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항, 배설


김규항

November 27, 2015 ·

배설

당연히 박유하의 견해를 비판할 수 있다. 학자가 책을 쓰는 것 자체가 비판과 토론을 위한 것이다. 다만 비판은 사실을 근거로 해야 한다. “자발적 매춘부”라는 말은 박유하의 말이 아니다.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일본 극우 세력을 비판하기 위해 박유하가 그들의 발언 중에서 인용한 말이다. 또한 비판과 토론은 민주적 공론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얼마든 비판하고 토론할 공간이 열려있는데 왜 법정에 내맡기는가. 그럴 거면 국정교과서는 왜 반대하며 세월호 사건도 법의 처분만 기다리면 되지 왜 광장에 모여 시위를 벌이는가. 박유하의 견해에 비판적일수록 오히려 더 검찰기소를 반대하는 게 정당한 태도다. 그런 분별이 없다면, 스스로 비판이 아니라 감정적 배설을 하고 있음을 인정하는 셈이다. 일본 극우세력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바로 그런식의 감정 배설을 위안부 문제를 뒤트는 데 애용해왔다. 좀더 냉정해지지 않으면, 좀더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절대 그들을 꿇릴 수 없다. 덧붙여, 근래 사회적 비판엔 끔찍한 수준의 성차별적 발언이 널리 용인되고 있는데 이글 역시 그렇다. 전체 비유도 그렇고.. 아버지는 딸을 미친년이라 욕해도 되고 뺨을 때려도 되는가? 말을 말자.

Statement against the Indictment of Professor Yuha Park

Source: http://www.ptkks.net/en/

We hereby express our great consternation and concern over the indictment by the Eastern Prosecution Office in Seoul of Professor Park Yu-ha, author of Comfort Women of the Empire, for “defamation”. We believe that this book, published also in Japan in November last year, made a remarkable attempt to dismiss one-sided views of the “Comfort Women Issue”, and to search for possibilities of a genuine solution by comprehending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his complicated issue.

The indictment by the said Prosecution Office predicates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is book includes “false facts”, and lists numerous examples. But we think that this judgment does not understand the author’s intention properly, and is based on presumptions and misunderstandings. Above all, we feel that this book does not harm the honor of the former comfort women: on the contrary, this book is successful in delicately conveying the deep sorrow of these women to Korean and Japanese readers.

Any solution to the “Comfort Women Issue” must be found only through cooperation of the two nations of Japan and Korea that amounts to a mutual understanding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Japanese Empire by reflecting upon the past histories. In this regard, Professor Park Yu-ha has significantly broadened the past arguments by focusing not only on the “disregard of women by imperialism” but also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m under the colonial rule”.

It is true that the book’s assertion of fraternity of the “Comfort Women” with Japanese soldiers in battlefield and its indication of involvement of the local agents (including Korean ones) over the recruitment of women are debatable both in Korea and Japan. However, this book astutely points out the fundamental responsibility of Japanese Empire in creating these situations through its colonial rule, and it does not support certain arguments in Japan that negate the “Comfort Women Issue” altogether. This book also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rise of general interest and debate in this issue.

We also entertain grave doubt over the prosecution’s reliance on “Kono Statement” as a source to prove Professor Park’s “errors”, because this book tries a rigorous and appreciative reading of Kono Statement and appeals for solutions based on this very statement.

The Japanese version of this book received a special prize of “Asia-Pacific Award” and “Waseda Journalism Principal Award in Memory of Taizan Ishibashi” this autumn, as it was highly evaluated as a milestone for deepening arguments over the “Comfort Women Issue”.

We have been concerned for some time with this book being the subject of a civil court case for defamation, but we are now further shocked by the indictment in which public authority in the form of the procurator’s office has moved to confine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based on a particular view of history. What to certify as facts and how to interpret history are issues that should be left up to academic freedom. Apart from such a work that discriminates a particular individual or incites violence, matters related to speech should be countered through speech, and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modern democracy, public authority should never encroach into that arena. We firmly believe that only invigorated academism would offer precious opportunities for the formation of healthy public opinion and nourish society at large.

