이들의 성명 내용은 일본 정부와 이 문제에 회의적인 일본 국민들을 설득하기에는 역부족인 내용이었습니다. 내용이 틀려서라기보다 는, 해야 할 이야기의 반 밖에 없는 성명이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일본 신문 중에 이 성명을 보도한 곳이 <아사히신문>과 <도쿄신문>뿐이라는 사실이 그런 정황을 설명해 줍니다.

이 성명에 대해 침묵한 일본 언론들 중에는 위안부 문제 자체를 부정하고 싶어 하는 언론도 있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대신 이들의 주장 성명 발표 직후에 일본인터넷에서는 이들에 대한 비판과 야유가 들끓었습니다. 그들 나름대로 갖게 된 인식을 이 성명이 담지 않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옳고 그르고를 떠나, 그런 언론과 국민들에 대한 이해가 없는 한 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어렵습니다.

그런데도 한국 언론들은 이 성명이 일본을 대표하는 것처럼 대서특필했고 참여인원이 얼마나 많은지만 강조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자신도 회원인데 학회 가 자신에게는 의견을 묻지 않았고, 앞으로도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페이스북에 쓴 일본인학자의 존재는, 그러한 접근의 문제점을 보여줍니다.

일본인 학자들의 성명은, ‘본인의 의사에 반한’ ‘연행’도 ‘강제’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전에는 ‘군인에 의한 직접 연행’을 ‘강제연행’이라고 말해왔던 기존인식 과의 차이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없었습니다. 공식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주요논점의 내용을 설명 없이 바꾼다는 식의 야유를 샀던 것입니다.

또 ‘본인의 의사에 반한 연행’의 주체를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설사 군인이었다 해도 그런 케이스가 오히려 소수이고 그렇게 간 경우도 군이 돌려보내거나 다른 곳에 취직시킨 경우도 있다는 사실, 즉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가게 된 것까지 국가나 군의 공식정책이나 방침이 아니었다는 것, 즉 어느 쪽이 예외적인 일이었는지도 말해야 공정할 것입니다. 업자가 인신매매했을 경우 군이 어디까 지 관여할 수 있었는지도, 비판이든 옹호든 명확하게 그 구조를 언급해야 오해를 피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신매매의 주체가 일본인 것처럼 오해하게 되고 결국 언제까지고 정확치 않은 비판과 일본정부가 경직되는 일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또한 성명은 위안부를 ‘성노예’라고 규정했습니다. 물론 위안부에 ‘성노예’적 인 측면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성매매적인 측면이 있다 해도 불공정한 차별구조가 있었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성노예적’인 구조를 지적하는 일과 ‘성노예’라고 말하는 일은 같지 않습니다. 듣는 이들이 떠올리는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결국 일반인들의 이해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습니다. 성노예였다고 한다면 그들의 직접 ‘주인’이 업자였고 강제노동을 시킨 것도 이윤을 얻은 것도 업자였다는 사실도 말했어야 총체적인 모습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청업자보다 일감을 준 이를 비판하는 일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일본’이라는 이름만으로 비판할 경우에는 뒤에서 언급할 여러 가지 모순이 생깁니다. 그런 모순을 무시한 것이 그간의 지원 단체 혹은 지원자들이 반발을 산 이유입니다.

성명은 위안부 문제가 “당시의 국내법 및 국제법에 반하는 중대한 인권 침해였 다”고 했지만 이는 ‘강제연행’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그저 인신매매와 이송에 관한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 부분을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인신매매’임을 공적으로 말하는 경우 지원 단체와 연구자들이 그간 주장해온 내용은,

1. “인신매매임을 알고도 받아들였으면 불법”

2. “일본에서는 매춘업에 종사하는 여성이라도21세 이하는 도항하지 못하도록 했는데 조선에서는 21세 이하도 가능하도록 해서 어린 소녀들을 위안부로 동원 가능하도록 했다”

3. “일본에서는 취업사기나 인신매매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법적규제 가 존재했는데 식민지에서는 그렇지 않아 사기나 인신매매가 쉽게 이루어지 도록 했다”

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앞에서 본 것처럼 이 주장들엔 문제가 없지 않습니다. 또한 ‘조선반도의 일본인여성’에 대한 인식이 없었던 탓에 일본-내지와 조선에 서의 모집방법에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전제한 결론으로 판단됩니다.

