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엽, ‘위안부=비극의 소녀상’ 뒤집는 두 가지 시선? (프레시안)

[프레시안 books] 안세홍의 <겹겹>·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

한 장의 사진이 유난히 눈길을 끈다. 안세홍의 책 <겹겹>(서해문집 펴냄)의 35쪽에 실린 사진을 찍은 사진이다. 흙바닥에 살포시 놓인 흑백 가족사진은 프레임 안의 프레임으로 존재한다. 사진이 사진을 찍을 때는 그것이 유일무이한, 복제될 수 없는 그 무엇임을 암시한다. 사진이지만 원본은 사라지고 프린트된 한 장만이 세상에 남았을 때 발터 벤야민이 이야기한 ‘아우라’라 존재한다. 그 아우라는 사진이 아름답다거나 예술적이라는 의미만은 아니다. 그것이 기록한 무엇이 개인에게든 사회에게든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위안부 문제로 자살골 넣은 전범기업 미쓰비시

이 사진은 중국 훈춘시 동닝에서 홀로 살아가는 이수단(91) 할머니가 소중하게 보관하고 있는 유일한 가족사진이다. 고향이 평양인 할머니는 이 사진을 북조선과 서신 왕래가 가능했던 70년대 초 전달받았지만 73년을 마지막으로 주소불명으로 연락이 끊어졌다. 사진을 보건대 1940년 할머니가 평양을 떠나오던 그해쯤 찍힌 사진이다. 할머니는 19살에 동네 처녀 3명과 함께 군복 입고 칼을 찬 일본의 앞잡이에게 “돈도 주고 옷도 주고, 밥해주는 허드렛일을 하는 줄 알고” 만주로 끌려왔다. 하지만 실상은 제국 군인들을 몸으로 위안하는 것이었다. “하루에 군인 8명 내지 10명 정도 받았어.” 할머니는 일본인 부부가 운영하는 아청위안소에서 군표를 받으며 일본군의 위안부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받으며 살았다. 그리고 중국에 남았다. 이 책에는 이수단 할머니와 같은 처지의 여성 8명에 대한 이야기가 사진과 글로 세밀하게 기록돼 있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을 처음 만난 건 1996년이었다. 그때 한 잡지의 사진 화보 취재를 위해 할머니들이 있는 ‘나눔의 집’을 찾았다. 그 뒤로 17년 동안 전국에 계시는 할머니들을 만났다. 처음엔 할머니들의 낯가림이 심했다. 하지만 점차 가까워지면서 아직까지 지워지지 않는 할머니들의 고통과 한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 2001년부터는 중국에 살고 있는 할머니들과도 만났다. 나라 없이 떠도는 그들의 비참한 실상은 과거의 삶을 그대로 연장시키고 있었다. 그런 할머니들을 보며 이들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를 고민했다. 우선 내가 제일 잘할 수 있는 사진으로 그들의 존재를 알리자고 결심했다.”

사진가 안세홍(41)씨는 두 달 전 일본에서 포토에세이집 <겹겹>을 출간했다. 한 달 사이 한국에서도 동명의 책을 낸 것이다. 17년 가까이 진행된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작업이 봇물처럼 터진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의 대표적인 전범기업인 미쓰비시 덕이었다.

개인이 쌓아올린 작은 아카이브

올해 도쿄 긴자의 니콘 살롱에서는 안세홍의 사진전 <겹겹>이 예정되어 있었다. 안 씨는 이곳에 초대전을 신청했고 저명한 일본 사진가와 평론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1월 그 요청을 승낙했다. 하지만 5월쯤 니콘 살롱은 일방적으로 취소 통지를 했다. 여러 차례 대화를 요구했지만 묵살 당했다. 결국 도쿄지방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하기에 이르렀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전시를 성사시킬 수 있었다. 이 사태에 배경에는 미쓰비시가 있었다. 니콘은 한반도 강점의 첨병 역할을 했던 전범기업 미쓰비시의 계열사였다. 그들은 일본 군국주의의 치부를 드러내기 싫었던 것이다. 결국 도쿄 전시는 우익들의 반대집회 속에서 어렵게 진행되긴 했지만, 미쓰비시 그룹과 니콘은 사진전을 계속해서 훼방하고 있다. 올 9월에 열기로 예정돼 있던 오사카 니콘 살롱 전시 역시 장소 제공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문제로 인해 안 씨의 사진전은 미국 의 주요 뉴스로 취급됐고 미국에서도 동명의 사진전을 열 수 있게 됐다. 게다가 출판도 급물살을 타 일본어판에 이어 한국어판도 세상에 내놓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안 씨는 “도쿄 니콘 살롱 전시는 2주 동안 7900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대부분 일본인이었는데 20, 30대가 관람객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관심이 높았다. 이들은 위안부에 대해 잘 몰랐는데 사진을 통해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고, 앞으로 자신이 어떤 실천을 하면 좋을지도 물었다. 사진전이 일본 곳곳에서 계속 이어진다면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데 큰 힘이 되리라는 희망을 체험했다”고 이야기한다.

어떻게 보면 이 책은 개인이 이룰 수 있는 최대한의 ‘아카이브’다. 책에 담긴 글 사진 모두 작가의 감정이 억제되어 있다. 애초 정신대문제연구소와 함께 이루어진 기록 작업에서 출발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이후 진행된 개인적인 작업도 이 선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글은 모두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클로즈업이 절제된 사진들은 인물의 감정을 곧바로 드러내지 않는다. 그래서 이 책은 포토에세이라는 대중성을 표방해도 역사 연구자들을 위한 1차 사료의 역할까지 훌륭히 해내고 있다.

기억과 망각으로서의 ‘소녀상’

사진은 프레임이라는 공간의 제약과 조작 가능하다는 어두운 약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탄생에서 지금까지 ‘증거’하는 역할을 잘 수행해 왔다. 사진에 담긴 정보는 미약하나마 표면의 진실을 담았고 사진가는 양심이라는 망점을 새겼다. 하지만 인간의 뇌에 입력된 기억은 그다지 디테일하지 못하다. 필요에 따라 출력되고 일부는 지워진 채, 일부는 왜곡된 채 떠오른다.

“소녀상이 그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저항하고 싸우는 소녀’의 모습이야말로 한국인 자신과 오버랩시키고 싶어 하는 아이덴티티로 이상적인 모습이기 때문이다. 소녀상이 한복을 입고 있는 것은 실상을 반영한 것일 수도 있지만, 리얼리티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위안부’를 바람직한 ‘민족의 딸’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조선인 위안부는 ‘국가’를 위해서 동원되었고 일본군과 함께 전쟁에 이기고자 그들을 보살피고 사기를 진작한 이들이기도 했다. 대사관 앞 소녀상은 그녀들의 그런 모습을 은폐한다.”

참으로 불편한 이 이야기는 박유하 세종대학교 일문과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뿌리와이파리 펴냄)에 등장한다. “소녀상으로 대표되는 ’20만 명 소녀 강제 연행’이 상식처럼 되어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 ’20만’은 한국과 일본을 합한 정신대 숫자를 위안부로 오해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의 위안부는 예를 들면 일본군이 점령지에서 모집한 위안부들과 다른 대우를 받았다. 네덜란드인 강제 연행이나 중국인 강간 등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조선인 위안부에 일반화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피해에 얹혀 가는 것이다.”

이미 출간 후 격렬한 논쟁을 예고할만한 대목이다. 게다가 이 책은 논쟁 대상을 위안부 할머니들의 대변인 역할을 자임해 온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로 삼고 있다. 박 교수는 정대협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보다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 교수는 정대협이 “저항하는 위안부’의 이미지와 ‘사죄하지 않는 일본’의 이미지를 만들었지만, 이에 어긋나는 다양한 양상은 외면한다”고 지적한다. 또 정대협의 주요한 요구인 일본의 법적 배상, 국회 결의를 통한 사죄와 배상은 사실상 실현 가능성이 없고 요구할 근거도 불충분하다면서 “반제국의 의미를 가졌던 저항이 그곳에서는 어느새 민족권력화 되어 있었다”고 까지 말한다.

이에 대해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그는 일본의 양심 있는 지식인조차 취급하지 않는 사람”이라며 인터뷰에 응하지 않았으며, 윤정옥 전 정대협 대표는 “박 교수가 일본 우익의 흐름에 맞는 얘기를 하고 있다”며 강하게 우려했다고 한 언론사는 전한다. 전면전 양상이다. 게다가 소위 진보적인 언론에선 이 책에 대한 논의가 별로 없었던 데 비해 보수 언론에서는 자세한 인터뷰까지 하며 지면을 할애하는 것을 보면, 식민지 근대화론자들과 궤를 같이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은 충분히 설득력 있다. 하지만 책의 저자는 이 책의 의미를 좀 더 돌아볼 것을 요구한다.

“자신을 위한 집도 땅 한 뼘도 없이 몸담을 곳을 찾아 이동을 당하거나 선택하는 것은 늘 사회에서 가장 약한 자들이었다. 빈곤이 고향을 떠나도록 그들의 등을 떠밀었고, 사회적으로 가장 취약한 계층이 위안부가 되었다. 가난한 이들은 경제적 자립을 할 만한 문화자본(교육)과 사회안전망을 갖지 못한 탓에 다른 직업을 못 찾고 자신의 신체(장기, 피, 성)를 팔게 된다.” 박 교수는 위안부 문제가 민족의 문제라기보다는 국가와 자본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이 시스템은 단지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일본과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기지 주변의 기지촌으로 확장된다고 본다. 그곳의 조선족, 러시아, 필리핀, 페루 여성은 이러한 시스템의 희생자들인 것이다. 하지만 정대협의 민족주의적인 요구인 ‘국회입법에 의한 국가배상’만 고집하면서 일본 진보진영의 침묵과 우익의 내면에 잠들어 있던 ‘악마’를 깨웠다는 것이다. 민족주의의 충돌이다.

민족주의 탈피와 세계적 시각

이러한 박 교수의 담론은 민족을 ‘근대 상상의 공동체’라고 보는 탈민족주의 사관과도 연결된다. 당대의 기록은 당대인의 눈으로 본다. 오늘의 가치로 과거의 문제를 재해석하는 것을 경계하는 것이다. 이는 국사를 한국사로 대체할 것을 요구한 임지현 교수나 한국사에서 요동을 분리해 새롭게 고대사를 볼 것을 요구한 김한규 교수의 담론과도 맥을 같이한다. 박 교수는 친일적인 식민지 근대화론자들과도 이석기 유의 주체사상파에 부화뇌동하는 민족 모순의 진보론자들과도 다른 방향에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박 교수는 이야기한다. “그런 의미에서라도 아베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 설득할 수 있다고 본다. 먹혀 들어갈 논리를 제시해야 한다. 1965년 한일협정으로 법적 해결이 끝났다고 일본 정부에서 말하면 식민지 지배 사죄 의식이 없었다는 문제를 지적해야 하고, 그에 대해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으로 끝났다고 하면 한국에서 반발해 그 사죄가 충분히 수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야기해야 한다.”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충분히 문제를 해결할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안세홍 씨가 <겹겹>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연구할 ‘아카이브’를 던졌다면 박유하 교수는 그것을 겹겹이 꿰어 ‘맥락’을 만든 것이다. 우리가 문제를 풀 단 하나의 길만 알고 있다면 위안부를 만들었던 저들의 길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이 책들은 우리에게 다양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원문: ‘위안부=비극의 소녀상’ 뒤집는 두 가지 시선?  (프레시안, 이상엽)

제국의 위안부 요약내용

위안부 문제는 도대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여전히 한일(韓日) 양국이 대립중인 이 문제는 일본 안에서도 ‘위안부 문제의 1인자’로 불리는 두 역사가 하타 이쿠히코(秦郁彦)와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대립 중이다. 요시미 선생은 한국 지원단체의 논지를 뒷받침해 주고 있는 중심적인 학자이기 때문에 이 대립은 곧 한일 간 대립이기도 하다. 다음은 2013년 6월 두 학자가 ‘하타 이쿠히코 ‧ 요시미 요시아키, 1인자와 함께 생각하는 위안부 문제의 논점’이라는 타이틀로 라디오 방송에서 토론한 내용을 들으며 생각한 내용이다. 그 무렵 나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책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2013년 8월에 발간된 <제국의 위안부-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의 내용이기도 하다. 마지막에 이 두 학자의 생각에 대한 의견을 덧붙였다.