South Korea is one of the rare countries where the people have attained and secured democratization after many years of the autocratic rule during which time academic scholarship and public speech as well as political movements were severely suppressed. We hold deep respect for such strength enhanced in the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our great concern that the “freedom of speech and press” and the “academic and artistic freedom” stip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are now in crisis. We are also worried that this indictment would block any attempt toward solving the “Comfort Women Issue” by unnecessarily provoking popular sentiment of the two nations, when Korea and Japan are on the brink of solving the “Comfort Women Issue” which is now well overdue. We strongly hope for a rise of healthy public opinion in the broad section of Korean society against this indictment. As Japan’s own democracy is in dire jeopardy at the moment, we sincerely wish that civil societies of Korea and Japan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erpetuate atmosphere of mutual esteem for the respective democracy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speech.

We therefore earnestly call for a ruling by the court that would not embarrass the common sense and conscience of democracy, and for a revitalized debate regarding this issue within the discursive space of the two countries.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signers (67 in total) for this statement:

浅野豊美(Asano Toyomi, 아사노 토요미)、

蘭信三(Araragi Shinzo, 아라라기 신조)、

石川好(Ishikawa Yoshimi, 이시카와 요시미)、

入江昭(Irie Akira, 이리에 아키라)、

岩崎稔(Iwasaki Minoru, 이와사키 미노루)、

上野千鶴子(Ueno Chizuko, 우에노 치즈코)、

大江健三郎(Oe Kenzaburo, 오에 겐자부로)、

大河原昭夫(Okawara Akio, 오카와라 아키오)、

大沼保昭(Onuma Yasuaki, 오누마 야스아키)、

小倉紀蔵(Ogura Kizo, 오구라 키조)、

小此木政夫(Okonogi Masao, 오코노기 마사오)、

加藤千香子(Kato Chikako, 가토 치카코)、

加納実紀代(Kano Mikiyo, 가노 미키요)、

川村湊(Kawamura Minato, 가와무라 미나토)、

木宮正史(Kimiya Tadashi, 기미야 타다시)、

グレゴリー・クラーク(Gregory Clark, 그레고리 클러크)、

ウィリアム・グライムス(William Grimes, 윌리엄 그라임스)、

栗栖薫子(Kurusu Kaoru, 쿠루수 카오루)、

河野洋平(Kono Yohei, 고노 요헤이)、

アンドルー・ゴードン(Andrew Gordon, 앤드류 고든)、

古城佳子(Kojo Yoshiko, 코죠 요시코)、

小針進(Kohari Susumu, 고하리 스스무)、

小森陽一(Komori Yoichi, 고모리 요이치)、

酒井直樹(Sakai Naoki, 사카이 나오키)、

島田雅彦(Shimada Masahiko, 시마다 마사히코)、

千田有紀(Senda Yuki, 센다 유키)、

添谷芳秀(Soeya Yoshihide, 소에야 요시히데)、

高橋源一郎(Takahashi Genichiro, 다카하시 겐이치로)、

竹内栄美子(Takeuchi Emiko, 다케우치 에미코)、

田中明彦(Tanaka Akihiko, 다나카 아키히코)、