중요한 건 일본이건 한국이건 지원 단체나 역사학자들은 조선인 위안부에 관해서는 더 이상 “강제연행”이 아니라 ‘인신매매’를 바탕으로 이런저런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면서도 지원 단체는 그렇다는 사실을 오래도록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아, 국민의 다수가 여전히 군인이 강제연행 한 것으로 생각하거나 소수만 속임수나 인신매매였다고 생각하는 식의 인식편차와 그에 따른 혼란을 낳고 말았습니다. 더구나 외국에서는 그 의미하는 바를 달리 하는 ‘강제연행’설을 주장했고 그에 따라 한일국민간의 갈등은 커졌습니다. 그리고 설사 위안부 문제가 해결된다 해도 한일 간 앙금은 쉽게 풀어지지 않을 상황까지 오고 말았습니다. 지금이라도 그렇게 된 원인을 한일이 함께 생각해야 하고 그런 상황을 전제로 해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일본 지원 단체의 용어사용 변화에도 주목해야 하고, 왜 일본에서 호응을 얻지 못했는지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생각하고 다른 틀로 접근하지 않으면 위안부 문제 해결은 요원합니다.

3.역사와 마주하는 방식

1) 지적 태만으로부터의 탈피

그러나 그런 문제의식을 담은 저의 책은 고발을 당했고 결국 일부를 삭제 출간하는 사태를 맞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국의 위안부』 및 저의 다른 책들은 ‘친일’의 의구심 속에 이 일 년을 지내왔습니다.

그러나 ‘친일’이라는 딱지는 익숙하지 않은 생각에 대해서는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는 지적 태만을 드러내는 사고의 표현입니다. 복잡하고 섬세한 문제들을 단순하고 거칠게 풀어 결과적으로 폭력을 만드는 사고로 이어집니다. 무엇보다 그런 딱지를 두려워해 침묵하거나 딱지를 붙이는 쪽으로 돌아서고 마는, 전체주 의에 가담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에 저항하지 않는 한 모두가 대세와 다른 말을 하지 못하는 자폐적 공간은 확장되고 사고가 자유로워야 할 젊은 학생들조차 자기검열에 급급한 상황은 이미 익숙한 풍경입니다.

그런 지적태만은, 지원 단체 등이 중심주체가 된 일본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을 허용했고, 결과적으로 한국사회에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만드는 데에 일조했습니다. 특히 정대협을 비롯한 피해자관련 혹은 영토문제 관련단체 들은 위안부 문제에 관해 언급할 때마다 일본을 군국주의국가로서 비난해왔고 그 결과, 2015년 현재, 한국인의 70퍼센트 이상이 일본을 군국주의 국가로 생각합니다. 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지나도록 사죄와 반성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여전히 타국의 영토를 호시탐탐 노리는 국가라는 이미지를 갖도록 만든 것입니다. 아마도 이런 인식이 불식되지 않는 한 한일 간의 화해는 어려울 것입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2015년 현재의 언론과 외교와 지원운동이 지극히 자폐적인 상황에 빠져 버리고 말았다는 점입니다. 현재의 일본에서는 위안부를 위한 ‘아시아여성기금’ 의 모금에 참여하는 이들의 존재를 더 이상 상상하기 힘들만큼 일본의 국민감정이 악화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럼에 도 아직 우리의 언론과 외교와 운동은 여전히 일본의 혐한파를 늘릴 수밖에 없는 사고와 주장만을 반복 중입니다. 위안부 문제를 생각하는 일은, 늦었지만 이러한 현 상황을 파악하고 일본을 총체적으로 아는 일에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합니다.