1. 위안부란 누구인가?

근대 이후, 제국주의의 확산과 함께 국가세력 확장의 욕망을 개인적인 꿈과 교차시키면서 해외로 단신 이동하는 남성들은 적지 않았다.

그들의 이동을 지탱해 준 것은 근대적 정보수단과 교통의 발달이었다. 그리고 그 같은 남성들을 위한 여성들의 이동도 많아졌다.

일본의 경우, 처음에는 일본에 들어온 외국 군인을 위해 그런 여성들이 제공되었는데, 비슷한 시기에 해외로도 진출하게 되었다.

이른바 ‘가라유키상(唐行きさん)’이 그들이다. 그녀들의 대부분은 가난한 집 출신이었고, 부모에 의해 팔려가면서도 ‘가족을 위해’라는 명목으로 자신을 희생했던 여성들이기도 했다.

그녀들은 조선에 주둔했던 일본군, 그리고 국가의 이주 장려 정책에 따라 이주했던 남성들을 위해 조선으로도 이주했다.

이에 따라 한반도에도 공창제(公娼制)가 생기고 조선인 여성도 그곳에서 일하게 된다. 이미 러일전쟁 때부터 군인들을 위안하는 여성들은 존재했고, 군대와 국가를 위한다는 인식과 함께 그녀들은 ‘낭자군(娘子軍)’이라 불렸다.

즉, 위안부란 기본적으로는 ‘국가의 정치적・경제적 세력 확장 정책에 따라 전쟁터・점령지・식민지가 된 지역으로 이동(당)한 여성들’을 칭하는 말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인이나 군인들이 이용한 위안소 형태의 유곽(遊廓)들은 일찍부터 존재했다. 위안소나 위안부라는 이름은 1930년대에 정착된 것 같지만, 그 기능이 본격화된 것은 근대 이후의, 서양을 포함한 제국주의 시대 이후로 보아야 한다.

2. ‘위안부’와 ‘조선인 위안부’

당연한 일이지만, 일본의 경우 먼 해외로 ‘국가를 위해’ 나가 있는 자국(自國) 남성들을 위해 ‘위안부’를 필요로 했던 것이었기 때문에 그 대상은 기본적으로는 ‘일본인 여성’이었다.

그런데, 조선이 식민지가 된 탓에 ‘조선인 여성’이나 타이완 여성도 그 구조에 편입되게 된다.

1920년대에는 이미 타이완이나 조선인 여성도 해외에 있는 ‘일본인’이나 ‘일본인이 된 조선인’을 위해 중국 땅으로 나가 있었다. 훗날의 ‘조선인 위안부’의 전신(前身)이었다고 할 수 있는 존재들이다.

3. ‘가라유키상’의 ‘낭자군’화

가라유키상 중에는 팔려 와서 이른바 매춘 시설에서 일하면서도 현지에 거점을 마련하고, ‘국가를 위해’ 일하는 것으로 간주된 남성들을 위해, 자금이나 밀담장소를 내주던 여성들도 있었다.

그녀들이 ‘낭자군’이라 불리게 된 것은 그 때문이었고, 그런 식으로 멸시되면서도 위치가 ‘격상’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녀들 역시, ‘국가를 위해’ 일하는 남성들을 간접적으로 서포트(지원)하고 향수를 달래 주는 일을 통해 나름의 긍지를 발견하는 경우(물론 전쟁을 향해 치닫는 국가의 제국주의 담론에 속았다고 해야 한다)도 있었다.

위안부 역시 실제로 낭자군으로 불리기도 했고, 이는 그와 같은 시대적 구조가 배경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4. 다양한 위안소

따라서 일본군이 1930년대에 들어 갑자기 ‘위안부 제도’를 발상해 내고 ‘위안소를 만들었다’기보다는, 그때까지 이미 존재했던 것을 시스템화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타국(他國)의 경우와 다른 것은 애국심이 그 동원 구조에 이용되었다는 점이다.

일본군은 만주국과 중일(中日)전쟁을 위한 주둔군을 위해 그 때까지 위생 등(일본 본토에서 경찰이 관리했다)의 ‘관리’를 했던 매춘시설 중(요정이나 이른바 카페 등이 그 역할을 했던 경우도 있었다) 기준을 충족시킨 곳을 지정해서 ‘군(軍) 전용 위안소’로 삼았다.

그러다가 군대 수의 증가, 편의성 등을 생각하여 시스템화하기에 이른 것이었다. 그리고 업자에게 부탁해 위안부를 모집하기에 이르는데, 그 형태는 다양했다.

즉 오늘날 ‘위안소’로 간주된 곳 중에는 꼭 반드시 군부가 새롭게 만든 곳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청일‧러일 전쟁 당시부터 존재한 기존시설도 포함해서, 이미 개별적으로 일하던 사람들에게 군이 점령한 지역의 공간을 제공하고, 그들이 영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이동이나 경영에 관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업자를 군속(軍屬) 대우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군이 만든’ 위안소에 한한다. 따라서 위안소 형태가 다양했던 만큼, 업자의 형태도 다양했다. 섬 등의 경우 업자들 스스로 임시방편으로 허술한 위안소를 차려 영업(일종의 파견업무)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어느 쪽이든 전쟁터의 경우 이동에 관해서는 군의 허가가 필요했으니 기본적으로는 그런 정황을 군이 알고 총괄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장교 등은 지정 위안소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요정 등을 위안소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군이 위안소를 만든(지정한) 이유는, 성병(性病) 방지나 스파이 방지 이외에도, 군인이 많아짐에 따라 부대에서 가까운 곳에 위안소를 두고자 하는 편의성과 함께, 싸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유도 있었던 듯하다.

그 경우 군인들을 위한 요금은 ‘공(公)’이라고도 불렸다. 말하자면 국가(군)이 정한 일률 요금이었다.

중요한 것은, 위안소는 하나의 형태가 아니라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했다는 점이고 훗날 위안부 문제가 대두했을 때, 그에 따른 혼란이 생겼다는 점이다.

5. 다양한 ‘위안부’

따라서 본래의 의미대로라면 일본이 전쟁을 했던 지역에 있었던 이른바 ‘성욕처리시설’을 전부 위안소라고 부를 수는 없다.

예를 들면, ‘현지 여성’이 많았던 매춘시설은 본래의 의미대로라면 위안소라 말하기는 어렵다.

즉, 그런 공간의 여성들은 단순히 성적 욕망의 배출구 역할이 크고, 자국 군인을 위안하고 향수(鄕愁)를 달래준다는 의미에서의 ‘낭자군’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즉 전쟁터에서 동원되어 강제 혹은 반(半)강제로 일해야 했던 여성들이나, 전쟁터에서 1회성 강간을 당한 피해자는 이른바 위안부와는 일본군과의 관계에서 꼭 같지 않다.

따라서 아시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의 성적(性的) 상대가 되었던 모든 여성을 위안부로 부를 수는 없다.

원래 기대되었던 위안부라는 이름에 합당한 것은 일본인 여성과, 식민지배 결과로 일본인이 되어야 했던 조선인, 타이완인, 오키나와인 뿐이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 매춘시설에 있었던 여성들도 위안부처럼 군을 대상으로 했던 성 노동에 종사했고, ‘애국식당’ 같은 간판을 내걸고 군인을 받기도 했으므로(물론 지정업소가 되어 있었을 것이다) 사태는 간단하지 않다.

그러나 전쟁터(현지)에서 강간당하거나 강제적으로 매춘을 강요당한 여성들과, 일본인을 포함하는 위안부들의 군인과의 관계상 차이는 분명히 존재했다.

위안부란 이와 같이 국적(國籍)이나 시기, 그리고 장소(최전선인지 후방인지)에 따라 그 체험은 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모두를 똑같이 위안부로 생각하고 위안부 문제의 대상으로 간주했던 것에서 커다란 혼란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 어떤 경우건, 성적 노동에 종사해야 했던 여성들이 사회적 약자였고, 그런 여성들 중 적지 않은 이들이 병과 죽음의 공포에 시달려야 했던 비참한 상황이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그 점에 대한 인식이 위안부 문제를 생각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전제되어야 한다.

한일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위안부 문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그렇게 간단치 않다. 제대로 알아야 논리적 대응이 가능하다.

6. ‘강제 연행’에 대하여

따라서 위안부가 된 경위도, 당연하지만 같지 않다. 그 중에는 본격적인 모집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현지에 있었던 여성도 있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이 문제를 제기한 윤정옥 교수는, 자신이 경험했던 정신대를 위안부로 잘못 알고 있었다.

그녀가 경험한 정신대는 학교에서 도장을 찍고 응하는 형태였으므로 그녀는 그 모집을 ‘강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신대 모집은 학교 단위의 ‘국민동원령’에 근거한 것이었고(실제로는 시행되기 전에 자발적으로 응하는 형태를 취했다) 그 대상은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은 사람이었다.

그러나 위안부는 대부분 낮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이들이었고,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도 적지 않았다.

한국에서 위안부가 ‘군인이 강제 연행’했다고 인식되게 된 배경에는 우선은 이 착각이 존재한다.

그러나 동시에, 식민지 시대에 이미 ‘정신대로 가면 위안부가 된다’는 풍문이 존재했다. 위안부에게도 ‘정신(艇身)’(몸을 바쳐) ‘군인을 위한 일’을 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주입되었고, 실제로 간호, 세탁, 묘지 돌보기 등의 일에 동원된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완전한 오해라고 말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군인’이 끌고 갔다고 증언하는 위안부의 비율은 한국에 나와 있는 여러 권의 증언집에 한해 말한다면 오히려 적다.

그 경우에도 군속 취급을 받았던 업자가 군복을 입고 나타났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업자 자신이, 모집하기 쉽도록, 당시 시작되었던 국민 동원으로서의 ‘정신대’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업자는 일본인과 조선인이 짝을 지어 나타난 경우가 많았던 듯하다. 아무튼 위안부 증언집에서는 ‘공장’으로 간다는 등의 말로 속여서 데리고 갔다는 증언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런 의미에서는 ‘군인에게 끌려갔다’는 의미에서의 강제 연행은 없었지만, 설령 있었다 하더라도 예외적인 것, 즉 개인의 일탈행위라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군이 조직적으로(입안과 일관된 지시체계를 통하여) 속임수를 써서라도 강제동원을 지시했다’는 인식은 옳지 않다. 네덜란드나 중국의 경우, 군이 직접 모집하거나 격리시켜 성 노동에 종사시켰다. 따라서 강제성이 더 강하다.