茅野裕城子(Chino Yukiko, 치노 유키코)、

津島佑子(Tsushima Yuko, 쓰시마 유코)、

東郷和彦(Togo Kazuhiko, 도고 가즈히코)、

中川成美(Nakagawa Shigemi, 나카가와 시게미)、

中沢けい(Nakazawa Kei, 나카자와 케이)、

中島岳志(Nakajima Takeshi, 나카지마 다케시)、

成田龍一(Narita Ryuichi, 나리타 류이치)、

西成彦(Nishi Masahiko, 니시 마사히코)、

西川祐子(Nishikawa Yuko, 니시카와 유코)、

トマス・バーガー(Thomas Berger, 토마스 버거)、

波多野澄雄(Hatano Sumio, 하타노 수미오)、

馬場公彦(Baba Kimihiko, 바바 기미히코)、

平井久志(Hirai Hisashi, 히라이 히사시)、

藤井貞和(Fujii Sadakazu, 후지이 사다카즈)、

藤原帰一(Fujiwara Kiichi, 후지와라 키이치)、

星野智幸(Hoshino Tomoyuki, 호시노 도모유키)、

村山富市(Murayama Tomiichi, 무라야마 도미이치)、

マイク・モチズキ(Mike Mochizuki, 마이크 모치즈키)、

本橋哲也(Motohashi Tetsuya, 모토하시 데츠야)、

安尾芳典(Yasuo Yoshinori, 야스오 요시노리)、

山田孝男(Yamada Takao, 야마다 다카오)、

四方田犬彦(Yomota Inuhiko, 요모타 이누히코)、

李相哲(Lee Sangchul, 리상철, Li Sotetsu, 리 소테츠)、

若宮啓文(Wakamiya Yoshibumi, 와카미야 요시부미)

Additional signers

山室信一 (Yamamuro Shinichi, 야마무로 신이치)、

ダニエル・スナイダー(Daniel Sneider,다니엘 스나이더)、

アンドリュー・ホルバート(Andrew Horvat, 앤드류 호밧)、

ポール・ミッドフォード(Paul Midford, 폴 미드포드)、

ジュリオ・プリエセ(Giulio Pugliese, 줄리오 플리에세)、

尾山令仁(Oyama Reiji, 오야마 레이지)

小林孝吉(Kobayashi Takayoshi,고바야시 다카요시)

鳥羽耕史(Toba Koji,도바 고지 )

川人清(Kawahito Kiyoshi, 가와히토 기요시)

アレクサンダー・ブッフ (Alexander Bukh,알렉산더 부흐)

安倍オースタッド玲子 (Abe Auestad Reiko,아베 오스타드 레이코)

楊大慶(Daqing Yang, 양다칭)

ピーター・ドゥス(Peter Duus, 피터 두스)

일본인·미국인 지식인 67인, 박유하 교수 기소에 대한 항의성명

원문 보기 : http://www.ptkks.net/kr/

『제국의 위안부』의 저자인 박유하 교수를 서울 동부검찰청이 「명예훼손죄」로 기소한 것에 대해 우리들은 커다란 놀라움과 깊은 우려를 금할 수 없습니다. 작년 11월 일본에서도 간행된 『제국의 위안부』에는 「종군위안부문제」에 대한 일면적인 인식을 넘어 다양성을 제시함으로써, 사태의 복잡성과 배경의 깊이를 포착하여 진정한 해결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강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기소와 동시에 발표된 보도자료에 의하면, 검찰청은 본서의 한국어판이 「허위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고 단정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열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박유하 교수의 의도를 있는 그대로 정확히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선입견과 오해에 의거하여 내린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도, 이 책으로 인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가 훼손되었다고는 생각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위안부 할머니들이 경험한 슬픔의 깊이와 복잡함이 한국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의 독자들에게도 전해졌다고 느끼는 바입니다.

「위안부 문제」는 한일 양국민이 과거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제국일본의 책임을 어디까지 추궁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에 도달함으로써 비로소 해결이 가능해지는 문제입니다. 이에 관하여, 박유하 교수는 「제국주의에 의한 여성멸시」와 「식민지지배가 초래한 차별」의 두 측면을 파고들어 이제까지의 논의에 깊이를 더하였습니다.