2) ‘폭력의 사고’를 지양하기

중요한 것은 그런 지적태만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보는 일입니다. 사실, 현재의 한국의 일본관은 순수한 일본관이라기보다 위안부 문제가 그런 것처럼 일본의 진보/이른바 양심적 시민/지식인/운동가들의 전후/현대 일본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후일본의 반성과 협력을 전혀 인정하지 않으려했던 불신의 태도가 이들의 .자국에 대한 반성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들의 자국비판은 정권 획득—즉 정치와 이어져 있고 옳고 그르고를 떠나 일본을 대표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국가’를 상대해야 하는 한일 간 문제에서, 90년대 이후, 진보나 보수의 반쪽 자국관에 근거해 일본을 이해해 왔다는 것은 그 인식의 옳고 그르고를 떠나 한국의 대일인식이 절름발이가 될 수밖에 없었던 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80년대 후반까지 한국은 반공국가였고 그 기간 동안철저하게 탄압받아온 진보좌파가 한일시민교류의 주역이 되었다는 것이 이러한 대일인식의 배경에 있습니다. 그들 중에서도 특히 현대일본의 정치에 비판적이었던 이들이 여야합 작의 사죄 보상방식이었던 ‘아시아여성기금’을 불신하고 배척했고, 한국 지원 단체가 이에 동조함에 따라 결국 90년대의 일본의 사죄와 보상은 완수되지 못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15년 후, 우리는 지금 일본 언론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보도조차 하지 않는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 철저한 ‘정의’를 말하고 일본규탄의 선두에 섰던, 일부 재일교포를 포함한 일본 진보의 사고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를 한번쯤은 볼 필요가 있습니 다.

재일교포 일부와 일부 진보세력의 일본에 대한 시선은 대단히 부정적입니다. 그들은 전후 일본이 실은 계속된 식민지주의를 이어받은 공간이었다고 말합니 다. 그렇게 부정하는 근거는 천황제 유지, 재일교포 차별, 일본인을 납치한 북한 때리기 등입니다. 분명, 그들이 말하는 대로전후일본은 전쟁을 일으키고 식민지를 만든 천황제를 청산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현대일본이 재일교포에 대한 차별이 청산되기는커녕 재일교포를 포함한 혐한스피치가 문제시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것만 본다면 이들의 전후관이 옳다고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논리라면, 천황제가 폐지되지 않는 한 한일 간의 화해는 불가능하다 는 결론이 나옵니다. 국민간의 화해-감정적인 신뢰회복 문제를, 천황이라는 시스템문제로 환치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국민들 간의 화해가 천황의 존재여부에 의해 결정된다는 생각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연상케 하는 지극히 가부장적인 사고가 아닐 수 없습니다. 설사 현 천황이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다 해도 국민들이 그에 따라 불신을 가져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되면 소수 정치가의 생각에 모든 국민이 휘둘려야 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리고 실제로, 그간의 한일 갈등은 바로 이러한 생각에 바탕 한 것이었습니다. 그 때문에 한 두 명이 식민지 지배 사죄에 부정적인 말을 하면 모든 이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나라전체가 대립하는 소모적인 정황이 반복되어 왔던 것입니다. 무엇보다 천황제 유지는 실은 일본의 전쟁금지헌법9조와 맞바꾸어진 것입니다.(小関)

그러나 전후 일본에 대한 불신을 담아 한 재일교포학자는 일본사회에 가장

비판적인 일본의 진보지식인들조차 비판하고 일본을 전부정합니다. 일부재일교 포의 인식이 한겨레 독자들에게 공유되고 전파되면서 일본에 대한 불신을 심고, 전후일본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전달하려 한‘화해를 위해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확산된 것은, 그런 식의 일본불신의 확산과 궤를 같이 합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한국의 일본관은 일본의 재일교포에 의해 만들어진 부분이 큽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① 지배-가부장적 사고

자세한 이야기는 생략하겠지만, ‘화해를 위해서’가 비판받게 된 것은 제가 재일교포의 가부장제비판을 한 이후부터입니다. 그리고 이후 한국에서도 『제국 의 위안부 비판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 위안부 문제연구자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남성학자였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한일정치의 주역은 체제의 중심에 있어 왔던 그들—남성들이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있어 『제국 의 위안부나 『화해를 위해서』는 아버지와 오빠의 허락을 얻지 않고 일본과 연애를 시작한 누이이자 딸 같은 존재입니다. 이들의 분노는 자신들의 지휘권을 벗어난 여성에 대한 분노입니다.