다만 그 경우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위안부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일본인·조선인·타이완인이 ‘일본 제국 내의 여성’으로서 군을 지지하고 격려하는 역할을 했던 것과는 달리, 그녀들에 대한 일본군의 행위는 정복한 ‘적(敵)의 여자’에 대한 ‘계속적 강간’의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일본군과의 ‘관계의 차이’가 완전히 무시되고 같은 피해자로서만 이해되었던 것은 강제 연행이나 위안부에 대한 이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혼란을 심화시켰다.

크게 나눈다면, 문제 발생 이후 위안부로 여겨져 온 사람들 중에는, 원래의 의미에서의 위안부(이것은 정신대보다 느슨한 ‘국민 동원’의 일종으로 보아야 한다), 민간운영 시설(점령지나 전쟁지역에 일찍부터 존재했던 장소를 포함한다)을 군이 지정하여 위생 등을 관리하던 곳에서 일했던 사람들, 전쟁터에서 잡혀 계속적 강간의 대상이 되었던 적의 여자, 세 종류의 여성들이 섞여 있다.

군속 대우를 받고, 군복과 같은 제복을 입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업자가 모집한 조선의 경우(일본인도 있었다), 업자가 정신대(강제적, 그러나 ‘법률을 만들어서’ 하는 국민 동원. 그러나 지원의 형태가 된다)에 간다고 속였기 때문에 강제 연행이었다고 당사자들이 인식했을 가능성도 높다.

7.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

조선인 위안부는 장소에 따라서는 기모노를 입고 일본 이름을 쓰며 일했다. 즉 일본인 여성을 대체하는 존재였다. 위안부들에게는 요금의 구별이 있어서 일본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조선인이었다.

정말은 말려들지 않아도 되었을 (일본을 대상으로 한) ‘그들의 애국(愛國)’에 조선인도 동원당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는 조선인 위안부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낳은 존재이고, 그 점에서 일본의 식민지 지배 책임이 발생한다.

위안소에 가는 과정에서 장교나 군의관 등에 의한 강간도 많았던 것 같고, 군부대 이동 중에도 조선인들은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강간당하기 쉬웠다.

한편 ‘국가를 위해서’라는 명목으로 모집된 군 위안소의 경우 구도적으로는 적을 상대로 ‘함께 싸워야 하는 동지’의 관계에 있었다. 병사가 폭행하지 않도록 상관이 감시하고, 업자의 착취가 없도록 군이 관리하기도 했다.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서도 차이는 있지만 위안부가 압도적 다수를 상대하지 않으면 안 되는 가혹한 체험을 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동시에 기본적으로는 병사나 업자의 횡포로부터 위안부들을 보호하는 규범도 만들어져 있었다. 물론 그 규범이 반드시 엄격하게 지켜졌던 것은 아니다.

병사들은 곧잘 조선인 위안부에게 폭력을 휘둘렀으며, 주의만 받고 처벌받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듯하다.

조선인 위안부는 이와 같이 총체적인 민족차별 구도 안에 있었다. 그럼에도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 군인이 연애하는 경우도 있었음을 보는 일은 식민지화의 정황을 정확히 보기 위해서 필요하다.

그런 관계를 보는 일이 종주국·식민지 간의 차별이나 착취구도를 무력화시키는 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지만, 사태를 정확히 보는 일이 오히려 더 정확한 비판을 가능하게 한다.

조선인 위안부의 일부는 최전선에서도 행동을 함께 하면서 총탄이 날아다니는 전쟁터에서 병사의 끝없는 욕망을 달래는 대상이 되었으며, 총격이나 폭탄의 희생이 되는 가혹한 체험을 했다.

말하자면 설령 계약을 거쳐 돈을 벌었다 하더라도, 조선의 여성들이 그와 같은 경우에 처한 것은 식민지화 때문이었다.

따라서 조선인 위안부에 대한 일본의 책임은 전쟁 책임 전에 식민지 지배 책임으로서 물어져야 한다.

8. 업자

군이 필요로 하여 모집한 것은 분명하지만, 납치나 거짓을 군이 공식적으로 허가했다는 증언이나 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거짓말까지 하며 강제적으로 데려가거나, 병이 났을 때까지 강제적으로 일하게 하거나, 도망치지 못하게 감시하거나, 낙태를 시키거나 한 것은 거의 대부분의 경우 일본인 혹은 조선인 업자였다.

일본인 업자 쪽이 규모가 크고 조선인 업자 쪽이 규모가 작았던 것으로 보인다. 위안부들의 다수가 빚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유 폐업이 불가능했던 직접적인 원인은 이러한 업자들의 착취 구조에 있다.

요시미 교수는 위안부에게 거주, 폐업 등의 자유가 없었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기본적으로는 업자에 의한 구속과 전쟁터이기 때문에 받을 수밖에 없는 구속이었다.

군인들에게 이동의 자유가 없었던 것과 같은 구조다. 위안부들의 신체에 남아 있는 흉터도, 업자에 의해 가해진 경우가 많다.

군이 폭행하는 경우도 물론 많았지만, 최소한 공식적으로는 금지되어 있었다.

9. 20만의 소녀

‘20만’이라는 숫자는 한일을 합쳐 국민 동원된 정신대 숫자였다는 사실이 1970년경 한국 신문기사를 보면 나온다.

이 신문은 일본인 여성이 15만, 조선인이 5만~6만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 결과로 이후 20만이라는 숫자가 전부 위안부의 수라고 이해된 듯하다. 더구나 그 위안부 모두가 반드시 군이 만든 군 위안소에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위안부가 된 사람 중에는 소녀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1960년대 한국영화를 보면 조선인 학도병들이 만난 위안부가 성인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증언을 보면 10대 전반인 케이스는 오히려 적고, 당시 군인들에게도 예외적인 상황으로 받아들여졌고 돌려보내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로는 증언자의 다수가 다른 사람은 자기보다 연상이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매춘 업계에 소녀가 끌려가는 것은 세계적으로 있는 일이며 그런 의미에서 소녀가 많았을 수는 있지만, 그것은 일본군의 뜻이었다기보다 업자의 뜻이었다고 생각해야 한다.

위안부의 나이는 일률적으로 추정할 수 없지만, 증언집이나 자료에 따르면, 평균 연령은 20세 이상으로 보인다.

10. 패전 후의 귀환

위안부가 패전 후에 귀국할 수 없었던 것은 전쟁터에서 폭격으로 희생된 경우나 집단 자살에 휘말린 경우가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중국에 있었던 위안부들은 이른바 다른 일본인 조선인 귀환자들의 수난을 똑같이 경험했고, 장소에 따라서는 돌아가는 일 자체가 어려워 그 길에서 희생된 경우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밖에는 돌아오거나 다른 곳에 남았을 것으로 보인다. 패전 후에 버리고 떠난 데 대한 원망은 일본군보다 업자를 향한 경우가 많다.

군과 행동을 함께했던 경우, 패배하는 전투의 한 가운데 있었으므로 그 상황은 여러 가지였으며 군이 귀국을 도운 경우도 있었다.

11. 1990년대의 사죄와 보상

1990년대에 일본이 위안부였음을 밝히고 나선 사람들에게 사죄와 보상을 하고자 만든 아시아여성기금(이하 기금)은, 피해자들이 요구했던 국회 입법을 거친 것은 아니었지만, 당시의 각료들의 합의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이었다.

국회에서는 입법을 진행했던 의원들도 있었지만, 한국의 경우, 1965년의 한일조약에서 국가 간 배상이 끝났음과 강제 연행의 유무가 논의의 초점이 되어 법안을 통과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였다.

기금은 국회를 가친 것은 아니었지만 정부 각료들의 합의하에 이뤄진 사죄와 보상이다. 국회 입법을 주장했던 사람들은 책임 회피 수단이라고 간주하고 비난했지만, 기금은 1965년의 국가 간 조약에서 개인 보상은 끝났으므로 국가 배상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일본 정부가 ‘법적 책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도 ‘도의적 책임’은 지고자 한, 말하자면 ‘책임을 지기 위한 수단’이었다.

기금은 국민 모금으로 이뤄졌지만, 300만 엔 상당의 의료복지보조비도 지원되었고. 위안부들에게 건네진 보상금의 반 이상은 실제로는 일본의 국고(國庫)에서 나왔다.

최종적으로는 사업비 89%가 국고금으로 조달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기금은 단순한 국민 기금이 아니라 일본 정부와 국민이 마음을 합쳐 행한 ‘사죄와 보상’의 시도였다. 물론 이때 일본 정부가 기금을 주도했음을 명확히 밝혔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

12. 1965년의 과거청산에 대하여

1965년의 한일조약은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근거한 조약이었기 때문에 전쟁의 사후(事後) 처리를 위한 조약이었다.

식민지 지배라는 과거청산에 관한 조약이 아니었던 것이다. 조약 글귀에 한 마디도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의 말이 들어 있지 않은 것은 그 때문이다. 실제로 징용 등에 관한 보상도, 중일전쟁 후에 한한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본의 전쟁 상대국이 아니라, 오히려 함께 싸운 입장이었기 때문에 이 보상은 군인연금에 해당하는, 말하자면 이른바 일본 국민으로서의 것이었다.

돌연 양국이 갈라졌기 때문에 저금 등 그 밖의 채권 등을 포함한 금전적 사후 처리가 중심이었다.

그리고 일본은 ‘개인의 청구권’은 개별적으로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 좋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측은 북한을 의식하여 한반도 유일의 국가로서의 한국이 대신 받겠다는 명목으로 그 제안을 거부했다.

즉 한국만이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정통성을 인정받으려고 했는데, 이 배경에는 엄혹했던 냉전시대의 한 가운데 있었다는 역사적 경위가 있다.

당초 한국 측은 식민지 지배에 의한 피해에 대해(인명 손실 등) 청구하려고 했다. 최종적으로 그 요구가 삭제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아마도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논쟁-‘식민지 지배는 합법’, 즉 한국의 의지로 행한 일이라는 식의 논의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분명, 당시에는 다른 구(舊) 제국도 식민지 지배에 관해 사죄한 일이 없었는데, 그것은 시대의 한계였다. 즉, 1965년의 조약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가 아니었지만 그것은 냉전 하에서 구 제국들이 그와 같은 행위에 대해 사죄한다는 발상을 할 만한 시대에 이르지 않았었다는 것, 그리고 한국 측도 냉전시대 영향으로 스스로 과거 청산을 서둘러 버렸던 탓이기도 했다.

13. 1910년 병합조약에 대하여

더 거슬러 올라가 1910년 병합조약 자체가 강제적인 것이고 불법이었다고 하는 논의도 있다. 그리고 이때의 조약이 불법이라고 하면 당연히 일본에 식민지 지배에 대한 법적 책임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설령 소수가 행한 일임이 분명하더라도, 그것이 조약이라는 (당시의) 법적 절차를 통한 것이었던 이상, 이것을 불법이라고 하는 것은 윤리적으로는 옳을지언정 현실적으로는 무리가 없지 않다.

그것은 미국이나 영국 등 역시 식민지를 가졌던 대국(大國)의 승인을 얻어 했던 일이고, 그들만의 법에 근거한 것이라는 의미에서라면 물론 불법이다.