위안부가 전쟁터에서 일본군 병사와 감정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었다거나 모집에 관여한 조선인을 포함한 업자의 책임 등을 이 책이 지적한 데 대해,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안에서도 여러 가지 이견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책은 식민지지배를 통해 그러한 상황을 만들어 낸 제국일본의 근원적인 책임을 날카롭게 지적했을 뿐이며, 위안부문제로부터 등을 돌리고자 하는 일본의 일부 논조에 가담하는 책이 결코 아닙니다. 또한, 여러 이견들을 포함해서 위안부문제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환기시킨 점에서도 본서의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소에 관한 보도자료에 의하면, 박유하 교수의 「잘못」의 근거로서 「고노담화」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책은 고노담화를 섬세하게 읽어내고 이를 높이 평가하면서, 담화를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일본어판은 올해 가을 일본에서 「아시아태평양상」특별상과 「이시바시 탄잔기념 와세다저널리즘대상」을 잇달아 수상하였습니다. 이는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논의의 심화를 향해 새로운 한발을 내딛은 것이 높이 평가 받았기 때문입니다.

작년부터, 한국에서 이 책이 명예훼손의 민사재판에 휘말리게 된 것에 대해 우리는 우려의 눈길을 보내왔습니다만, 이번에 더욱 큰 충격을 받게 된 것은 검찰청이라는 공권력이 특정 역사관을 기반으로 학문과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동을 취했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사실로 인정하고, 역사를 어떻게 해석할지는 학문의 자유에 관한 문제입니다. 특정 개인에 대한 비방이나 폭력선동을 제외하고, 언론에 대해서는 언론을 통해 대항해야 하며, 학문의 장에 공권력이 발을 들여놓아서는 안 된다는 것은 근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라고 여겨집니다. 학문과 언론의 활발한 전개야말로 건전한 여론 형성을 위한 중요한 재료를 제공하고, 사회에 자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정치행위뿐만 아니라 학문과 언론이 권력에 의해 삼엄하게 통제되었던 독재시대를 헤쳐 나와 자력으로 민주화를 달성하고 정착시킨, 세계에서 보기 드문 나라입니다. 우리는 그러한 한국사회의 저력에 깊은 경의를 품어 왔습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헌법이 명기하고 있는 「언론・출판의 자유」나 「학문・예술의 자유」가 침해 받고 있는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한일양국이 이제 겨우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고 하는 때에 이번 기소가 양국민의 감정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여 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이번 기소를 계기로 한국의 건전한 여론이 다시금 움직여지기를 강하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민주주의도 현재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만, 한일 양국의 시민사회가 공명해 감으로써 서로의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로운 논의를 존중하는 분위기가 영구히 지속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번 기소에 대해서는 민주주의의 상식과 양식에 부끄럽지 않은 판단을 법원에 강하게 요구함과 동시에 양국의 언론 공간을 통한 논의의 활성화를 절실히 기원하는 바입니다.

2015년 11월 26일

성명인 일동

(총 67인 참여)