물론, 위안부의 연애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화해를 위해서’를 ‘화해라는 이름의 폭력’이라고 규정하고 마치 국가야합주의이 거나 위험한 스파이의 시도로 간주하도록 만드는 시선은 다름 아닌 가부장적 시선입니다. 그 책들이 ‘민족’의 것으로 지켜져야 하는 소녀이미지를, 혹은 어머니의 이미지를 깨뜨렸기 때문입니다. ‘고발은 반대한다’면서도 침묵하는 일로 고발에 동조한 학자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매춘’, ‘동지’라는 단어를 그들이 특별히 불편해했던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반체제를 표방하는 진보세 력이 ‘국가의 힘’을 빌어 처벌하려 하는 모순이 일어나는 이유도 그런 심리기제의 결과입니다. 한 지방시장이 저를 수천 명의 군중에게 ‘친일파’라는 딱지를 붙여 먹잇감으로 던져주고 난도질 하는 일이 발생한 것도 마찬가지 구도 속의 일입니 다.

소녀에 대한 집착은 가부장제적 한국사회의순결성에 대한 욕망을 말해 줍니 다. 또한 매춘에 대한 차별의식을 보여줍니다.

중요한 것은, 소녀상을 통해 지켜지는 것은 위안부가 아니라 ‘한국인’의 순결성 이라는 점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인’의 긍지를 위한 것입니다. 지배당했던 자신—유린되었던 자신을 소거시키고 싶은 욕망의 발로입니다. 즉 한 번도 강간당하지 않은 자신에 대한 상상이 소녀상을 욕망케 하는 것입니다. 가부장제적 의식은 자신의 순결성과 순혈성을 상정하고 ‘한국’이라는 고유명 을 움직이지 않는 아이덴티티로 호명합니다. 그건 ‘일본’ 에 대적할 아이덴티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런 식의 사고가 주도적인 상황에서는 국제결혼 한 이들은 목소리를 낼 수가 없습니다. 혼혈인들은 목소리를 낼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근대국가는 그런 순혈주의에 근거하여 가부장제를 지탱하고 소수자를 소외시켜 왔습니다. ‘일본인’, ‘한국인’의 순수성을 벗어나는 아이덴티티를, 잡종으로 취급하고 변방으로 내몰았습니다. 그렇게 해서 중앙중심주의를 지탱하

고 내셔널 아이덴티티를 재생산해 왔던 것입니다.
문제는 그런 의식은 천황제를 신봉하는 일본우파와 같은 의식이라는 점입니

다. 비판자들이 곧잘 ‘싫으면 떠나라!’라고 말하는 의식은 그런 의식의 발로입니 다. 그들에겐 하나의 공동체는 균질한 공동체여야 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생각은 일본에서 재일교포를 소외시키는 사고와 동일한, ‘혐한스피치’와 다를 바 없는 폭력적 사고입니다. 그리고 그 모든 사고는 가부장제적 지배의식이 만듭니다.

② 공포-면죄/의심

다른 모습들을 보려하는 시도가 그저 일본의 책임을 희석시키는 ‘물 타기’로 규탄되는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위안부 문제가 ‘성’의 문제인 한 그 첫 번째 책임은 ‘남성’에게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이라는 고유명에만 책임을 집중시키 는 방식은 계급과 젠더책임을 보지 못하게 합니다. 가부장제적 사고를 가진 이들이 민중과 국가의 힘을 빌려 탄압에 나섰던 것은 그런 구조를 보여 줍니다. 그리고 그런 행위는, 민간인과 국가에 의해 자신의 삶을 빼앗기고 그저 일본인남 성의 비호라도 있어야 삶을 이어갈 수 있었던 위안부에 대한 남성/국가의 거부감과 궤를 같이 합니다.

업자나 남성의 책임을 부정하고 ‘구조적인 악과 같은 차원에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서경식, 104)라고 간주하는 발언은 일본-거대악, 조선-소악으 로 간주하는 일로 ‘소악’을 면죄합니다. 다른 책임을 보는 일이 ‘일본을 면죄’한다 는 생각은, 그렇게 다른 책임—소악의 책임을 은폐합니다. 그렇게 책임주체를 고정시켜 ‘피해자’라는 이름의 ‘무책임체계’를 만듭니다.