하지만 한국이 합병을 승인한 문서가 존재하는 한, 안타깝지만 그것을 제도법적인 의미에서의 불법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국민의 대부분에게 의견을 물었던 것도, 알려졌던 것도 아닌 병합은, 대부분의 조선인의 이해와 승인을 얻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진정한 의미의 승인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나라의 대표가 그렇게 해 버린 이상, 법적인 의미에서의 불법이라고 하기 어려운 것은 정치적‧시대적 한계의 결과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와 같은 법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후세 사람들이 인정한다면(1990년대 일본의 사죄는 그것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것이었다) 설령 법적인 ‘불법’이 아니더라도, 도의적으로 문제가 있었다고 간주하는 것은 가능하다. 법과 상관없이, 일본에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이 있다.

14. ‘법’의 문제

한국 정부나 지원단체가 추구했던 것은 위안부 모집과 위안소 사용에 관한 것을 불법이라고 인정하고 배상하라는 것이다(일본의 지원자 다수도 입장이 같다).

그러나 당시 일본 내에서 성매매 혹은 매수가 불법으로 인정되지 않았던 이상, 위안소를 불법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설령 국제적으로 불법이라고 보기 시작했던 시기였다 하더라도. 당시는 성폭력조차 아직 법으로 처벌되지 않던 시대였으며, 바로 그렇기 때문에 남자들은 죄의식 같은 것을 갖지 않고 강간을 반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신매매는 당시에도 불법으로 인정되었다. 문제는 그 인신매매를 일본군이 지시했는가 여부다. 실제로 인신매매임을 알면서도 묵인했던 부분은 있다.

그러나 일본군은 사기나 유괴에 의해 끌려온 경우 돌려보내거나 다른 취직자리를 알선하도록 업자에게 지시했다. 따라서 군이 사기나 유괴를 조직적으로 지시하거나 허용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물론 일본이 종주국으로서 식민지 여성을 차별과 강간과 착취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만은 분명하다.

15. 또 다시 ‘아시아 여성기금’에 대하여

그런 의미에서는 1990년대의 도의적 책임은 명확히 의식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바로 그 부분을 인식한 사죄와 보상이었다.

처음으로 목소리를 낸 조선인 위안부가 식민지 지배에 의한 존재라는 것도 인식되었고, 그에 대한 보상이었기 때문이다.

일찍이 이탈리아나 영국도 식민지 지배에 관해 사죄를 했던 일이 있다. 일본도 호소카와 수상이나 무라야마 수상이 사죄를 했다.

그렇게 처음에는 위안부 문제는 식민지 지배의 문제였음이 의식되었는데, 후에 다른 나라 사람들과 연대하게 되면서 보편적인 여성의 문제로 다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한국의 경우 이 문제가 식민지 지배의 결과라는 인식은 사라져버렸다.

현재 이 문제에서 다른 나라‧지역은 ‘아시아여성기금’을 받아들여 일단 해결된 것으로 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국교 정상화 때 모든 배상을 포기했다.

현재 위안부 문제를 불법이었다고 하면서 배상을 요구 중인 것은 한국인 위안부뿐이므로, 이를 한일 문제로 재조명하여 다룰 필요가 있다.

네덜란드나 중국 등 다른 나라와 함께 생각하는 여성의 인권 문제라는 방식만으로는 조선인 위안부의 특수성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보편적으로는 가부장제 안의 희생자로 다룰 때, 진정한 여성 인권의 문제로서 다시금 마주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다.

일본인들로서는 다른 나라도 했다는 말로 책임을 회피하려 할 것이 아니라 네덜란드를 비롯한 전 세계의 ‘구 제국’을 향해 식민지 지배가 초래한 문제로서의 자각과 반성을 촉구해야 한다.

그래야만 비로소 미국도 영국도 네덜란드도 이 문제를 자국의 문제로서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 국가의 욕망을 위해서도 자국과 타국의 여성들이 동원되었다는 사실을 그들도 인식해야 한다.

16. ‘성노예’에 대하여

조선인 위안부들은 준(準)군인과 같은 역할도 해야 했다. 그녀들의 경우가 비참했던 것은 두말할 것도 없는 사실이지만, 감시하고, 강제에 가까운 노동을 시켰던 주체는 군 뿐만 아니라 업자이기도 했다.

자유가 없었다는 의미에서 그녀들의 노예성은, 우선은 주인이라 불리는 업자와의 관계에서 생각해야 한다.

동시에, 그녀들은 국가의 필요에 의해 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하고 목숨조차도(전쟁터, 병, 과로) 저당 잡혔다는 의미에서 국가의 노예이기도 했다.

이동의 자유도 폐업의 자유도 그리고 목숨을 지킬 자유도 없다는 의미에서 군인과 다를 바 없다. 조선인 군인에게는 적으나마 일정한 보상금이 지불되었다.

그것은 그들을 위한 법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여성들에게는 그러한 법이 없었던 것은 근대국가 시스템이 남성 중심주의적이었기 때문이다.

17. 고노 담화

고노 담화는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위안부가 된 것을 인정한 것이고 물리적인 강제 연행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

즉, 연행했던 과정이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다는 것과 위안소에서의 성 노동이 그녀들의 선택이 아니었던 점을 말하면서, 물리적이 아닌 구조적인 강제성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인의 경우, 설령 자발적으로 행한 것으로 보이더라도 그것이 식민지 지배에 의해서 야기된 것이라는 점을 정확하게 인식한 내용이기도 했다.

고노 담화를 폐기하라고 주장하는 측이나 지키라고 주장하는 양측이 다 이 담화가 물리적 강제성을 인정한 것처럼 간주하지만 그렇지 않다. 그러나 아무튼 이 담화는 책임을 명확하게 말하고 있다.

18. 해결을 둘러싼 갈등

일본 정부가 만든 기금이 민간의 것이라고만 인식되었던 것은, 우선은 매스컴 등의 보도 때문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보상이 1965년 조약에 저촉되는 점이라는 것을 인식한 일본 정부가 기금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던 데 가장 큰 원인이 있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차선책으로서 받아들인 사람들도 있는 가운데,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고만 간주하고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이 문제에서 일본 정부를 비난하고 있는 지원자들 중 일부는 국회 입법을 ‘일본사회의 개혁’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주장은 위안부상과 ‘강제 연행’을 둘러싼 이해에 있어서 반대파와 접점을 찾아내는 노력을 거의 하지 않았다.

그리고, 합당한 이상으로 일본 정부를 비난하고 사실과는 다른 정보를 세계로 확신시켜 결국, 위안부 문제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일본 내에 많아지는 결과를 만들고 말았다.

이들은 천황(天皇)을 범죄자로 판결하는 국제재판도 열었지만, 이것이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것이었다면, 운동으로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밖에 없다.

운동이란 널리 일본 국민의 합의를 얻는 쪽으로 가야 했고, 그런 의미에서는 이때부터 일본인들의 반발이 본격화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혐한류(嫌韓流)’로 시작된 헤이트 스피치의 근저에는 실은 이 무렵부터 시작된 한국·좌파 혐오가 있다.

19. 세계의 의견

운동가들은 이처럼 일본 정부를 설득하기보다도 세계에 호소하여 일본을 압박하려는 방식을 취했다.

그리고 그 결과로, 쿠마라스와미(Radhika Coomaraswamy) 보고서를 시작으로 여러 유엔 보고서의 대부분은 ‘20만의 소녀가 강제적으로 끌려 가 성노예로 일했고, 패전(敗戰) 후에 거의 학살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의회 결의도 그들의 보고서를 참고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보아 온 것처럼 세계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올바르지는 않다.

유엔에서는 네덜란드 여성도 증언을 했고 네덜란드의 케이스는 분명히 ‘레이프 센터’라는 말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러나 네덜란드 여성은 조선인이나 일본인 위안부와는 그 입장이 근본적으로 달랐다.

네덜란드 여성이 피해를 받은 것은 그녀들이 네덜란드가 식민지로 삼았던 인도네시아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사아를 식민지화했던 네덜란드를 포함한 서구가 일본만을 비난하는 것도 모순적인 일이다.

20. 제국과 위안부

한국이나 오키나와 기지를 비롯하여 미군이 기지를 두고 있는 곳에서는 지금도 머나먼 땅에 보내진 병사들을 위안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 여성들이 있다.

즉, 전후(戰後) 직후의 일본이나 한국전쟁 당시나 그 후의 한국이 그랬던 것처럼 군대는 지금도 위안부를 계속해서 만들고 있다.

일본군의 위안부와는 달리, ‘국가를 위해’라는 의식을 강요당하고 있는지 아닌지, 그리고 평화 시(일어날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한)인지 전시(戰時)인지의 차이가 존재할 뿐이다.

그들 ‘기지’는 일찍이 전쟁이나 냉전 때문에 만들어져 그 상태를 계속 이어왔다. 그리고 실은 미국이야말로 일본이나 한국에 위안부를 계속 만들어내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일본이나 한국 역시 그 상황을 묵인 중이다.

일찍이 국가가 정치 경제적으로 세력 범위를 넓혀 제국을 만들었던 것처럼, 현재도 특정국가의 세계 장악 세력은 존재한다. 그 중심에 있는 미국이 위안부 문제에 관하여 일본을 비난하는 결의를 계속 내놓은 것은 아이러니일 수밖에 없다.

약자를 위해 싸워왔을 터인 진보세력은 그렇게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한일 간의 갈등을 유지하는 것으로 한국의 군사화나 보수화를 진행시킨 측면이 있다.

일본을 의식한 것인 듯 보이면서 실은 북한을 의식했던 군비증강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냉전적 사고를 넘어 이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우선은 대립 중인 사람들이 논의하고 접점을 찾도록 한일 협의체를 정부 주도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의를 전제로, 지원단체 외에 위안부 본인(가족)이나 제3의 전문가 등을 포함시키는 것은 필수다. 기존 연구자나 운동가들만으로는 접점을 찾을 수 없다. 이 이십 수년의 세월이 그것을 증명한다.

국장급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밀실 논의가 아니라 미디어 등을 통해 공론화하고, 이미 많이 알게 된 양국 국민들이 같이 생각하고 납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는 식민지 지배 문제라는 인식에 바탕하여 그 밖의 희생자에 대해서도 언급한 일본의 국회 결의가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회 결의의 의미는

1. 1990년대의 기금의 마음을 다른 형태로 재시도, 즉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가 주체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일

2. 서구의 결의를 정면으로 받아들인 연후에 비판적 응답

3. ‘전후 일본’이라는 이제까지의 전후일본인식을 ‘제국 후 일본’으로 고쳐 갖는다. 는 세 가지의 의미가 있다.