浅野豊美(Asano Toyomi, 아사노 토요미)、

蘭信三(Araragi Shinzo, 아라라기 신조)、

石川好(Ishikawa Yoshimi, 이시카와 요시미)、

入江昭(Irie Akira, 이리에 아키라)、

岩崎稔(Iwasaki Minoru, 이와사키 미노루)、

上野千鶴子(Ueno Chizuko, 우에노 치즈코)、

大江健三郎(Oe Kenzaburo, 오에 겐자부로)、

大河原昭夫(Okawara Akio, 오카와라 아키오)、

大沼保昭(Onuma Yasuaki, 오누마 야스아키)、

小倉紀蔵(Ogura Kizo, 오구라 키조)、

小此木政夫(Okonogi Masao, 오코노기 마사오)、

加藤千香子(Kato Chikako, 가토 치카코)、

加納実紀代(Kano Mikiyo, 가노 미키요)、

川村湊(Kawamura Minato, 가와무라 미나토)、

木宮正史(Kimiya Tadashi, 기미야 타다시)、

グレゴリー・クラーク(Gregory Clark, 그레고리 클러크)、

ウィリアム・グライムス(William Grimes, 윌리엄 그라임스)、

栗栖薫子(Kurusu Kaoru, 쿠루수 카오루)、

河野洋平(Kono Yohei, 고노 요헤이)、

アンドルー・ゴードン(Andrew Gordon, 앤드류 고든)、

古城佳子(Kojo Yoshiko, 코죠 요시코)、

小針進(Kohari Susumu, 고하리 스스무)、

小森陽一(Komori Yoichi, 고모리 요이치)、

酒井直樹(Sakai Naoki, 사카이 나오키)、

島田雅彦(Shimada Masahiko, 시마다 마사히코)、

千田有紀(Senda Yuki, 센다 유키)、

添谷芳秀(Soeya Yoshihide, 소에야 요시히데)、

高橋源一郎(Takahashi Genichiro, 다카하시 겐이치로)、

竹内栄美子(Takeuchi Emiko, 다케우치 에미코)、

田中明彦(Tanaka Akihiko, 다나카 아키히코)、

茅野裕城子(Chino Yukiko, 치노 유키코)、

津島佑子(Tsushima Yuko, 쓰시마 유코)、

東郷和彦(Togo Kazuhiko, 도고 가즈히코)、

中川成美(Nakagawa Shigemi, 나카가와 시게미)、

中沢けい(Nakazawa Kei, 나카자와 케이)、

中島岳志(Nakajima Takeshi, 나카지마 다케시)、

成田龍一(Narita Ryuichi, 나리타 류이치)、

西成彦(Nishi Masahiko, 니시 마사히코)、

西川祐子(Nishikawa Yuko, 니시카와 유코)、

トマス・バーガー(Thomas Berger, 토마스 버거)、

波多野澄雄(Hatano Sumio, 하타노 수미오)、

馬場公彦(Baba Kimihiko, 바바 기미히코)、

平井久志(Hirai Hisashi, 히라이 히사시)、

藤井貞和(Fujii Sadakazu, 후지이 사다카즈)、

藤原帰一(Fujiwara Kiichi, 후지와라 키이치)、

星野智幸(Hoshino Tomoyuki, 호시노 도모유키)、

村山富市(Murayama Tomiichi, 무라야마 도미이치)、

マイク・モチズキ(Mike Mochizuki, 마이크 모치즈키)、

本橋哲也(Motohashi Tetsuya, 모토하시 데츠야)、

安尾芳典(Yasuo Yoshinori, 야스오 요시노리)、

山田孝男(Yamada Takao, 야마다 다카오)、

四方田犬彦(Yomota Inuhiko, 요모타 이누히코)、

李相哲(Lee Sangchul, 리상철, Li Sotetsu, 리 소테츠)、

若宮啓文(Wakamiya Yoshibumi, 와카미야 요시부미)

새롭게 추가된 서명인 목록

山室信一 (Yamamuro Shinichi, 야마무로 신이치)、

ダニエル・スナイダー(Daniel Sneider,다니엘 스나이더)、

アンドリュー・ホルバート(Andrew Horvat, 앤드류 호밧)、

ポール・ミッドフォード(Paul Midford, 폴 미드포드)、

ジュリオ・プリエセ(Giulio Pugliese, 줄리오 플리에세)、

尾山令仁(Oyama Reiji, 오야마 레이지)

小林孝吉(Kobayashi Takayoshi,고바야시 다카요시)

鳥羽耕史(Toba Koji,도바 고지 )

川人清(Kawahito Kiyoshi, 가와히토 기요시)

アレクサンダー・ブッフ (Alexander Bukh,알렉산더 부흐)

安倍オースタッド玲子 (Abe  Auestad Reiko,아베 오스타드 레이코)

楊大慶(Daqing Yang, 양다칭)

ピーター・ドゥス(Peter Duus, 피터 두스)