『제국의 위안부를 비판한 남성학자들이 한결같이 ‘위험’하다는 표현을 썼던 것은 그런 의식의 발로입니다. 그 때문에, 이 책이 순수한 것이 아니라 어떤 의도가 있고 그를 위한 치밀한 전략에 의거해 쓰인 것이라는 식의 주장을 하게 됩니다. 반복적으로 『제국의 위안부』나 『화해를 위해서』의 기술이 ‘레토릭’, ‘전략’이 담긴 표현이라고 강조하는 이유도 공동체의 규범을 어긴자로 보이도록 하는 배제전략입니다.

③ 저항이라는 이름의 폭력

문제는 이러한 사고가 폭력을 지탱하는 구조로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한 재일교포는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는 나머지, 9/11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이는 태도까지 취합니다.(서경식, 『언어의 감옥에서』) 말하자면 그자신이 부당하다 고 생각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저항이라는 명목으로 폭력을 용인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항이라는 이름으로 폭력이 용인되는 한 세상에서 폭력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일본 전후에 대한, ‘이어지는 식민지주의’라는 이름의 불신은 결국 ‘저항’이라는 이름의 ‘이어지는 폭력주의’를 생산합니다.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저항처럼 보인 비판과 고발이, 국가를 동원한 폭력에 그치지 않고, 군중들의 적개심이라는 폭력을 불러일으키려 했던 것도 그 연장선상의 일입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저항’이라는 기제를 용인케 했던 ‘서벌턴’의 의미도 다시 재고되어야 합니다. 피해자의식은 하층계급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데도 고정된 것처럼 인식하게 만들고, ‘저항’이라는 이름의 폭력을 허용합니다. 일본에 대한 무차별적/폭력적인 발언이 허용되는 것도 그런 구조 속의 일입니다. 이제 피해자 도 강자가 될 수 있다는 점, 서벌턴의 위치성도 전도될 수 있다는 점도 인식되어야 합니다.

하나의 고유명에 의거해 민족/국가 대립을 강조하는 일로 여성들에 대한 착취를 덮고 ‘민족’의 딸이 되기를 요구하는 가부장적 담론—지배와 저항과 공포의 담론은 폭력을 막지 못합니다. 혼혈과 변방의 사고를 억압하고 모두가 똑같은 ‘일본인’, 혹은 ‘한국인’이 되어 대립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틀에서 벗어나는 시도에 대해서는 마녀사냥적인 배제를 촉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사를 제대로 마주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총체적으로 기억해야 합니 다.

‘예외/단편/파편’등의 단어로 존재한 기억을 소수화하고 억압하지 않아야 합니다. 차별과 억압이 중심인 공간에서의 ‘다른’ 기억은 대세에 저항했다는 의미에서 오히려 기억해야 하고 이어받아야 할 하나의 ‘정신’입니다.

동시에, 중심적인 다수의 체험도 기억되어야 합니다. ‘아시아여성기금의 기금 의 망각’은 기억의 소거입니다. 한국인에게 사죄했던 이들을, 그들이 ‘국가’를 대변하지 않았다는 것만으로 그들의 마음을 역사에서 배제한 폭력입니다. 그 결과로 일본인의 다수의 선한 마음은한국인의 기억에서 무시되고 소거되었습니 다. 그들은 ‘아직 전쟁을 기억하던 이들이 많았던 시대의 중심기억’이기도 했습니 다. 그들이야 말로 ‘전후일본’을 대표하는 이들이었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기억되어야할 이유입니다. 최근 십여 년의 혐한은 더 젊은 층이 중심입니다. 전쟁을 기억하지 못하는 이들의 기억보다 전쟁과 지배를 기억하는 이들의 기억이 우리에게 더 소중한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선택적인 기억을 강요하거나 은폐하는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서서, 있는 그대로의 과거와 마주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해든 협력이든, 봉인된 기억을 보는 일을 두려워 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시도야 말로 오히려 과거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해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아이덴티티는 하나가 아니고, 동시에 용서와 비판의 대상을 보다 구체화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두려움과 거부는, 우리를 언제까지고 트라우마를 안은 허약한 자아로 살아가도록 만듭니다.