당장이 아니더라도 한일이 함께 그런 논의에 나서 언젠가 그런 날이 올 때, 한일은 비로소 과거 청산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하타‧요시미 논의에 관한 의견> * 하타 이쿠히코 교수의 의견에 대한 생각   1) 그는 위안부를 단순히 매춘부로만 본다 – 애국한 존재, 특히 군이 운영했던 경우는 ‘준(準)군인’적 존재이기도 했음이 간과되고 있다. 설령 매춘부라고 해도 비참함은 다르지 않다.   돈을 모을 수 있었고 즐거웠다고 한다면, 그건 그녀들이 ‘군을 위해 일하는 존재였기 때문’이고 강요된 자긍심의 결과였다. 그는 돈을 벌었던 사람들에게 주목하는 경향이 강하다.   2) 업자에 조선인만 있었던 것으로 생각하지만, 일본인도 있었고 규모의 크기는 일본인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3) 그저 조선인의 책임이라고만 말하고, 수요를 만든 일본 국가의 책임을 생각하지 않는다.   4) 업자에게 군속의 지위가 주어지는 일도 있었다는 것이 간과되고 있다.   5) 군이 계약서 소지 여부를 체크했던 것은 속아서 온 여성이 일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지만 계약서가 있었다는 주장은, 그랬다면 위안부 이용이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된다. 계약서가 있다고 해서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다.   6) 운동이 정치 활동이 된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참가자의 일부일 뿐이다. 대부분은 순수한 선의로 활동했다고 봐야 한다.     *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의 의견에 대하여   1) ‘강제 연행’을, 구조적인 강제성으로 다루는 것은 옳지만, 군인이 데리고 갔다고 이해하는 사람이 많은 이상, 그 차이는 정확히 말해야 하는데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는다.   2) 성노예적 측면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직접적으로 자유를 구속했던 것은 업자이며 국가다. 이른바 매춘부에게도 노예적 측면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3) 세계가 위안부 문제로 한국의 주장을 인정했다고 해서, 꼭 그 주장이 다 옳은 것은 아니다.   4) 위안부의 생활고는 인플레보다는 업자의 착취에 의한 것으로 봐야 한다.   5) 네덜란드와의 관계에 있어 조선이나 일본인 위안부와의 차이를 간과.   6) 업자 중에는 순수한 민간업자도 존재한다. 모두가 군속인 것은 아니다. 다양한 위안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이 운영한 위안소에 관해서만 말한다.   7) 책임-인신매매 주체는 업자임에도 불구하고 업자의 책임은 말하지 않는다. 국가가 가담한 것은 사실이지만 알고 지시하고 도왔던(배를 사용한 것만으로 인신매매를 도왔다고 말할 수 있는지의 문제) 것과, 알고도 묵인한 것과, 모르고 이용한 것에 대해 똑같은 내용의 책임 추궁을 하기는 어렵다.   8) 구조적 강제성 속에 있는 자발성을 간과하고 있다. 인신매매이니 성노예라고 말하지만 그렇지 않은 케이스도 많았다. 무엇보다도 위안부의 ‘주인’은 우선 업자였다.   <결론> 양쪽 다 위안부의 일면만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런 한 접점은 찾아지지 않는다.   * 피해인지 아닌지 만을 강조하고 있지만, 식민지는 그 양쪽을 갖는 존재였다. 종속적 가해와 협력 부분을 보는 일이 일본의 책임을 희석하는 일이 되는 건 아니다.   * 모두 함께 생각해야 할 것은 국가(제국) 욕망에 동원된 사람들의 불행을 누가 생각하고, 보상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병사도 그 중 하나. 위안부도. 거기에 가담했던 민간의 책임(업자)도 생각해야 한다.   * 이 문제가 어려운 것은 체험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보상은 하나의 형태로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 상황을 모순으로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 위안부는 ‘매춘부’도 무구한 ‘소녀’의 면도 함께 가지고 있고 그와 같은 모순이야말로 식민지의 모순이었다. 위안부 문제는 기본적으로 사회의 약자에게 부담시켜왔다는 점에서 계급문제이며, 가부장제, 그리고 성마저 전쟁에 이용해온 국가의 문제이다. 그 배경에는 빈곤 문제가 있다.   그러한 사회‧시대 속에서 그녀들은 자신의 신체와 생명의 주인일 수 없었다. 이 문제를 부정해온 사람들도, 지원해온 사람들도 매춘 차별의식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그런 양측의 생각이 적대적 공범관계를 20년 이상 유지해 왔고, 나머지 사람들이 그들이 내놓은 정보와 감정에 휩쓸려 대립·반목해 온 것이 이 몇 년의 상황이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그러한 배경을 알고, 위안부 문제를 지배와 차별의 시대를 넘어서는 일로 생각하고 해결에 나서는 일이다.

Yuha Park, How We Should Consider the Comfort Women Issue Based on Discussions between Ikuhiko Hata and Yoshiaki Yoshimi

Yuha Park (Sejong University)

How should we consider the comfort women issue? I would like to discuss this issue, which has caused a great deal of confusion in recent years, first of all,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two historians regarded as the foremost experts on the comfort women issue.

My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be based on “Points of Contention in the Comfort Women Issue Considered with the Foremost Experts on the Matter, Mr. Ikuhiko Hata and Mr. Yoshiaki Yoshimi,” broadcast on radio in June 2013. Prime Minister Shinzo Abe has stated he would like to “defer the judgment to historians.” As seen in the fact that discussions among historians, even between the “foremost experts,” have hardly been able to find common ground, however, the comfort women issue is now in a state where what “historians” think alone can no longer lead us to an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let alone consensus within Japan.

It has become difficult to reach consensus within Japan itself or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comfort women issue because it has developed into a political problem after being left unresolved for many years. As a result, many people from both countries have gained fairly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ssue. This situation has arisen not by discrepancies in information and points of view on comfort women themselves but rather by the fact that the current political positions of various individuals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them have found their way into this issue. Furthermore, there are a great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this issu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d most of these people have become indirect parties to the issue. Moreover, because of the length of their involvement, their respective arguments have even taken their own sets of values or political positions. This is the major reason why it is very difficult to achieve a departure from existing ideas or positions.

In considering the comfort women issue, the following matters seem to be most necessary:

Settlement as early as possible;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issue in terms of the conditions surrounding the existence itself of comfort women first of all, as well as the conditions surrounding movements and conflicts over the past 20 years; and

It is necessary for learned individuals and ordinary citizens, whose involvement in this issue does not affect their livelihood or political positions, to engage with this issue and consider it together with the directly involved parties.

1. Who are Comfort Women?

In the modern era, there were many men who went abroad without their families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modes of transportation, and their own internalization of the desire of states to expand their sphere of influence. The movements of women also increased in order to support such men. In the case of Japan, those women were provided first for foreign servicemen coming to Japan, but from around the same time, they were sent overseas as well. They were called “Karayuki-san” and most of these women came from poor families, sold off by their parents or otherwise sacrificing themselves for their families.

These women also emigrated to Korea for Japanese soldiers stationed there and other Japanese men who relocated there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of encouraging emigration. Before long,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was introduc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nd Korean women came to work there. There had already been women who “comforted” soldiers since the time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y had been called “Joshigun,” or the women’s army, in the sense that they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the military forces.

In other words, the term “comfort women” basically means women who moved to areas that became battlefields, occupied territories and/or colonies as a result of the state’s policy of expanding its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Comfort stations used by merchants and servicemen were in place from early on. Such terms as “comfort stations” and “comfort women” apparently took root in the 1930s, but their functions should be taken as having emerged alongside the imperialism of the modern era, including that of the West.

2. Comfort Women and Korean Comfort Women

In the case of Japan, as comfort women were provided for men who went to overseas locations far away from home for the sake of the state, they were naturally seen as Japanese women. After Japan colonized Korea, however, Korean women as well as Taiwanese women became incorporated into this mechanism. Already in the 1920s, Korean women went to China and Taiwan for the Japanese, and also Koreans who became Japanese, staying abroad. They should be regarded as the predecessor of what later became known as Korean comfort women.

3. Karayuki-san-turned-Joshigun

Among the Karayuki-san, there were some women, who despite being sold to work at prostitution facilities, were able to build their own bases and were in a position to lend money or places for backroom meetings to so-called “soshi,” or brave young men, who left home to work overseas for the state. They came to be called “Joshigun” because of this, and, while still being disdained, they were thus able to raise their status as well. At the same time, these women, for their part, took some pride in indirectly supporting men working for the state and easing their homesickness (needless to say, this also meant that these women were deceived by the imperialistic statements by the state on the fast track to war). Thus the term “comfort women” is underpinned by such mechanisms.

4. Various Types of Comfort Station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Japanese military did not come up with the idea of the comfort women system out of the blue when it created comfort stations in the 1930s. Instead, it had simply systematized what had already existed at the time. One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as that Japan used patriotism as a mechanism. Among prostitution facilities (which included some restaurants and cafes) that were managed from the perspective of good hygiene and such (managed domestically by police), the Japanese military designated those satisfying the necessary criteria as comfort stations to be exclusively used by the military, for use by occupation forces that advanced into Manchukuo and China for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with growing numbers of troops being stationed abroad and for greater convenience, the military decided to incorporate them into a system. The military eventually used “recruiters” to “recruit” comfort women, but recruitment methods were quite varied.

In other words, places now considered to have been comfort stations were not necessarily those newly crea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y included existing facilities established during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 and in some cases, the military provided places it acquired to house women who were already working individually.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re the military treated recruiters as “gunzoku” (or quasi-gunzoku), which were civilian employees of the military,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the conveniences of movement and management.

However, the above is only applicable to comfort stations established by the military alone. Thu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forms of comfort stations, there also were various types of recruiters. In some cases, recruiters themselves built shabby comfort stations at such locations as small islands to start temporary operations (a form of the dispatching of comfort women). Whatever the case, however, as movements on battlefields required the military’s permission, there is no doubt that the military was basically aware of many such movements and supervised them. However, in many cases, senior officers and others used ordinary restaurants as comfort stations, instead of comfort stations designated by the military.

Other than the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anti-espionage, the reasons the military established (or designated) comfort stations apparently included the convenience of locating them closer to stationed troops and making them available at lower costs as the number of solders using comfort stations increased. These comfort stations charged what were referred to as public rates.

It is necessary to bear in mind that comfort stations took various forms depending on when and where they were, and did not exist in just a single form.

5. Different Kinds of Comfort Women

Therefore,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we cannot use the term “comfort stations” to refer to all facilities designed to satisfy the carnal appetite located in areas where Japan engaged in warfare. For example, prostitution facilities staffed mostly by local women should not be referred to as “comfort women” in the original sense of the term. In other words, women at those facilities merely served as the outlets of sexual desire and cannot be described as “Joshigun” in the sense of supporting servicemen of Japan and easing their homesickness. In a strict sense, women who were provided on battlefields and were forced to work in the form of semi-constant rape and victims of one-time rape on battlefields cannot be called “comfort women.”

Therefore, we should not refer to all the women who served the carnal appetite of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Asia-Pacific war as “comfort women,” and we should limit “comfort women”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only to Japanese women, and Korean, Taiwanese and Okinawan women who were made to become Japanese.

However, the situation was highly convoluted and confusing, since women at ordinary prostitution facilities were also engaged in sex work for Japanese soldiers in the same way as comfort women and accepted them with advertising signs such as “Patriotic Diner” (these facilities would surely also have been designated by the military).

Nevertheless there were evide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servicemen between women who were raped once or continuously on battlefields and comfort women, including Japanese women.

As seen above, comfort women encountered different experience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periods of work and locations (either on the front lines or behind battle lines).

Nevertheless, the manner in which the comfort women issue was handled considered all of these women as comfort women, and that was where the main confusion began.

Whichever category these women fell into, however, the foremost premise in discussing the comfort women issue is to recognize that women made to engage in sex work were always the socially weak, that most of them were susceptible to disease and that they found themselves in a miserable plight in which they faced a constant risk of death.

6. Forcible Recruitment

Therefor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se women came to engage in sex work for soldiers naturally were not identical. Some of these women were already there even before the all-out recruitment commenced.

The person who first raised the comfort women issue in the Republic of Korea mistook her personal experience as part of a “teishintai,” or women’s volunteer corps, for that of comfort women. Given that her own experience with “teishintai” entailed fixing her personal seal at her school, she thought the recruitment for the volunteer corps represented coercion. As shown by the fact that the recruitment of teishintai was made at the school level under a national mobilization order, that recruitment covered educated women, while most comfort women received only the low level of education or some without any school education. People in the Republic of Korea came to believe that comfort women were forcibly recruited due, first and foremost, to this misconception in the 1990s, rather than because comfort women lied, as claimed by those in Japan who deny the existence of comfort women.

Looking back to the colonial period, however, there had already been hearsay that “if you go to serve in the teishintai, you would become comfort women.” Comfort women were then described as those who “offer themselves” (volunteer) to “do things for soldiers.” As a matter of fact, comfort women were occasionally told to do things other than sexual consolation, including such tasks as nursing aid and laundry, and as such, the above cannot be brushed aside as a completely-mistaken notion (Korean comfort women were actually made to perform such activities as cleaning soldiers’ graves and laundry).

The percentage of former comfort women who testified that they had been taken by the military is rather small, at least judging from collections of their testimonies. And even in those cases, it is more likely that recruiters acting as civilian employees of the military appeared in military uniform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cannot be entirely excluded that recruiters might have told them that they were going to serve in the teishintai as par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already under way at the time in a bid to make their recruitment work easier. It appears that recruiters were often pairs of Japanese and Korean men.

However,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estimonies said they had been deceived into being recruited as comfort women by, for example, being told that they would be taken to factories while they were alone or in a small group of women. In that sen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was no forcible recruitment in the sense that they were taken by the military, or if any, they were still exceptional cases, or deviant actions by individuals. The author believes that it is wrong to conclude that the military, as an organization, engaged in the deceit or forcible recruitment (through its involvement in the planning and the consistent system of directions).

As for Dutch and Chinese women, the military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grouping and segregation of them for sexual labor, and the military’s actions literally represented forcible recruitment. In these cases, however, those women cannot be referred to as “comfort women” in the sense described above. While Japanese, Korean and Taiwanese women performed the role of supporting and heartening soldiers as women of Imperial Japan, the Japanese military’s actions against Dutch and Chinese women served the purpose of continuous rape of enemy women who were conquered. As all the women were simply categorized as the same kinds of victims, with no regard for the differenc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Japanese military, those who denied or affirmed the existence of comfort women could not find common ground for the comprehension of the concepts of “forcible recruitment” and “comfort women,” thus further deepening the confusion surrounding the comfort women issue.

In the broad categoriza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women among people who are presumed to be comfort women since the comfort women issue emerged: (1) “comfort women” in the original sense of the term (this category should be viewed as members of a kind of national mobilization in a looser sense than the teishintai); (2) women working at privately-run facilities (including those that existed in occupied territories and battlefields from early on) that were designated and managed by the military from the perspective of maintaining good hygiene and so forth; and (3) enemy women captured in battlefields and subjected to continuous rape.

Of these types of women, Dutch and Chinese women were literally “forced” to provide sexual service. In the case of Korea where recruiters in military uniforms (who acted as civilian employees of the military) recruited women, as recruiters deceived them into becoming comfort women by telling them that they were being taken to serve in the teishintai (forcibly, albeit as par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facilitated by the creation of laws, but “voluntary” in form), it is highly likely that women with such experiences perceived them as forcible recruitment. In other words, rather than former comfort women telling lies (though it cannot be asserted definitively that there are absolutely no cases of lying), it is highly likely that recruiters, currently assumed to not exist, had lied.

7. The Japanese Military and Korean Comfort Women

Korean comfort women, in some locations, worked in kimono, given Japanese names. In other words, they were substituting for Japanese women. Comfort women carried different rates, with Japanese women going for the highest rates, followed by Korean women. Korean women, who would surely not have been involved under normal circumstances, were mobilized out of “patriotism” for Japan. In that sense, the presence of Korean comfort women was created by Japan’s colonial occupation, and in that regard, Japan is responsible for its colonial occupation. Furthermore, as Korean women arrived at comfort stations, they were often raped by military officers and army physicians, and during troop movements, Korean women, just because they were Koreans, were easily subjected to rape, in addition to designated sexual labor.

At the same time, when Korean women worked at military comfort stations, assembled for the state, they were structurally positioned as peers in a joint struggle against the enemy. There were cases where superiors clamped down on soldiers’ violence against Korean comfort women or the military intervened to regulate their exploitation by recruiters.

Depending on the area or the period of time, there is no doubt that comfort women underwent the inhumane experiences of having had to comfort an overwhelmingly large number of soldier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rules in place to protect comfort women from high-handed actions by soldiers or recruiters. Needless to say,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se rules were strictly observed, and Korean comfort women remained amid overall ethnic discrimination. While the notion that it is possible that love affairs existed between Korean comfort women and Japanese soldiers should not be entirely disregarded, that would not nullify exploitation within the structure that one came from the suzerain state and the other from the colony.

Some Korean comfort women, while traveling with troops on the front lines, underwent the inhumane experiences of being subjected to the insatiable carnal appetite of Japanese soldiers in the line of fire on battlefields and falling victim to gunfire and shelling. In other words, Korean women were put into such plight because of the colonial occupation by Japan, even if they earned some money under contract. Therefore, Japan’s responsibility for Korean comfort women should be accounted for first as its responsibility for the colonial occupation, ahead of its responsibility for the war.

8. Recruiters

While it is true that comfort women were recruited to meet the needs of the military, no testimonies or materials have been found until now to indicate that the Japanese military had officially sanctioned any abductions or lying about recruitment. Furthermore, in most cases, it was Japanese or Korean recruiters that forcibly recruited these women even by lying, coerced them to work even when they were sick, kept their eyes on them to keep them from escaping, or forced them to have abortions.

Some people assert that comfort women earned significant amounts of money, but many of them remained poor because of exploitation by recruiters and could not overcome debt.

Scars that remained on the bodies of former comfort women were frequently caused by recruiters. In many cases, violence against them was perpetrated by the military, but violence was banned officially.

Prof. Yoshimi asserts that comfort women had no freedom to choose where to live or to engage in business. But that was essentially because of restrictions imposed by recruiters and restrictions due to being in battle areas, and should be view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ack of freedom of movement for servicemen.

Simply put, criminal offenses related to comfort women, or actions that ran afoul of prevailing law at the time were abductions, kidnapping and human trafficking. It may be possible to view the use of comfort stations as morally problematic sin, but it is legally difficult to treat it as a criminal offense (that contravened prevailing law at the time). Compared with this, cases involving Dutch and Chinese women were clearly criminal offenses, and perpetrators were punished as individuals, not the military as a whole.

9. 200,000 Girls

The figure of 200,000represents the combined number of Japanese and Korean teishintai members recruited under national mobilization. An article of a South Korean newspaper in 1970 reported that the number was broken down into 150,000 Japanese women and 50,000-60,000 Korean women, and this number was later treated as the number of comfort women, also due in part to the misconception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s stated earlier, all of these comfort women did not necessarily work at military comfort stations established by the military.

Among those who became comfort women, there were actually only a small number of young girls, and girls still in their early teens were very few. Servicemen then also viewed such girls as exceptional cases. Many of those who came forward to reveal that they served as comfort women tended to emphasize that they were still young girls, and this may mean that they were actually those girls categorized as exceptional cases. In fact, most women who testified said that other people were older than me. Young girls are made to serve as prostitutes around the world, and in that sense, it may be conceivable that there actually were a lot of young girls who were comfort women. But that should be understood as resulting from the intentions of recruiters, not the intentions of the Japanese military. This is another problem that should be approached from various angles, but the actual average age of comfort women evidenced by documents left was over 20.

10. Returning Home after the War

Comfort women could not return home after Japan’s defeat in the war presumably because many had fallen victim to shelling in battlefields or caught up in suicidal attacks. Comfort women who were in China went through the same ordeals experienced by the so-called evacuees/returnees. Depending on where they were, returning home itself was difficult, and it is presumed that some died or were killed on the way back hom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s came home or stayed behind where they w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Japanese military that mobilized them is responsible for having left them behind after the defeat. Nonetheless, in many cases, comfort women’s resentment towards being left behind is directed at recruiters, rather than the Japanese military. When comfort women were traveling with troops, they had to consider returning home amid losing battles. As such, the situations they found themselves in were quite varied, and in some cases, the military helped their return home.

11. Atonement and Compensation in the 1990s

The Asian Women’s Fund (AWF), established by Japan in the 1990s for atonement and compensation for those who came forward as former comfort women, was not the result of legislation by the Japanese Diet as demanded by the victims, but something created based on the consensus of the Cabinet ministers of the time. Some members of the Diet made efforts to enact a relevant law, but for former comfort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no law was enacted because the issue of state-to-state reparations had been settled under the 196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forcible recruitment was the focal point of discussions then. The Fund was not created by legislation passed by the Japanese Diet, but represented the atonement and compensation based on the consensus of the Cabinet ministe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Fund was criticized as a means of avoiding responsibility by those who called for legislation by the Japanese Diet, but it was in fact a means of taking responsibility by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considered state reparations as being out of the question, as individual compensation had been settled under the interstate treaty of 1965. Moreover, there were no grounds for legal responsibility, and instead the Japanese Government created the Fund to take moral responsibility. Initially, the Fund was said to be financed with donations from Japanese people, but medical and welfare subsidies equivalent to \3 million per person were paid out. While not explicitly being called “compensation payments” more than half of these payments delivered to former comfort women actually came from the national coffers. Ultimately, as much as 89% of the project’s expenses were financed by the Government. In that sense, the Fund was not simply a private-sector fund but represented efforts to provide atonement and compensation,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Japanese people in concert.

12. The 1965 Settlement of the Past

The 196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was a treaty that addressed the aftermath of the war, and based 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of 1952. It was not a treaty on the settlement of past colonial occupation. This explains why the Japan-Republic of Korea treaty contained no words of apology for the colonial occupation. In fact, compensation for requisition was limited to damages after the start of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because Korea was not an opponent in Japan’s war, and rather it fought alongside Japan, this compensation was for former Japanese citizens, like government pensions. The compensation mainly covered the ex-post treatment of savings and other monetary matters in the wake of the abrupt separation of Japan and Korea.

In addition, Japan at the time suggested that the individual right of claim should be left claimable individually.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rejected the suggestion, asserting that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only state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given said right on behalf of individuals, apparently bearing in mind the presenc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Republic of Korea” asserted that it was the only legitimate country that could claim compensation (Bak-jin Chang), in light of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it was in the midst of the severe Cold War era.

Initially , the Republic of Korea intended to claim compensation for the damage (human losses, etc.) caused by the colonial occupation. It is not clear why that demand was ultimately dropped, but it might be related to the dispute that is still ongoing—that the colonial occupation was lawful, and the colonization was the result of Korea’s own decision. It is true that at that time, other former empires never apologized for colonial occupation either, perhaps showing the limitations of thinking in those times. The 1965 treaty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no way represented Japan’s apology for its colonial rule, but it was because the times had not ripened for former suzerain states to think of apologizing for colonial rule amid the Cold War and former colonized countries, caught in the backwash of the Cold War era, also hurried on with the settlement of the past.