한일협정 50년, 해방 70년을 맞는 금년, 더 늦기 전에, 한일이 함께하는 그런 새로운 시작이 필요합니다.

출처: 동아시아 화해와 평화의 목소리 심포지엄 – 역사를 마주하는 방식
일시: 2015년 6월 20일

[조선일보 반론보도문]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교수, 원고 측 주장에 대해 공식 반박

나눔의 집에 기거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제국의 위안부-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이 위안부를 ‘매춘부’나 ‘일본군 협력자’로 매도했다며 관련 서적을 출판한 저자 등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 데 대해 저자가 공식적으로 반박에 나섰다.

경기도 광주 ‘나눔의집’에서 생활하는 강일출 할머니 등 9명은 지난 6월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57·여) 세종대 일어일문학과 교수와 뿌리와이파리 출판사 정종주 대표(51)를 고소하고, 출판·광고 등을 금지하는 가처분을 신청했다. 서울동부지법 민사 21부(부장판사 고충정)에서 7월 9일과 10월 2 일 2차례 가처분신청에 대한 심리가 이루어졌다.

원고들은 당초 “책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매춘이나 일본군의 협력자로 매도할 뿐만 아니라 피해자들이 자신들의 그런 모습을 잊고 스스로 피해자라고만 주장하면서 한일 간 역사 갈등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고 기술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박 교수는 “내가 비판한 것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아니라 지원단체이다. 매춘이라는 단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단순히 매춘부라고 생각하는 일본인들을 비판한 부분에서 쓴 것인데, 나눔의집 소장과 고문변호사 등 주변인들이 이런 문맥을 왜곡 전달해 사회적 지탄을 받도록 만들었다”면서, 원고 측 주장을 확인 없이 실은 언론사들에 대해 10월 20일자로 언론중재위윈회를 통한 정정보도와 반론보도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박유하 교수는 “이 고발은 나눔의집 고문변호사가 학생들을 데리고 한 초급수준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었다”며 “첫 고발장에서 원고 측은 내 책이 허위라고 비난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인식했는지 슬그머니 고발 취지를 바꾸어 인식문제로 들고 나왔고, 이 책이 일본의 위안부문제 ‘부정파’들을 비판한 책이기도 하다는 사실은 무시하고 위안부 할머니를 비판한 책인 것처럼 호도했다. 도중에 고발 취지를 바꾼 것고발 자체에 문제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제국의 위안부’가 이제까지 단순히 ‘전쟁범죄’로 취급되어온 위안부 문제를 ‘제국주의 통치기술의 일부’로 파악하고자 한 시도라고 말한다. 그러한 시도가 오히려 ‘배상은 끝났다’고 말하는 일본을 설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문제시 되었던 ‘동지’와 ‘매춘’이라는 단어는 위안부에 대한 폄하가 아니라 그들이 ‘제국 일본의 통치 속에서 전쟁 수행에 동원된 집단’이라는 틀로 바라보기 위한 논리적 장치이고, 일본과 싸운 다른 나라의 위안부와는 처지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개념이라고 말한다. 위안부들과 군인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임금노동이었으며, 이 사실을 명확히 인식한다고 해서 일본을 면죄하는 것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박유하 교수는 “‘제국의 위안부’는 ‘강제연행’이나 ‘매춘’ 여부와 상관없이 일본에 책임이 있음을 일본에 말하고자 쓴 책인데, 이에 대한 지원 단체의 반발은 그들이 유포한 인식에 오류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는 데 대한 두려움 탓으로 이해한다”면서 “그동안 우리 사회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지 못했던 것은 할머니들이 다른 목소리를 내거나 행동했다가 지원 단체에게 비난받아 할머니들이 공개적으로 발언하지 못하는 분위기 때문” “더 늦기 전에 우리 사회가 해야 할 일은 할머니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제대로 듣는 일”이라고 말했다.