13. The 1910 Annexation Treaty

Looking even further back on history,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was forcibly concluded and thus was illegal. Furthermore, if the conclusion of the treaty is construed to be illegal, Japan would naturally be held legally responsible for the colonial occupation. However, even when it was evident that the annexation was l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as long as the annexation came about through legal procedures (at that time) in the form of the treaty, on a practical level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it was illegal, though the argument may be ethically correct. The annexation came with the approval of major powers that also had colon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e annexation may be regarded as illegal in that it was based solely on their own unilateral law, but as long as there exists a document showing that Korea itself endorsed the annexation, the reality is that Korea, unfortunately, cannot claim that it was illegal.

Nevertheless, the annexation, on which most of Korean people were not consulted nor notified cannot be described as having been truly approved of in that it had not obtained the consent or approval of most Koreans. However, after Korea’s representatives accepted the annexation, it was no longer illegal, however objectionable it was, and this should be understood to be part of the political limitations of the times. If future generations acknowledge that such laws were problematic (Japan’s apology made in the 1990s can already be viewed as an indirect acknowledgment of that fact), it is possible to argue that the annexation was not illegal because it had not violated the law but was morally problematic. In other words, the annexation was illegal in the sense that it was an act that was contrary to already determined rules, but as long as a value judgment was not made vis-à-vis the act (colonial occupation) during those year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it was illegal. However, it is still possible to criticize the colonial occupation even without relying on law.

14. The Issue of Legality

What the Republic of Korea is demanding is reparations by Japan by acknowledging as illegal the military’s involvement in the recruitment of comfort women and the use of comfort stations (many Japanese supporters also argue in favor of this demand). However, as long as prostitution was not regarded as illegal in Japan at the tim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the military’s involvement was illegal, even when it was beginning to be internationally regarded as illegal at the time. In those years, even sexual violence was not punishable under law, and for this reason, men repeatedly carried out rape even without a sense of guilt.

However, human trafficking was recognized as illegal even during those years. Thus, the question is whether the Japanese military had given instructions to engage in human trafficking. Though the military appears to have tacitly approved actions that they knew were tantamount to human trafficking, they regulated such actions by rules. In that sense, the colonial occupation, rape or forcible mobilization (servicemen and the teishintai), though unfortunate, were not illegal at the time, and could not be helped, even though they certainly committed the sin of disregarding the positions of other ethnic groups or women. It was for this reason that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1965 handled the individual right of claim not as war reparations as was the case among Allied countries but simply as the settlement of unresolved issues for former Japanese citizens.

15. Revisiting the Asian Women’s Fund

In that sense, the moral responsibility in the 1990s addressed precisely the atonement and compensation based on that, even if it was not a particularly conscious effort. Former comfort women who first raised the issue were recognized as existing as a result of the colonial occupation and compensation was intended for that. Furthermore, as was discussed above, it is somewhat difficult to call on Japan to take legal responsibility for the colonial occupation.

Italy and the United Kingdom have already offered their apologies for colonial occupation. As for Japan, former Prime Ministers Morihiro Hosokawa and Tomiichi Murayama have done so, too. However, though the comfort women issue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colonial occupation, that approach disappeared over time, after former comfort women came forward in other countries and the comfort women issue came to be captured as a universal issue affecting all women. However, the comfort women issue in other countries/areas is considered to have been settled, at least tentatively, as they have accepted compensation through the Asian Women’s Fund. Since only Korean comfort women are currently demanding compensation by pointing to the illegal nature of the comfort women issue, it needs to be recaptured as the Republic of Korea issue. Moreover, some appropriate solutions should be considered, while bearing in mind all aspects of the situation anew. The approach to this issue as an issue of women’s human rights by considering it along with the women of the Netherlands, China and other countries does not shed light on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Korean comfort women.

Some Japanese assert that other countries engaged in similar acts. However, if they were to pursue this line argument, they should call on the Netherlands and the other former colonial powers of the world to reflect on the problems caused by colonial occupation. Only by doing so would it be possible to mak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Netherlands address this issue as one of their own, that is, of having mobilized women from their own country and others to satiate the carnal appetite men from their own countries and having had them continuously provide “comfort” to their servicemen and merchants.

16. Sexual Slavery

Korean comfort women were forced to perform the roles of paramilitary personnel. It is an indisputable fact that they faced miserable circumstances, but the key players who coerced them into forced labor were recruiters as well as the military. The slavery of these women in the sense that they had no freedom wa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with recruiters, called “masters.” The issue of sexual slavery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that relationship.

These women were also slaves of the state in the sense that they were indirectly mobilized to meet the needs of the state and even their lives were treated as collateral (from being in battlefields, and becoming sick and overworked). They were no different from military servicemen in the sense that they had no freedom of movement, no freedom to get out of the business and no freedom even to defend their lives.

17. Kono Statement

The 1993 statement by then Chief Cabinet Secretary Yohei Kono acknowledged that Korean women became comfort women “against their own will,” but did not acknowledge “forcible recruitment.” In other words, the Kono Statement noted that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was against their will and that sexual labor at comfort stations was not of their own choice, thus acknowledging the nature of structural coercion instead of the nature of physical coercion. The statement thus contained the words that accurately acknowledged that the existence of Korean comfort women was the result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even if they appear to have worked as comfort women voluntarily. In other words, the statement did not acknowledge the so-called nature of coercion, as asserted by those seeking a review of the Kono Statement, and since the “involvement of the military authorities of the day” i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omfort stations is a fact, there should be no need to review the Kono Statement.

18. Conflicts over the Settlement

The Fund cre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was viewed as a private-sector fund partly because of the way it was reported in the mass media. However, that recognition was generated primarily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failed to fully explain its deep involvement in the Fund out of concern that this new compensation might run counter to the 1965 treaty. Nevertheless, while there were people who viewed the Fund as a compelling next-best policy, those people who strongly denounced the Japanese Government as shirking their responsibility and have until now denounced it over the comfort women issue had thought that legislation by the Japanese Diet alone would lead to the reform of Japanese society. As explained earlier, however, the focus on the forcible recruitment and the existence of the 1965 treaty make it difficult to regard the damage concerning comfort women as illegal acts by the state.

However, as a consequence, such assertions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who resent discussions and such assertions over the comfort women issue in Japan over the past 20 years, particularly in the last 10 years. The parties involved should reflect upon the fact that their movement to solve the comfort women issue and build peace in Asia consequently generated conflicts against their intentions. Supporters held an international tribunal to brand the Japanese Emperor as a criminal, but such a movement could not enjoy broad consensus among the Japanese people. Subsequently, hate speech became prevalent in Japan, beginning with anti-Korean sentiment. At the root of these developments was resentment against the comfort women issue.

19. Global Views

From the 2000s onwards, activists adopted the approach of appealing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stead of persuading the Japanese Government. As a result, the Coomaraswamy report and the majority of various other U.N. reports conclude that “as many as 200,000 young girls were forcibly taken to work as sex slaves and most of them were massacred after Japan’s defeat in the war.” Although resolutions adopted by parliaments of Europ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were based on these reports, global denunciations of Japan are not necessarily correct, as seen above.

Dutch women also testified at the United Nations, and the Dutch case surely warranted the term “rape center.” However the situation face by Dutch women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and Japanese comfort women. Dutch women suffered as they resided in Indonesia, which was colonized by the Netherlands, but subsequently occupied by Japan. Therefore, it would not be appropriate for the Netherlands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d colonized many Asian countries, to denounce Japan alone.

20. Empires and Comfort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Okinawa and other places where the U.S. forces locate their bases, even now there are women who comfort soldiers sent far away from their homes. In other words, as was the case in Japan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war,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s well as thereafter, military forces are continuing to create comfort women even at present. The only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are whether they were made aware of their role as being for the state and whether it was peacetime (but standing by for war) or wartime.

Those bases were previously established for the war or for the Cold War and continued to maintain their status. Now, it is the United States that is continuing to create comfort women in Japan and in the Republic of Korea. Needless to say,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 them and give tacit approval to the situation.

As states once established empires to expand the sphere of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certain forces in specific countries seek global hegemony. It is truly ironic that the United States, which is at the core of such forces, continues to issue resolutions denouncing Japan for the comfort women issue.

Liberal forces that were supposed to be fighting for the weak generated conflict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pparently unwillingly so, and consequently helped accelerate the militarization and conservative swing of the Republic of Korea. Criticizing Japan in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would, in effect, mean playing a part in the continuation of the Cold War mindset.

Therefore, those who affirm the existence of former comfort women must shed this Cold War mindset, while deniers must become aware of the misery face by comfort women by understanding that they were not just prostitutes. Then, both side would surely be able to work towards a settlement of the comfort women issue by finding national consensus within Japan. To that end, it is desirable to first establish a bilateral consultative body at the initiative of the both governments where opposing camps can exchange views. To reach a consensus, it is essential for the consultative body to include former comfort women and third-party experts in addition to lobbying organizations. It is also desirable to set a time limit on discussions (meeting once a month for a period of six months, for example) and allow media access to such discussions for simultaneous reporting in both countries. This author personally believes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discussions at this consultative body, the most desirable option is to adopt a Diet Resolution that incorporates the recognition that the existence of comfort women was the result of colonial occupation. Such an outcome would be significant in terms of (1) a fresh start for the efforts of the Asian Women’s Fund in the 1990s; (2) Japan’s critical response to resolutions adopted by Europ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and (3) redefinition of the self-perception of “postwar Japan” as “post-imperial Japan.”

On the Discussions between Prof. Hata and Prof. Yoshimi

On the views of Prof. Ikuhiko Hata

  1. Hata views comfort women only as prostitutes, passing over the fact that they were coerced to show patriotism for Japan and particularly at comfort stations manag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y supported soldiers as paramilitary personnel. They faced a miserable plight as prostitutes as well. They earned money and enjoyed their situation “because they worked for the military.” Hata tends to focus only on these aspects when they represented just part of their circumstances. For example, they enjoyed athletic festivals just to muddle through their hard life.
  2. Hata believes that recruiters were all Koreans. In reality, recruiters came in pairs of Japanese and Korean recruiters in many cases.
  3. Hata seeks to blame only Koreans. He argues that former comfort women do not say that they had been sold, but they are saying so in the collections of their testimonies.
  4. Recruiters did not simply work under the urging of the military. Some recruiters were given the status of civilian employees of the military.
  5. Women were checked apparently for the purpose of not allowing them to use such products, but this would mean that there were no problems as long as contracts were in place. However, as there were cases where women thought that they were to help the military apparently without acknowledging it, it cannot be argued that there were no problems as long as contracts were in place.
  6. The movement did develop some political aspects, but that is attributable to only some of the participants. Most of participants in the 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cting simply out of goodwill.