고발 이후 ‘제국의 위안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서평들이 다수 나왔다. 가처분신청 직후에는 김철(연세대)·박삼헌(건국대) 교수 등이 주도한 기각 요청 탄원서에 라종일(전 주일 대사)-문정인(연세대) 교수, 김원우, 장정일씨 등의 작가, 김규항씨(‘고래가 그랬어’ 대표)를 비롯한 200여 명의 지식인과 시민이 서명했다. 특히 페이스북에서 일면식도 없었던 김관기 변호사가 무료변론을 자청하고 나섰고, 노혜경(시인) 등 문화인들과 시민들의 옹호 움직임이 활발하다. 미국 텍사스에 있는 김미영(오스틴 대학) 교수의 제안으로 미국-호주-한국을 잇는 지원연대도 만들어졌다. 박유하 교수는 이에 대해 “SNS 커뮤니티의 가능성을 본다. 이들은 모두 각자의 영역에서 한국사회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온 이들이기도 하다. 이들과 함께 한국사회의 문제적인 부분을 바꿔나가고 싶다” 고 말했다.

박 교수는 또한 “유엔 산하 인권위원회나 미국 의회의 위안부 문제 인식에는 네덜란드나 중국의 경우가 조선에서도 똑같이 행해진 것처럼 오해한 부분이 있다. 지난 8월, 위안부 문제를 20년 넘게 가장 진지한 자세로 보도해왔던 아사히신문이 한반도에서의 강제연행설을 퍼뜨린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이 허위였음을 밝힌 이후, 일본정부는 유엔 등 국제사회에 적극적으로 이 사실을 알리며 수정을 요구 중이다. 이러한 상황을 한국이 신속히 들여다보고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면서 “이 문제를 지원 단체에게만 맡길 게 아니라 모두 함께 지혜를 모아 슬기롭게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원 단체는 내 책을 허위라고 말하더니 이번에는 내가 식민지 지배를 옹호하고 전쟁범죄를 찬양하고 있다며 또 다른 마녀사냥을 시작했다”면서 “이 책은 출간 직후 다수의 서평과 인터뷰를 받았던 책이다. 정작 관계자들은 10개월이나 침묵을 지키다가 갑자기 고발한 것은 불통사회가 된 현대 한국사회를 상징한 사건으로 생각한다. 그들에 대한 비판을 입막음하려는 시도로 이해하고 있고 지원자들과 함께 잘 대처해 나가겠다”고 한다.

이어 이 책은 원래 일본을 향해 이 문제에 관한 일본인들의 생각을 비판하고 다시 생각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본매체에 연재하다가, 한국도 알아야 할 부분이 많다고 여겨 한국어판을 먼저 내게 되었다고 밝혔다. “최근에 나온 일본판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사죄 의식을 담은 일본 국회 결의가 필요하다고 썼다. 기존 지원 단체와는 내용도 논리도 말하는 방식도 다르지만 나의 논지가 이 문제를 부정해온 일본인들을 움직여 꽉 막힌 위안부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게재일 2014년 11월 30일 조선일보 (원문보기)

柄谷行人 メッセージ

パク・ユーハ氏の仕事

近年、日韓や日中間の緊張が急激に高まって来たのは、日本の政府があえてそれを作りだそうとしているからだ。それによって、国内における諸問題を打ち消すためである。そして、対外的な対立・緊張を利用して、日本をいつでも戦争できる体制に変えようと図っている。したがって、従軍慰安婦問題であれ領土問題であれ、それらを解決する気などさらさらない。

私がこのように日本の政府を批判するのは、日本の国民だからだ。外国に関しては、その国の国民が批判するだろうと思う。実際、韓国にもそのような人達が大勢いる。私はこうした相互的信頼にもとづいて活動してきたのである。とはいえ、それだけではすまないことがある。

その点で、私は、積極的に日本と韓国の間に立って発言しようとしてきたパク・ユーハ氏に注目している。彼女の仕事は、韓国では親日的と非難され、日本では反日的と非難されるだろう。そのことを最初から覚悟して、従軍慰安婦問題に長年取り組んできた氏に、私は深い敬意を抱いている。

2014年 8月 8日 柄谷行人 

『제국의 위안부』 – 발간 직후 신문사 서평 및 인터뷰 모음

서평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