On the views of Prof. Yoshiaki Yoshimi

  1. It is correct to treat structural coercion as forcible recruitment in nature. However, as there are many people who construe that the military authorities have taken women to comfort stations, Yoshimi should give an accurate description of the differences.
  2. Sexual slavery?Recruiters and the state were responsible for restricting the freedom of comfort women. Prostitutes also face slave-like circumstances.
  3.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rld accepted the Republic of Korea’s arguments about the comfort women issue because of ulterior motives on the part of the movement that provided questionable materials, and on the part of Europ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4. The severe livelihood of comfort women was brought about by recruiters. Inflation was not the only problem.
  5. He failed to note the difference related to Dutch women.
  6. There were some purely private-sector recruiters. Not all recruiters were civilian employees of the military. Those who went to the front lines were given the status of civilian employees of the military. While there were various types of comfort stations, Yoshimi only discusses comfort stations managed by the military.
  7. Responsibility. While recruiters were responsible for human trafficking, Yoshimi does not refer to the responsibility of recruiters. It is true that the state did have a part in this. But there should be a distinction between the fact that the military knew about, gave instructions for and assisted it (the author is not entirely sure whether the use of ships alone amounted to assisting in human trafficking) and that the military knew and tacitly approved it or used it without knowing. There must have been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s of time and places. But he places all the blame on the military.
  8. Yoshimi failed to note the self-motivation found in the nature of structural coercion. He argues that comfort women were sex slaves as they were brought to comfort stations as a result of human trafficking, but there were cases outside of that categorization. Above all, the “masters” of comfort women were recruiters.

Both historians only consider the evidence that suits their views, and both seem to have foregone conclusions. As long as that remains the case, even discussions between “historians” cannot probably find common ground.

  • Both tend to emphasize only whether damage has been done or not. But the colony had both aspects.
  • What should be considered is who will provide compensation for the misery of people mobilized by the motivations of the state (empire). Soldiers were part among these people. Comfort women as well. The private sector (permanent settlers and adults) also has no small responsibility for having played a part.
  • The handling of the comfort women issue is thorny because the method of compensation was limited to one form despite the existence of a variety of cases.
  • Comfort women were both prostitutes and innocent girls. Such a contradiction is indeed the contradiction of the colony. Things may have changed somewhat nowadays, but prostitutes were basically a role inflicted on the socially weak, and in that sense, they represent an issue of class and are created by social structure. They could not become the “masters” of their bodies and lives. It is precisely this recognition that should be the significance of considering the comfort women issue.

장정일, 일본 ‘국민 작가’의 숨은 국가주의 (시사IN)

장정일 소설가

박유하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서평

저자는 나쓰메 소세키가 어떤 세계관과 시대상을 통해 국민 작가로 등극하게 되었는지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한갓 국가 이데올로기의 동조자에게 허여되는 칭호임을 밝힌다.

나쓰메 소세키는 ‘하루에 세 편씩 논문이 나온다’고 할 만큼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다. 나쓰메 소세키가 이처럼 일본인의 주목과 사랑을 받게 된 것은 그가 차지한 ‘국민 작가’라는 부동의 자리 때문이다. <나의 개인주의>(책세상 펴냄, 2004년)라는 제목의 나쓰메 소세키 강연집을 편역했던 한국 역자의 약력에 적힌 “일본의 국민 작가로 불리는 나쓰메 소세키를 중심으로 일본 근대문학을 연구하고 있다”라는 문장은 더하거나 뺄 게 없는 그의 위상을 보여준다.

박유하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문학동네 펴냄, 2011년)는 보유 격의 논문 몇 편을 빼고는 통째 나쓰메 소세키를 분석한다. 지은이는 이 책 전체를 나쓰메 소세키가 창안한 ‘자기 본위(개인주의)’를 해명하는 데 바쳤다. 그 전에 언제부터인가 당연시된 ‘국민 작가’라는 용어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 우리는 ‘국민 가수’ ‘국민 배우’ ‘국민 투수’에다 ‘국민 여동생’까지 있으니, 국민 작가도 있는 줄 안다. 하지만 ‘국민 문학’이 문학사나 이론서에 등재된 것인 데 반해, 국민 작가는 문학을 설명하는 보편 용어가 못된다.

국민 작가라는 용어를 여기저기서 접하다보니, 일반 독자는 물론이고 전문적인 연구자들까지 저 용어가 근대문학이 발생한 모든 나라에 으레 있는 것처럼 여긴다. 그러나 문제는 국민 작가에 해당하는 영미(英美)·프랑스·독일·러시아·스페인어권의 대응어나 개념이 있느냐, 없느냐 따위가 아니다. 진짜 곤혹스러운 것은 저 용어를 통해 근대문학을 고민해보겠다는 비평가가 곧바로 ‘국민 작가를 가지지 못한 나라는 근대문학에 미달한 나라’라는 성급한 단정으로 달려가는 것이다. 이런 억견에 대해서는 국민 작가가 일본에서만 쓰이는 그들만의 역사적이고 특수한 맥락의 산물이라는 것을 먼저 지적해야 한다.

메이지 유신으로 갱신된 일본은 서양으로부터 근대적 헌법·군대·교육·의료 체계 등을 모방하면서 ‘셰익스피어는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라는 식의 문화적 상징물마저 갈구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무슨 공식처럼 외우고 있는 ‘영국=셰익스피어’ ‘프랑스=위고’ ‘독일=괴테’ ‘러시아=푸시킨’ 따위 믿거나 말거나 한 상식에는 어서 서양을 따라 잡아야겠다는 일본의 문화적 후진성이 상당히 투영되어 있다. 한국 비평가가 일본의 전근대성에서 생겨난 국민 작가를 근대문학의 발달을 가늠하는 기준인 양 받아들이는 것은, 이만저만한 촌극이 아니다. 메이지 시기의 일본이 자신의 필요에 따라 국민 작가를 주조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이고 특수한 맥락이 있었다면, 당연히 우리나라에도 국민 작가가 만들어질 수 없었던 역사적이고 특수한 맥락이 있었다. 그것을 무시하면, 문학 연구라는 이름을 빙자한 또 다른 식민 잔재에 지나지 않는다.

‘없다’는 이미 ‘있다’는 전제를 수긍한다. 따라서 ‘있다’를 거부하며 ‘없다’를 주장하고 싶은 사람은 항상 ‘있다, 그러나 어떻게 있게 되었다’를 통해, 만들어진 기원을 폭로하고 허물어야 한다. 말하자면 이런 전복은 외국인을 위한 일본의 어느 역사 교과서가 러·일전쟁을 전후로 한 일본의 아시아 지역으로의 무력 진출을 기술하면서 “이와 같은 일본 정부의 방식에 대해 반대한 것은 사회주의자나 나쓰메 소세키, 요사노 아키코 등의 문인이었다”라고 말하는 것에 의문을 표하는 작업이다. 위의 인용에서 문제가 되는 천황제(일왕제)와 제국주의 전쟁에 반대했던 사회주의 작가의 막대한 고난과 희생은 익명으로 표시되는 대신, 당대의 지식인이라면 누구나 했던 정도의 천황제와 제국주의에 대한 아리송한 회의를 토로했을 뿐인 나쓰메 소세키가 마치 일본의 양심이었던 양 제시되는 일이다.

일본의 조선 침략에 대해서는 입 닫아

나쓰메 소세키는 어떤 기준에서 국민 작가가 되어 교과서를 오르내리고, 여타의 작가는 문학사에서조차 난외로 처리되어야 하는 것일까? 여기에 대한 의문 없이 마치 자연인 양 국민 작가를 받아들이는 것은 ‘국가 만들기’와 ‘국가 비판’을 양축으로 했던 근대문학의 임무 가운데 저항성(국가 비판)을 거세하는 일이다. 박유하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는 나쓰메 소세키가 어떤 세계관과 시대상을 통해 국민 작가로 등극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한갓된 국가 이데올로기의 동조자 내지 제조자에게 허여되는 칭호라는 것을 밝힌다.

일본의 근현대 작가와 평론가는 물론이고 이른바 패전 이후 일본의 진보 지식인에게까지 나쓰메 소세키가 추앙받게 된 데에는, 그가 펼쳤던 문명론과 개인주의 언설이 큰 몫을 한다. 나쓰메 소세키는 서구를 발달한 문명(과학·기술) 세계로 간주하고, 일본을 문명 세계에 위협받지만 그보다 뛰어난 문화(정신)를 가진 나라라고 여겼다. 문명과 문화를 양극단으로 나누는 이런 대립 구도는 프랑스 혁명 전후로 줄곧 유럽의 후진국이었던 독일 지식인이 프랑스에 대항하고자 만든 일종의 정신승리법이면서, 누군가로부터 침략받고 있다는 유사 식민지적 공포를 통해 민족주의를 동원하는 기제였다. 그렇게 저장된 독일과 일본의 민족주의는 머지않아 제국주의로 진화했다.

나쓰메 소세키는 항상 서양에 대항해서는 일본 문화를 내세웠지만, 조선이나 중국보다 앞서 문명화된 일본이 두 나라를 침범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의도 제기하지 않았다. 그의 문명론은 흔히 자기 본위라고 부르는 개인주의 옹호와 결합되어, 국가주의와 물질문명에 저항했던 것으로 예찬된다. 하지만 그의 모든 대표작을 분석한 이 책에 따르면, 나쓰메 소세키의 개인주의는 항상 국가나 사회 질서의 한 분모로서만 존재했다. 또 한번 그의 동서문명론을 끄집어내자면, 서양이 도전과 투쟁을 통해 불평등을 뒤집는 문명이었던 반면 동양은 늘 질서에 순응하는 것이어야 했다.

이 책은 나쓰메 소세키가 등식화한 ‘문명/문화/자연’ 사이의 각축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 잠시 요약했던 것처럼 나쓰메 소세키는 서양을 문명의 총화로 보고, 그 독을 해독할 수 있는 자리에 일본 문화를 올려놓았다. 여기에 책 제목이 암시하고 있는, 계몽되어야 할 여성이 자연으로 등장한다. 메이지 시기와 같은 국민국가 탄생기에 자연과 동급으로 취급된 여성은 문명과 문화의 담지자인 남성에 의해 길들여져야 했다. 이런 분석을 통해 지은이는 다시 한번, 나쓰메 소세키의 개인주의가 철저히 근대국가의 기획을 거들었던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그것이 지은이가 파헤친 국민 작가의 본모습이다.

원문: [장정일의 독서일기] 일본 ‘국민 작가’의 숨은 국가주의 (시사IN)

박유하-주진오 대담 : 반일 민족주의를 넘어서

[박유하-주진오 대담]

국산은 후지다는 편견은 없지만 그래도 몇 가지는 확실히 국산은 후지다. ‘학자'(혹은 ‘교수’)는 그 중 대표적인 품목이다. 학자 행세를 하려면 대학을 나오고 대학원에다 박사 공부까지 짧게 잡아도 10년은 공부해야 한다. 사람이 무슨 일이든 10년을 했다면 ‘귀신처럼’은 아니더라도 세모를 세모로 네모를 네모로는 보는 눈은 가지는 법인데 이상하게 한국의 학자들은 그런 사람이 참 드물다. 괜찮은가 싶다가도 월드컵이나 독도 같은 광풍이 한번 몰아치면 그저 ‘축구 응원단의 일원’으로 ‘우익 시위대의 일원’으로 그 초라한 몰골을 드러내고 만다. 해서, 이따금씩 괜찮은 학자를 만나면 그것처럼 반가울 수가 없다. 관점이나 의견에 차이가 나더라도 세모를 세모로 네모를 네모로는 보는 눈만 있다면 충분히 기쁘다. 박유하 씨는 그런 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의 책 반일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요즘 같은 분위기에선 보석과 같다. 어제 신문에 난 그의 대담 기사를 읽다보니 ‘남성 학자는 단지 냉철할 뿐이지만 여성 학자는 냉철한 데다 부드럽기까지 할 수 있구나’ 싶다.

(김규항 블로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